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QBS, other1=아이돌 티아라의 유닛, rd1=QBS(티아라))] ||||<:> {{{+2 '''한국DMB 주식회사'''}}} || ||||[include(틀:지도,장소=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한국DMB,너비=100%,높이=300px)]|| || 영문표기 ||Korea DMB, Inc. || || 설립일 ||[[2004년]] [[5월]] || || 해산일 ||[[2024년]] || || 업종명 ||국내방송업 || || 대표이사 사장 ||김경선 || || 상장유무 ||비상장기업 ||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288 (구로동)[br]대륭포스트타워1차 3층 || |||| [[http://www.kdmb.co.kr|한국DMB 회사홈페이지]][br][[http://www.qbsi.co.kr/|QBS 홈페이지]] || ||<-3> '''{{{+1 QBS}}}'''[br]QBS || ||<-2>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2> '''개국''' ||[[2006년]] 3월 || ||<-2> '''폐국''' ||[[2023년]] 12월 29일 || ||<-2> '''호출부호''' ||HLMB-TDMB || ||<-2> '''방송채널''' ||QBS YonhapTV, HD QBS YonhapTV, CJ ONSTYLE, HD CJ ONSTYLE, QBS DATA || ||<|2> '''방송[br]품질''' || '''화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대한민국/지상파|T-DMB]] [[SD(해상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fff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000000, 내용=240p(QVGA))]]], [[HD(해상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fff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000000, 내용=HD 720p)]]] || || '''음향''' ||[[AAC|[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fff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000000, 내용=MPEG-4 BSAC)]]], [[AAC|[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fff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000000, 내용=MPEG-4 AAC)]]] || ||<-2> '''언어''' ||[[한국어]] || ||<-2> '''가시청권역'''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 || ||<-2> '''운영''' ||한국DMB[* 송출권 및 QBS YonhapTV 채널 편성권, 데이터 채널 편성권.],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height=12]][* QBS YonhapTV 편성권.], [[파일:CJ온스타일 로고.svg|height=15]][* CJ ONSTYLE 채널 편성권.] || ||<-2> '''소유''' ||한국DMB || [목차] [clearfix] [[파일:한국DMB.gif]] 한국DMB 법인 로고 [[파일:QBS.png]] QBS 채널 로고 == 개요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대한민국/지상파|지상파 DMB]] 사업자. 호출부호는 HLMB-TDMB. == 역사 == 2004년 5월에 법인을 설립해 2005년 3월에 지상파 DMB 사업자에 선정되었고, 7월에 허가를 받아 12월에 시험 방송을 개국했으며, 2006년 3월에 정식으로 본 방송을 개국했다. 개국 당시의 채널 이름은 1to1. [[2007년]] [[10월]]에 각 지역의 MBC 계열 지상파 DMB 주파수 대역을 임대받아 전국방송까지 실시했었다. 2009년 4월 채널 이름을 UBS로 변경하며 오락채널에서 경제채널로 전환했고 8월에는 '''QBS'''로 변경했으나, 2010년 8월 수도권 외 지역의 송출을 중단했다. 2017년 9월, 회사의 최대주주가 [[스마트 mTV|스마트 DMB]]를 운영하는 옴니네트웍스로 변경되었다. [[https://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5030000&boardId=1113&boardSeq=45001&fbclid=IwAR1Ww558TnMQNDHmckGpqtGzI9kjng8HfGI-OckEIYEbd6B1Fy5XYvqRUtA|<2017년 제32차 위원회 결과>, 방송통신위원회, 2017.9.14]] 2022년 LD(QVGA) 저화질 채널의 송출이 중단되었으며 2023년 12월 29일 HD 고화질 채널까지 송출을 중단하고 18년의 역사를 뒤로 한 채 폐국할 예정이다.[[https://qbsi.co.kr/popup2.html]] 이로써 DMB 전문사업자는 YTN DMB 한 곳만 남았으며 타 매체와 겸영하지 않는 순수한 DMB 전문사업자는 '''모두 전멸했다.''' === 수중계 제휴방송국 === * 2010.11.1~2013.12.31 - [[연합뉴스]] [[http://www.inews24.com/view/525300|기사]] * 2014.1.1~2019.12.31 - [[JTBC]] [[https://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46834|기사]] * 첫 수중계는 2013.12.31일 특집 프로그램 <아듀 2013 해피 2014>으로, 프로그램 특성상 제휴체결시점보다 다소 이른 이 프로그램부터 수중계된 것으로 보인다. * 2019.12.31 21:30분 부터 특선영화 <[[꾼]]> 편성 관계로, QBS에서의 수중계 마지막 편성은 <[[JTBC 뉴스룸]]>이 되었다. * 2020.1.1~2023.12.29 - [[연합뉴스TV]] * 2020.1.1 6:30분 편성된 <신년특집뉴스>부터 수중계되었다. == 당시 채널 구성 == || 앙상블명 || 채널명 || 채널 형식 || 구분 || ||<|4><:>QBS || QBS (제휴방송국) || 비디오 채널 || 자체운영 || || (임대) || 비디오 채널 || 임대 || || QBS DATA || 데이터 채널 || 자체운영 || * QBS (제휴방송국)[* 수중계 방송에서는 [[지역 민영방송|지역민방]]에서의 [[SBS]] 로고 송출과 유사하게 QBS 로고와 원 방송국 로고가 병기되며, DMB 채널명은 'QBS 수중계채널' 형태로 표기된다. 이를테면 JTBC 제휴 시절에는 QBS JTBC, 연합뉴스TV 제휴 시절에는 QBS YonhapTV.] * 2005년 12월 1to1이라는 오락, 예능 채널로 출발했다. 한때 [[MSL]]과 [[MBC GAME]]에서 방송하는 프로리그를 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은 방송국. 1to1에서 UBS로 개편하면서 [[스타크래프트]] 중계를 중단해버려 항의하던 시청자들이 많았다. 2010년부터는 [[야구]] 중계를 시작. 2014년부터는 자체편성의 비율을 줄이고 [[JTBC]]와 제휴를 맺어 JTBC의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했다. 이후 2020년부터는 [[연합뉴스TV]]와 제휴를 맺고 프로그램을 수중계로 전환했다. * 임대 대역 * 타 방송사업자에게 한국DMB의 주파수 대역을 임대하여 송출했던 채널. 아래 역대 송출 채널 문단 참조. === 역대 송출 채널 === * QBS+ *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지역 MBC]] DMB 방송의 주파수 대역을 임대받아 송출한 지역 전용 채널. 수도권 본 채널과 편성은 같았지만 보도 등 일부 프로는 다른 프로로 대체했다. 2010년 8월 송출을 중단했다. * MBCNET(임대) * [[MBCNET]]이 한국DMB의 주파수 대역을 임대하여 송출했었던 채널. 2010년 5월 송출을 중단했다. * tvN go(임대) * [[CJ ENM]]이 운영하는 [[tvN]]이 한국DMB의 주파수 대역을 임대하여 송출했었던 채널. 2010년 5월 송출을 시작해 2013년 5월 송출을 중단했다. * #Love tbs(임대) * [[TBS|교통방송]]이 운영하는 tbs TV가 한국DMB의 주파수 대역을 임대하여 송출했었던 채널. 2014년 1월 송출을 중단했다. * GS SHOP(임대) * [[GS홈쇼핑]]이 한국DMB의 주파수 대역을 임대하여 송출했었던 채널. 2018년 11월 송출을 중단했다. * QBS JTBC * QBS의 편성 일부를 빌려 [[JTBC]]와 한국DMB가 공동 운영, 송출했었던 채널. 2014년 1월 송출을 시작해 2020년 1월 송출을 중단했다. * CJ ONSTYLE(임대) * [[CJ ENM/커머스 부문]]이 한국DMB의 주파수 대역을 임대하여 송출하는 채널. 2015년 7월 송출을 시작해 2023년 12월 송출을 중단할 예정이다. * QBS YonhapTV * QBS의 편성 일부를 빌려 [[연합뉴스TV]]와 한국DMB가 공동 운영, 송출했었던 채널. 2020년 1월 송출을 시작해 2023년 12월 송출을 중단할 예정이다. == 방송 송출 시설망 == ||<:><#eeeeee> 송신소 ||<:><#eeeeee> 주파수 ||<:><#eeeeee> 출력 ||<:><#eeeeee> 송신소 위치 || ||<:>관악산 송신소||<:><|15>8C[br](184.736MHz) ||<:> 2kW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3동 산3-1 || ||<:>남산 중계소||<:> 2kW ||<:>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불광 중계소||<:> 90W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파평 중계소||<:>20W ||<:> 경기 파주시 파평면 눌노리 산23-5|| ||<:>포천 중계소||<:> 20W ||<:> 경기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산98-5|| ||<:>하점 중계소||<:>90W||<:>인천 강화군 하점면 이강리 산173-3|| ||<:>계양산 중계소||<:>1kW||<:> 인천 계양구 목상동 산57-1 || ||<:>만월 중계소||<:>90W||<:>인천 남동구 간석3동 산32-1|| ||<:>안산 중계소||<:>20W||<:>경기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산40-1|| ||<:>용문산 중계소||<:>1kW||<:>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산2-1|| ||<:>운중 중계소||<:>20W ||<:>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산83|| ||<:>광주 중계소||<:>20W ||<:>경기 광주시 경안동 산20-42|| ||<:>용인 중계소||<:>90W ||<:>경기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3-1|| ||<:>이동 중계소||<:>90W||<:>경기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어비리 산80-1|| ||<:>안성 중계소||<:>90W ||<:>경기 안성시 당왕동 산26|| [[분류:지상파]][[분류:한국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