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韓流四大天王 == 개요 == 2000년대 [[일본]]에서 인기가 있던[*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도 인기가 상당히 높긴 했다.] [[한국]] [[남자]] [[배우]] 4인, [[배용준]], [[장동건]], [[이병헌]], [[원빈]]을 일본 언론 등에서 이르던 말. 과거 [[홍콩]]의 인기스타들을 가리키던 '[[사천왕|4대 천왕]]'([[유덕화]], [[여명]], [[곽부성]], [[장학우]])이라는 용어의 변형이다. == 상세 == 4대 천왕 중 한 명인 [[이병헌]]은 일본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2004년 [[NHK]] [[홍백가합전]]에 출연한 바 있고, '[[G.I. Joe - 더 라이즈 오브 코브라]]' 홍보를 위한 일본 방문에서 현지 팬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아, 동행했던 동료들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가장 인기가 많은 인물은 역시 욘사마 [[배용준]]. 일본에서 그의 인기는 다른 4대 천왕 모두를 합친 것보다 많다고 한다. 배용준의 겨울연가 이미지는 일본의 여러 대중미디어[* 고스트 바둑왕이나 신의 물방울 같이 한국에서 유명한 일본만화 속 캐릭터들도 다 겨울연가 배용준 이미지를 차용했었다. 겨울연가 일본 방영시기를 한참 지나서 나온 만화였음에도.]에서 이용될 정도로 막강했으니... 그 뒤를 잇는 [[이병헌]]이 나머지 중에선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 통설. 배용준이 [[넘사벽]], 이병헌은 그 다음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듯. 때문인지 일부 언론에선 아예 배용준은 따로 4대천왕을 넘는 한류신(...)으로 쳐서 4대천왕에서 빼고 대신 [[박용하]]나 [[송승헌]]을 추가하는 케이스도 있었다. [[장동건]], [[원빈]]의 경우 대중적 인기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비교적 젊은 층에 어필해 차이를 보였다는 의견도 있다. 2000년대 이후로는 언론에서도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였으나, 2020년대 들어 [[사랑의 불시착]]의 주연배우 [[현빈]]이 일본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4대천왕 세대 교체론이 한동안 떠돌기도 했다. [[분류: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