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KBO 신인 드래프트)] [목차] == 개요 == [[1989년]] [[KBO 신인 드래프트]] (공식 명칭: '''1989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는 1차 지명과 2차 지명으로 진행되었다. == 1차 지명 == 1차 지명은 [[1988년]] [[11월 6일]] 각 팀에서 팀 별 연고지 내 고교 출신 선수 중 3명을 뽑았다. 한국 야구 역사상 1차 지명자가 3명이었던 마지막 해이다. 연고지가 겹치는 LG와 OB는 [[11월 4일]]에 1차 지명을 확정지었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 팀 || 1차 지명자 || ||[[OB 베어스]] ||[[이진(야구)|이진]] (배명고-성균관대, 투수) [br]김동현(배재고-동국대, 투수) [br][[김보선(야구)|김보선]](충암고-한양대, 투수)|| ||[[MBC 청룡]] ||'''[[김기범(야구)|김기범]]'''(충암고-건국대-한국화장품, 투수) [br]'''[[최훈재]]'''(중앙고-단국대, 외야수) [br][[나웅]](선린상고-한양대 내야수)|| ||[[롯데 자이언츠]] ||[[김청수]](마산상고-동아대, 투수) [br]'''[[서호진(야구)|서호진]]'''(동래고-경성대, 투수) [br][[김선일(야구)|김선일]](경남고-동아대, 포수)|| ||[[빙그레 이글스]] ||'''[[진정필]]'''(북일고-고려대, 투수) [br]'''[[황대연]]'''(대전고-고려대, 내야수) [br]'''[[강석천]]'''(대전고-인하대, 내야수)|| ||[[삼성 라이온즈]] ||하용석(경북고-한양대, 포수) [br]'''[[강영수(야구)|강영수]]'''(대구상고-한양대-한국화장품, 내야수) [br]'''[[최해명]]'''(포철공고-연세대-세일통상-무소속, 내야수)|| ||[[태평양 돌핀스]] ||허정욱(제물포고-고려대, 투수) [br]김형주(제물포고-단국대, 투수)※[br]윤형석(동산고-인하대, 투수)※|| ||[[해태 타이거즈]] ||'''[[이광우]]'''(군산상고-원광대, 투수) [br]'''[[이강철]]'''(광주일고-동국대, 투수) [br]장호익(군산상고-연세대-농협, 포수)|| == 2차 지명 == 이 해에도 꼴찌와 꼴찌 바로 앞의 팀에게 2차 우선 지명권을 2장 줬다. 이 제도는 다음 해 꼴찌에게만 해당되다가 그 다음 해에 폐지된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 라운드 ||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 [[MBC 청룡|MBC]] || [[두산 베어스|OB]] || [[삼성 라이온즈|삼성]] || [[롯데 자이언츠|롯데]] ||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해태 타이거즈|해태]] || ||<|2><:>1 || '''[[박준태(1967)|박준태]]''' [br] (광주일고-동국대,[br]외야수) || 한명수 [br] (보성고-동국대,[br]투수) ||<|2><:>'''[[구동우]]''' [br] (북일고-동아대,[br]투수) ||<|2><:>박용준 [br] (광주일고,[br]투수) ||<|2><:>'''[[김인호(야구)|김인호]]''' [br] (진흥고-성균관대,[br]내야수) ||<|2><:>김락기 [br] (동래고-동아대,[br]투수) ||<|2><:>'''[[윤재호(야구선수)|윤재호]]''' [br] (동대문상고-동국대,[br]내야수) || || 정명진 [br] (마산상고-경성대-상무,[br]투수) || 김덕근 [br] (경북고-연세대-농협,[br]투수) || || 2 || '''[[정명원]]''' [br] (군산상고-원광대,[br]투수) || 박성훈 [br] (부산고-경성대,[br]내야수) || '''[[이명수(1966)|이명수]]''' [br] (휘문고-고려대,[br]내야수) || 이종옥 [br] (경주고-건국대,[br]내야수) || '''[[이종운]]''' [br] (경남고-동아대,[br]외야수) || [[이종호(야구선수)|이종호]] [br] (북일고-동아대,[br]내야수) || [[김태완(1966)|김태완]] [br] (북일고-동아대,[br]내야수) || || 3 || 이상대 [br] (포철공고-성균관대,[br]외야수) || 이승범 [br] (동대문상고-농협,[br]내야수) || 김진규 [br] (북일고-농협,[br]투수) || 김대열 [br] (동대문상고-동국대,[br]포수)[br]※ || [[윤동배]] [br] (경남고-동아대,[br]투수) || '''[[박선일]]''' [br] (선린상고-경희대,[br]포수) || [[문승훈]][* 현 KBO 심판][br] (영흥고-계명대,[br]내야수) || || 4 || 김영범[* 내야수 [[김상수(타자)|김상수]]의 부친] [br] (대광고-농협,[br]내야수)[br]※ || 최준호 [br] (마산고-연세대,[br]투수) || 곽연수 [br] (보성고-동국대,[br]외야수) || [[나광남]][* 현 KBO 심판] [br] (진흥고-단국대,[br]외야수) || 김상우 [br] (동래고-경성대,[br]외야수) || 성군철 [br] (인천전문대,[br]내야수) || 패스 || || 5 || 김진한 [br] (보성고-인하대 중퇴-농협,[br]포수) || 패스 || [[하득인]] [br] (충암고-원광대,[br]내야수)[br]※ || '''[[김선진]]''' [br] (광주일고-연세대,[br]내야수)[br]※ || 패스 || 손경호 [br] (대구고-계명대,[br]내야수) || 패스 || || 6 || 김진휘 [br] (부산고-중앙대,[br]외야수)[br]※ || 패스 || 안종호 [br] (신일고-성균관대,[br]투수)[br]※ || 패스 || 패스 || 김성재 [br] (대구상고-영남대,[br]내야수)[br]※ || 패스 || == 드래프트 평가 == === 선수별 총평 === ==== [[태평양 돌핀스]] ==== ||<:><-3>
[[태평양 돌핀스|[[파일:태평양 돌핀스 엠블럼(1988~1993).png|width=55]]]] || ||<:><-3> [[태평양 돌핀스|{{{#ffffff '''태평양 돌핀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허정욱[br](제물포고-고려대 / 투수) || || || 1차 || 김형주[br](제물포고-단국대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1차 || 윤형석[br](동산고-인하대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고졸연고 지명 || 최윤석[br](원주고 / ) || || || 2차 1RD 1번 1 || [[박준태(1967)|박준태]][br](광주일고-동국대 / 외야수) || || || 2차 1RD 1번 2 || 정명진[br](마산상고-경성대-상무 / 투수) || || || 2차 2RD 1번 || [[정명원]][br](군산상고-원광대 / 투수) || || || 2차 3RD 1번 || 이상대[br](포철공고-성균관대 / 외야수) || || || 2차 4RD 1번 || [[김영범(야구선수)|김영범]][br](대광고-농협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5RD 1번 || 김진한[br](보성고-인하대 중퇴-농협 / 포수) || || || 2차 6RD 1번 || 김진휘[br](부산고-중앙대 / 외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MBC 청룡]] ==== ||<:><-3>
[[MBC 청룡|[[파일:MBC 청룡 엠블럼(1986~1989).svg|height=40px]]]] || ||<:><-3> [[MBC 청룡|{{{#ffff00 '''MBC 청룡'''}}}]]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김기범(야구)|김기범]][br](충암고-건국대-한국화장품 / 투수) || || || 1차 || [[최훈재]][br](중앙고-단국대 / 외야수) || || || 1차 || [[나웅]][br](선린상고-한양대 / 내야수) || || || 고졸연고 지명 1 || 김성원[br](경기상고 / ) || || || 고졸연고 지명 2 || 배현우[br](배명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3 || 강정학[br](선린상고 / 포수) || || || 고졸연고 지명 4 || 전태건[br](보성고 / 투수) || || || 2차 1RD 2번 1 || 한명수[br](보성고-동국대 / 투수) || || || 2차 1RD 2번 2 || 김덕근[br](경북고-연세대-농협 / 투수) || || || 2차 2RD 2번 || 박성훈[br](부산고-경성대 / 내야수) || || || 2차 3RD 2번 || 이승범[br](동대문상고-농협 / 내야수) || || || 2차 4RD 2번 || 최준호[br](마산고-연세대 / 투수) || || || 2차 5RD 2번 ||<-2> 패스 || || 2차 6RD 2번 ||<-2> 패스 || ==== [[OB 베어스]] ==== ||<:><-3>
[[OB 베어스|[[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height=40px]]]] || ||<:><-3>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이진(야구)|이진]][br](배명고-성균관대 / 투수) || || || 1차 || 김동현[br](배재고-동국대 / 투수) || || || 1차 || [[김보선(야구)|김보선]][br](충암고-한양대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1 || 송명철[br](덕수상고 / 포수) || || || 고졸연고 지명 2 || 조의수[br](성남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3 || [[김종석(1971)|김종석]][br](보성고 / 내야수) || || || 고졸연고 지명 4 || 홍길남[br](보성고 / 투수) || || || 2차 1RD 3번 || [[구동우]][br](북일고-동아대 / 투수) || || || 2차 2RD 3번 || [[이명수(1966)|이명수]][br](휘문고-고려대 / 내야수) || || || 2차 3RD 3번 || 김진규[br](북일고-농협 / 투수) || || || 2차 4RD 3번 || 곽연수[br](보성고-동국대 / 외야수) || || || 2차 5RD 3번 || [[하득인]][br](충암고-원광대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지명 거부 후 실업팀 입단, 1994년 태평양 지명) || || 2차 6RD 3번 || 안종호[br](신일고-성균관대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삼성 라이온즈]] ==== ||<:><-3>
[[삼성 라이온즈|[[파일:samsung_lions_logo_1989.png|height=40px]]]] || ||<:><-3> [[삼성 라이온즈|{{{#074ca1 '''삼성 라이온즈'''}}}]]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강영수(야구)|강영수]][br](대구상고-한양대-한국화장품 / 내야수) || || || 1차 || 하용석[br](경북고-한양대 / 포수) || || || 1차 || [[최해명]][br](포철공고-연세대-세일통상 / 내야수) || || || 고졸연고 지명 1 || 권봉석[br](경북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2 || 김성준[br](대구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3 || '''[[김상엽]]'''[br](대구고 / 투수) ||90년대를 대표하는 삼성의 프랜차이즈 투수. 90년대 150km를 던진 광속투수였으며 파워 커브 역시 굉장히 유명하였다. 이러한 피칭을 바탕으로 1993년 탈삼진왕, 1995년 17승 등을 달성하였다.|| || 고졸연고 지명 4 || 박정은[br](성광고 / 투수) || || || 2차 1RD 4번 || 박용준[br](광주일고 / 투수) || || || 2차 2RD 4번 || 이종옥[br](경주고-건국대 / 내야수) || || || 2차 3RD 4번 || 김대열[br](동대문상고-동국대 / 포수) || || || 2차 4RD 4번 || [[나광남]][br](진흥고-단국대 / 외야수) || || || 2차 5RD 4번 || [[김선진]][br](광주일고-연세대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1990년 MBC 지명) || || 2차 6RD 4번 ||<-2> 패스 || ==== [[롯데 자이언츠]] ==== ||<:><-3>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width=55]]]] || ||<:><-3>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김청수]][br](마산상고-동아대 / 투수) || || || 1차 || [[서호진(야구)|서호진]][br](동래고-경성대 / 투수) || || || 1차 || [[김선일(야구)|김선일]][br](경남고-동아대 / 포수) || || || 고졸연고 지명 1 || 이상번[br](현대공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2 || 정재민[br](용마고 / 투수)[* 삼성 라이온즈 내야수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의 외삼촌이다.] || || || 고졸연고 지명 3 || 추상완[br](동래고 / 내야수) || || || 2차 1RD 5번 || [[김인호(야구)|김인호]][br](진흥고-성균관대 / 내야수) || || || 2차 2RD 5번 || [[이종운]][br](경남고-동아대 / 외야수) || || || 2차 3RD 5번 || [[윤동배]][br](경남고-동아대 / 투수) || || || 2차 4RD 5번 || 김상우[br](동래고-경성대 / 외야수) || || || 2차 5RD 5번 ||<-2> 패스 || || 2차 6RD 5번 ||<-2> 패스 || ==== [[빙그레 이글스]] ==== ||<:><-3>
[[빙그레 이글스|[[파일:빙그레 이글스 화이트 엠블럼.svg|height=40px]]]] || ||<:><-3> [[빙그레 이글스|{{{#ffffff '''빙그레 이글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진정필]][br](북일고-고려대 / 투수) || || || 1차 || [[황대연]][br](대전고-고려대 / 내야수) || || || 1차 || [[강석천]][br](대전고-인하대 / 내야수) || || || 고졸연고 지명 1 || 손창현[br](청주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2 || 이은승[br](공주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3 || [[김용선(야구)|김용선]][br](세광고 / 내야수) || || || 2차 1RD 6번 || 김락기[br](동래고-동아대 / 투수) || || || 2차 2RD 6번 || [[이종호(야구선수)|이종호]][br](북일고-동아대 / 내야수) || || || 2차 3RD 6번 || [[박선일]][br](선린상고-경희대 / 포수) || || || 2차 4RD 6번 || 성군철[br](광주일고-인천전문대 / 내야수) || || || 2차 5RD 6번 || 손경호[br](대구고-계명대 / 내야수) || || || 2차 6RD 6번 || 김성재[br](대구상고-영남대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해태 타이거즈]] ==== ||<:><-3>
[[해태 타이거즈|[[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width=60]]]] || ||<:><-3>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이광우]][br](군산상고-원광대 / 투수) || || || 1차 || [[이강철]][br](광주일고-동국대 / 투수) || || || 1차 || 장호익[br](군산상고-연세대-농협 / 포수) || || || 고졸연고 지명 1 || 김정훈[br](순천상고 / 포수) || || || 고졸연고 지명 2 || [[강태원(야구선수)|강태원]][br](순천상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3 || 박병호[br](진흥고 / 포수) || || || 고졸연고 지명 4 || 정동해[br](진흥고 / 투수) || || || 고졸연고 지명 5 || 김정기[br](광주상고 / 내야수) || || || 고졸연고 지명 6 || 유창균[br](영흥고 / 투수) || || || 2차 1RD 7번 || [[윤재호(야구선수)|윤재호]][br](동대문상고-동국대 / 내야수) || || || 2차 2RD 7번 || [[김태완(1966)|김태완]][br](북일고-동아대 / 내야수) || || || 2차 3RD 7번 || [[문승훈]][br](영흥고-계명대 / 내야수) || || || 2차 4RD 7번 ||<-2> 패스 || || 2차 5RD 7번 ||<-2> 패스 || || 2차 6RD 7번 ||<-2> 패스 || === 팀별 총평 === * 태평양 돌핀스 : '''최악의 1차 지명, 인천소방서장을 뽑은 2차 지명'''. 인천야구 역사상 최약체 시기답게 뽑힌 1차 지명자는 형편없는 수준이었다.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제물포고]] 출신 1호 프로 선수인 허정욱을 제외한 1차 지명자는 모두 지명 포기 당했다. 허정욱은 그나마 한 두 해 태평양에서 잘 써먹었다가 은퇴해서 훗날 [[SK 와이번스]]에서 스카우터가 됐다. 정작 이 해의 가장 중요한 드래프트는 2차 1라운드 우선 지명자들이 아닌, 2라운드에서야 뽑힌 [[정명원]]이었다. 정명원의 활약이야 인천 야구 역사상 빼놓을 수 없는 인천의 수호신급이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 박준태는 태평양에서는 야구 천재라는 별명이 무색하게 형편없는 수준이었으며, LG로 트레이드된 이후에야 만개하게 되는데, 그나마도 체력문제로 봄에만 반짝하는 유형의 선수가 된다. * MBC 청룡 : '''다이스가 안 따라줘도 상대가 던지면 이긴다'''. 동전 던지기에서 패배한 몇 안 되는 해. 그러나 OB가 말도 안 되는 드래프트 전략으로 김기범을 버리고 이진을 선택하자 바로 김기범을 선택한다. 뭐 OB의 예상대로 리그 최고의 에이스는 되지 못 했지만, 아무래도 이진보다야... 게다가 최고의 백업, 대타였던 최훈재까지 픽하면서 MBC 청룡-LG 트윈스의 전성기를 이끈 드래프트로 평가받는다. 다만 2차 지명 선수들이 아무도 큰 활약을 보이지 못 한 것이 아쉬운 드래프트였다. * OB 베어스 : '''[[김기범(야구)|김]]거[[이진(야구)|이]] 하지만 2차 지명은 다르다!'''. 동전던지기를 이겼다! 그런데 이 해 투수 최대어였던 김기범을 거르고 미래 가능성을 본다는 이유로 좌완 이진을 픽한다.[* 김기범은 혹사 당해서 어깨에 부상이 있을 것이고, 이진은 어깨가 쌩쌩하기 때문에 선택했다고 한다.] 결과는 희대의 망픽. 첫 해에는 스윙맨으로 그럭저럭 활약했으나 이후에는 폭망했다. 게다가 김기범이라는 희대의 오나쌩을 라이벌 구단에게 안겨줬으니 매우 큰 마이너스 효과였다. 그나마 사이드암 투수였던 김동현이 선발에서 2, 3년 활약한 정도인게 최고의 실적이었다. 하지만 2차 지명은 그래도 MBC보다 더 나았는데, 구동우는 OB 투수진에서 좋은 활약을 보였고, 이명수는 [[안경현]] 이전 베어스 역사상 최고의 2루수로 꼽힌다. 곽연수도 백업으로 괜찮았던 편. * 삼성 라이온즈 : '''1988올림픽만 끝나길 기다렸지만'''. 1988 서울 올림픽으로 아마추어로 남아 있도록 요구받았던 [[강영수(야구)|강영수]]와 최해명을 입단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강영수는 낮은 타율로 인해 저평가를 받다가 OB로 이적한 뒤, 극강의 [[공갈포]]로 이름을 날렸고, 최해명도 기대만큼은 성장하지 못한 채 대타 요원으로 커리어를 마쳤다. 2차 1라운더는 광주일고를 졸업하고 삼성의 연습생으로 있던 좌완 박용준이었는데, 해태의 양해를 받아 지명하였다. 박용준 또한 [[김성근]] 감독 때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혹사당하다가 1993년 이후 부상으로 하락세를 겪다가 1995년에 은퇴했다. 그래도 고졸신인 연고지명에서 [[556#s-4|1990년대 중반의 암흑기]]에서 맹활약한 [[김상엽]]을 뽑은 것이 유일한 낙이라 할 수 있겠다. * 롯데 자이언츠 : '''V2의 기반을 마련하다'''. 1차 지명에서 롯데는 원하는 선수를 깔끔하게 뽑았다는 평이었다. 김청수와 서호진은 좋은 투수였는데, 특히 김청수는 이후 4년간 [[윤학길]]에 이은 2선발급의 활약을 보인다.(그러나 1991년 말 병역비리 사건 때 어머니와 누나가 입건된 일로 인해 기량이 하락하면서 그저 그런 선수로 커리어를 마감했다.) 김선일도 준주전급 포수로 수비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김인호(야구)|김인호]]는 롯데에서는 터지지 않았지만, 태평양 → 현대에서는 내외야를 넘나들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역사에 길이 남을 1996년 플레이오프 자진 헤드샷(...)으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이 해 가장 빛나는 별은 2차 2라운더 ~~델동님~~[[이종운]]이었다. 남두오성으로 이름을 날리며 롯데 V2의 선봉장이 되었다. 그 외에도 3라운더 윤동배도 투수진에서 궂은 역할을 하며 활약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상동 야구장]]의 소장이다. * 빙그레 이글스 : '''다이너마이트 타선에 불을 붙이다'''. 1차 지명자인 [[강석천]], [[황대연]]의 가세로 다이너마이트 타선은 더 강하게 타들어갔고, 진정필도 한화 투수진에서 가장 빛나는 별은 아니었지만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빙그레의 첫 전성기를 이끌었다. 2차 지명도 괜찮았던 편이라, 한 해 반짝이긴 했지만 신인으로 뛰어난 활약을 펼쳤던 김락기, 한국시리즈에서 [[김영덕]] 감독의 작전을 무시하면서 탈락의 원흉으로 지목당한 이종호도 나름 괜찮은 활약을 보였다. 포수 [[박선일]]은 팀을 옮기고야 빛을 발한 선수로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한다. 6픽 김성재는 계약금을 이유로 입단하지 않았고, 이듬해 1990년 LG 트윈스의 2차 4순위 지명을 다시 받아 입단했지만 시즌 중 성적 부진으로 방출당했다. 이후 1993년부터 2015년까지 모교인 영남대 야구부 타격코치를 맡아 아마야구계에서 좀더 이름을 알렸고, 2015년 말 경운중 야구부 감독으로 취임했다. * 해태 타이거즈 : '''되는 집은 뭘 해도 된다'''. 이 해 호남출신의 훌륭한 선수들이 매우 많았기 때문에 스카우트 팀에서도 행복한 비명을 지른 해였다. 서울 올림픽 국가대표 3인방인 이광우와 이강철, 그리고 1988년 지명한 조계현까지 한꺼번에 입단하게 되어 계약금 문제로 배부른 걱정을 할 정도였다. 다만 이강철은 한희민을 잇는 언더핸드 계보이자 한국 야구 사상 최고의 사이드암 투수 중 하나라는 평을 듣게 되지만, [[이광우]]는 이강철보다 더 높았던 기대치와는 달리 해태에서는 3년간 부진한 모습만 보였고, [[박노준]]을 상대로 OB에 트레이드된 후 제법 성공적인 커리어를 이어가게 된다. 장호익은 포수 경쟁에서 밀려 1군 무대에서 사라졌다. 이 드래프트에서 뽑힌 호남권 선수만 해도 박준태, 김선진, 정명원, 김인호 등이 있는데, 이 선수들의 활약상에 비하면 아무래도 아쉬움이 남는 드래프트라 할 수 있다. 다만 고졸연고 지명이었던 강태원은 좌완 불펜으로, 2차 1지명이었던 윤재호는 유격수로 좋은 활약을 보인다. 3지명으로 들어온 문승훈은 나중에 심판이 된다. == 이모저모 == * 해태 타이거즈의 3라운더 [[문승훈]]과 삼성 라이온즈의 4라운더 [[나광남]]은 훗날 심판으로 매우 큰 명성(...)을 얻게 된다. * 태평양 돌핀스의 4라운더 김영범은 [[김상수(타자)|김상수]]의 아버지로, 태평양에는 입단하지 않았고 그대로 농협에 남았다. * 삼성 라이온즈의 5라운더 [[김선진]]은 삼성에서 지명을 포기했고, 다음 해 LG에서 지명되어 활약하였으며, 지금도 타격코치로 큰 명성(...)을 얻고 있다. * OB 베어스의 5라운더 하득인은 지명을 포기하고 실업팀에 입단했다가 1994년 [[태평양 돌핀스]]에 입단한다. * 롯데 자이언츠의 3라운더 윤동배는 [[윤형배]]의 형이다. * 롯데 자이언츠의 고졸연고 지명자인 정재민은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의 외삼촌이다. [각주] [[분류:KBO 신인 드래프트]][[분류:한국프로야구/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