[include(틀:하위 문서, top1=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현황)]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3>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72c7a7 '''한국철도공사 {{{+1 321000호대 전동차}}}'''[br]{{{-1 KORAIL}}} series 321000 EMU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G_5957.jpg|width=100%]]}}} || ||<-3> {{{#fff,#191919 '''차량 정보'''}}} || || '''차량형식''' ||<-2>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편성량수''' ||<-2> 8량 1개 편성 || || '''생산량수''' ||<-2> 168량 || || '''운행노선''' ||<-2> [[파일:GJLine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72c7a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도입년도''' ||<-2> 2006 / 2008~2009 || || '''제작사''' ||<-2> [[현대로템|[[파일:현대로템 CI.svg|width=120]]]] || || '''소유기관'''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20]]]] || || '''운영기관''' || || '''차량배속''' ||<-2> [[용문차량사업소]] || || '''편성번호''' ||<-2> 321C01~21 || ||<-3> {{{#fff,#191919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19,500㎜ || || '''전폭''' ||<-2> 3,120㎜ || || '''전고''' ||<-2> 3,750㎜ || || '''궤간''' ||<-2> 1,435㎜ || || '''급전방식''' ||<-2> [[교류(전기)|교류]] 25,000V 60㎐ || || '''차상신호장치'''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제어방식''' ||<-2> [[도시바]] [[VVVF]]-[[IGBT]] || || '''동력장치''' ||<-2> [[교류(전기)|교류]] [[삼상|3상]] [[교류전동기#s-3.2.1|농형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2> 공기제동, 회생제동 || || '''주전동기 출력''' ||<-2> 200㎾[* 연속 정격출력 200㎾, 1시간 정격출력 230㎾] (270HP) || || '''편성출력''' ||<-2> 3200㎾[* 연속 정격출력 3200㎾, 1시간 정격출력 3680㎾] (4320HP) || ||<|2> '''최고속도''' || 영업 ||<|2> 110㎞/h || || 설계 || || '''기동 가속도''' ||<-2> 3.0 ㎞/h/s || ||<|2> '''감속도''' || 상용 || 3.5 ㎞/h/s || || 비상 || 4.5 ㎞/h/s || || '''MT 비''' ||<-2> 4M 4T[* Tc-M-M'-T-T-M-M'-Tc] || || '''대차''' ||<-2> DT50형 원추고무스프링 방식 볼스터리스 대차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용 중이며, 직결운행 이전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서 운행했던 통근형 전기동차. 현재 21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으며 본선 구간에서 운행되고 있다. 견인전동기 제어는 [[도시바]]제 [[IGBT]] 2레벨 [[VVVF]]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321000호대 자체는 [[용문차량사업소|용문차량기지]] 개업 이전은 [[이문차량사업소|이문차량기지]] 소속'''이었다. 그러나 1차분 중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의 구 분류인 5000호대 전동차 이적분인 {{{#72c7a7 321X01~07편성}}} 중에서는 과거 [[병점차량사업소|병점차량기지]] 소속 출신도 있으며, 해당한 편성은 {{{#72c7a7 321X01~03편성}}}. 이 차량들은 구 5X86~88편성이었으며, 이 차량들은 [[2007년 5월]] [[이문차량사업소|이문차량기지]]로 소속이 변경되어 321000호대의 일원이 되었다. 또 2차분 {{{#72c7a7 321X15~18편성}}}은 편성 중 과반수 이상의 객차가 [[병점차량사업소|병점차량시지]] 소속 출신이다. 왜냐하면 이 차량들은 구 5X86~88편성에서 빠진 객차의 일부와 구 5X79, 80편성의 운전실과 무동력차, 팬터그래프 없는 동력객차가 모두 이 객차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신호장비는 ATS-S1과 S2를 차용하고 있으며 S1은 도라산~문산에서, S2는 4현시 이상의 나머지 구간에서 사용중이다. 이 차량들은 [[시흥차량사업소|시흥차량기지]] 또는 [[문산차량사업소|문산차량기지]]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참고로 수도권 통근형 전동차의 중정비는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일정 등) 배속외 차량사업소에서도 시행할 수 있는 사항이라 특정 차량사업소에서만 받는다는 보장이 없다.] == 편성 == ||<-3> '''↑ 상행 ([[문산역|{{{#72c7a7 문산}}}]] 방면)''' || || '''3210##'''[br] '''(구 50##)'''[br] '''(구 60##)''' ||<-2>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211##'''[br] '''(구 52##)'''[br] '''(구 62##)''' ||<-2> M(주변환장치) || || '''3212##'''[br] '''(구 53##)'''[br] '''(구 63##)''' ||<-2>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213##'''[br] '''(구 58##)'''[br] '''(구 68##)''' ||<-2> T(부수차) || || '''3214##'''[br] '''(구 59##)'''[br] '''(구 69##)''' ||<-2> T(부수차) || || '''3215##'''[br] '''(구 56##)'''[br] '''(구 66##)''' ||<-2> M(주변환장치) || || '''3216##'''[br] '''(구 57##)'''[br] '''(구 67##)''' ||<-2>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219##'''[br] '''(구 51##)'''[br] '''(구 61##)''' ||<-2>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 '''↓ 하행 ([[지평역|{{{#72c7a7 지평}}}]] 방면)''' ||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경의선 출신 전동차]]들과 다르게 모든 편성이 8량 1개 편성이다. 따라서 321000호대는 4량 1편성 지선열차[* 문산/일산/[[대곡역(고양)|대곡]]↔[[서울역|서울]][br]문산↔[[용산역|용산]] ([[용산선]]까지만 운행)] 및 셔틀열차[* 문산↔[[임진강역|임진강]] (주중)[br]문산↔[[도라산역|도라산]] (주말 및 공휴일)] 운용에 투입되지 않고 본선에서만 운행한다.[* 지평역 착발은 지선 및 셔틀로 분류되지 않는다.] === 1차분 ([[2006년 4월|2006.04]]~[[11월|11]]) === * {{{#72c7a7 '''321x01~14편성'''}}} (구 5x86~92편성, 구 6x01~07편성) (총 8량 14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용했던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의 구 분류인 5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7개 편성[* 해당 차량의 경우 5x86~92편성]과 5x86~92편성에서 직류 운행 설비를 뺀 것만 빼고 동일한 차량인 6000호대 전동차[* 도입 직후 시운전 기간은 [[경원선]]에서 시운전을 하였다고 한다. 다만 교류 전용 전동차라 서울 지하철 1호선은 가지 않았다. 이 열차들은 [[수도권 전철 중앙선]] 외에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용산 - 동인천/천안 급행열차]]로도 쓰일 계획이 있다고 한다. 실제로 [[팔당역]] 연장 전 중앙선이 10량 편성으로 운행할 때는 중앙선 용산 종착 열차로 운행한 뒤 경인선 동인천급행 열차로 운행하거나 그 반대로 운행하는 스케줄이 존재했다. 천안급행같은 경우도 기술적으로는 운행이 가능하나 천안~청량리로 되돌아온 경우가 있어서 투입하지 못했다.] 7개 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 차대번호 개정 전까지 차대번호가 혼재되어 있으나 [[2007년]] [[덕소역]]~[[팔당역]] 연장으로 기존 10량에서 8량으로 감축 후 완전한 중앙선 전동차가 되었고 이후 차대번호 개정을 통해 321000호대로 변경되었다. 행선지 안내 LED 및 열차번호 서체는 HY헤드라인.[* 1호선의 {{{#0052a4 311x64~82, 319x01~07}}}, 분당선의 351x23~28편성과 같은 서체] 이 편성들이 퇴역할 때가 되면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311000호대]] 7차분전동차와 같이 [[대한민국]]에서 마지막으로 투핸들로 운행한 전동차가 된다. === 2차분 ([[2008년 1월|2008.01]]~[[6월|06]]) === * {{{#72c7a7 '''321x15~18편성'''}}} (총 8량 4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기존 편성을 8량으로 감축시킨 후 남는 차량을 개조하여 제작한 편성이다. 기존 차량의 부수차를 개조하여 편성했기 때문에 운전실이 있는 객차의 경우 부수차의 흔적이 보이기도 했다. 다만, 차량댓수가 애매하게 남아서 그런지[* 총 14편성을 8량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28량이 남게 되었는데 문제는 중앙선은 1편성이 8량으로 편성된단 것. 남은 4량을 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었기 때문에 새로 4량을 신조하여 1편성을 더 투입하게 되었다.] {{{#72c7a7 321x18편성}}}은 운전실과 팬터그래프가 없는 객차는 새로 제작하여 편성하였다. {{{#72c7a7 321x18편성}}}의 2008년식 M카 [[구동음]]도 기존 차량과 동일 모터지만 1차분과 약간 다르다. 기존 3세대 초기형(2005~2006년산)[[구동음]]이 아닌 [[2009년]]~2013년산 후기형 [[구동음]]을 낸다. 또한 개조와 동시에 객실 안내장치를 기존 3색 LED에서 LCD 방식으로 변경되어 좀 더 효율적으로 객실 안내를 담당하게 되었다.[* 다만 출입문 전체에 LCD를 달아놓아서 노선도들이 노약자석으로 밀려났단 단점이 있다. 헌데 [[2018년]] 말부터 이 LCD도 전 편성이 천장에 달린 LCD 전광판으로 교체되었다.] 하지만 직결 이후로는 운행한 행선의 전체 노선도를 표시 할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지평~문산 전 구간 정차역을 표시하기엔 한계에 부딪쳤단 이야기다.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경의선 열차]] 1차분도 동일하게 바뀌게 되었다. {{{#72c7a7 321x15~17편성}}}은 기존의 서체인 HY헤드라인을 썼지만 신조 제작된 {{{#72c7a7 321x18편성}}}은 Arial을 썼다. '''{{{#72c7a7 321x15, 16편성}}}은 경의중앙선 직결 전 경의선에서 운행한 적이 있다.''' 편성별로 개조 전의 차호는 다음과 같다. * {{{#72c7a7 '''321x15편성'''}}}: 5080[*A 개조전에는 투핸들 방식이었다.]->321015, 5587->321115, 5591->321215, 5487->321315, 5488->321415, 5589->321515, 5592->321615, 5180[*A]->321915 * {{{#72c7a7 '''321x16편성'''}}}: 5079[*A]->321016, 5279->321116, 5586->321216, 5490->321316, 5491->321416, 5679->321516, 6501->321616, 5179[*A]->321916 * {{{#72c7a7 '''321x17편성'''}}}: 6407->321017, 5280->321117, 5588->321217, 5879->321317, 5979->321417, 5680->321517, 5590->321617, 6403->321917 * {{{#72c7a7 '''321x18편성'''}}}: 6505->321218, 5880->321318, 5980->321418, 6507->321618 1차분과 다르게 원핸들 마스콘을 채용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기존 잉여분들을 개조했기 때문이다. === 3차분 ([[2009년 7월|2009.07]]~[[9월|09]]) === * {{{#72c7a7 '''321x19~21편성'''}}} (8량 3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2009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국수역]]~[[용문역(중앙선)|용문역]] 연장에 맞춰 도입된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편의시설을 대폭 늘린 전동차다. 이 차량들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331000호대 전동차처럼 출입문 경고음이 있고[* 다만 331000호대 전동차는 경고음이 교체되었다.] 전 차량 이적이나 개조 없이 모두 새로 제작된 객차로 이루어져 있다. [[2012년]]부터 {{{#72c7a7 321x20, 21편성}}}이 픽토그램 랩핑을 입힌 자전거열차로 개조됨과 동시에 8량 중 2량이 분당선 객차로 넘어갔으나 혼잡도 문제로 인하여 [[2014년]]에 다시 8량으로 환원된 덕분에 더욱 많은 인원과 자전거 등을 수송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분당선]]에서 도로 가져온 객차들은 외부에 픽토그램 래핑만 설치했을 뿐 내부 내장재는 거치대 추가 개조 없이 일반 객실로 이루어져 있다.[* 8량 환원 직후에는 나머진 랩핑인데 이 객차들만 분당선 도색이 그대로 남아 있기도 했다.] 2009년산 차량 중 유일하게 출입문에 붙은 주의스티커가 전부 제거되어 있다. {{{#72c7a7 321x20, 21편성}}}이 자전거열차로 랩핑될 때 제거된 것. 분당선으로 넘어간 객차들은 분당선으로 갈 때 다시 새로 붙였으나 중앙선으로 환원되고 자전거 열차 랩핑 과정에서 타 객차와 마찬가지로 전부 제거되었다. == 기타 == [[2011년]] [[10월 5일]]부터 [[2014년 2월]]까지 중앙선 전동차가 기존 8량에서 6량으로 객차 수가 축소되었다. 이유는 표면상으로는 차량 운행 효율화를, 실질적으로는 신차 도입 비용 절감을 위해서 여기서 차출된 객차들은 일부 설비를 개량하여 [[분당선]]의 연장에 따른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의 신형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폐차]]에 따른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의 신형 전동차의 객차로 들어갔다.[* 분당선은 2량씩 차출, 1호선은 4량씩 차출.] 하지만 안 그래도 선로 용량 때문에 배차 간격도 길어서 가뜩이나 서러운 중앙선에 차량마저 기존 8량에서 6량으로 칼질했으니 [[헬게이트]]가 열리는 건 당연지사.[* 사람 많은 출퇴근 시간, 주말, 공휴일 등에는 2~3분, 심하게는 5~6분이 지연되기도 했다. 물론 열차 안에 사람은 꽉꽉 차있고...] 이러한 불편이 계속되자 한국철도공사에서는 6량화 이후 [[수도권 전철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와 재조성을 하지 못한 잉여 차량과 재결합하여 일부 편성을 8량 1편성으로 환원하였고, 조금이라도 불편을 덜어내기 위해 신형 전동차인 [[수도권 전철 수인선|수인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4개 편성과,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2개 편성을 급한 대로 임시 차출하여 6량화로 인한 혼잡과 불편을 어느 정도 커버하려고 했다. [[2016년 5월]] 현재는 21개 편성 전체가 8량 환원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의 불편은 없는 상황이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49796|출입문 위 LCD가 기존 한국철도공사 2016년 도입이후 열차처럼 객실 중앙의 천장 밑 LCD로 교체되었다.]][* 출입문 위 LCD가 작동하지 않는 오류가 자주 발생해 교체한 것으로 추정된다. 321X15~21편성 모두 교체되었다. 다만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경강선 열차]] 처럼 LCD 상단에 현재 시각이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철거된 천장 LCD는 임시로 흰색 종이로 덮었다가 현재는 개조되었다. 그 자리에는 노선도가 조만간 부착될 듯 하다. 경의중앙선의 노선색은 연옥색이지만 전동차는 새로 도색을 하지 않고 기존 1호선의 자석무늬을 계속 사용한 채로 운행 중이다. 1~2차분 전동차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출입문 경고음이 없으나 간혹 도착선 변경으로 KTX, 무궁화호, 누리로, 급행전동열차, ITX-청춘 등 선행열차 대피 후 출발할 때 경고음이 울린다.[* 아무래도 중앙선, 경원선 구간에서 많이 들어볼 수 있다. 경의선 구간에선 선행 열차 대피하는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 경고음은 321x19~21, 같은 코레일 내 경춘선 36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2~4호선 전동차의 경고음과 비슷하다. {{{#72c7a7 321x15~18편성}}}은 개조당시에는 구형 ATS 속도계(아날로그 게이지)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신형 ATS 속도계(디지털 게이지)가 장착되었다. == 관련 문서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VVVF]]'''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분류:2006년 출시]] [include(틀:포크됨2, title=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d=2022-07-09 16:2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