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문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1차 지명선수)] ---- || '''한문연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55]][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84년 한국시리즈|{{{#ed1c24 1984}}}]]''' || ---- [include(틀:NC 다이노스 2군 감독)] ---- ||<-5> '''{{{#ed1c24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번}}}''' || || 결번 || {{{+1 →}}} || '''{{{#ed1c24 한문연[br](1983~1992)}}}''' || {{{+1 →}}} || [[정호진(1974)|정호진]][br](1993~1998)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2번}}}''' || || 결번 || {{{+1 →}}} || '''{{{#fff 한문연[br](1993~2001)}}}''' || {{{+1 →}}} || 결번 || || 결번 || {{{+1 →}}} || '''{{{#fff 한문연[br](2003~2010)}}}''' || {{{+1 →}}} || [[가득염]][br](2011~2012)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78번}}}''' || || [[권두조]][br](2005) || {{{+1 →}}} || '''{{{#ffffff 한문연[br](2011)}}}''' || {{{+1 →}}} || [[최경환(야구)|최경환]][br](2012~2013)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82번}}}''' || || 팀 창단 || {{{+1 →}}} || '''{{{#00275a 한문연[br](2012~2021)}}}''' || {{{+1 →}}} || [[강인권]][br](2022~)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문연2021프로필.jpg|width=100%]]}}}|| ||<-2> '''{{{+2 한문연}}}[br]韓文埏 | Han Mun-Yeon''' || ||<|2> '''출생''' ||[[1961년]] [[4월 10일]] ([age(1961-04-10)]세) || ||[[경상남도]] [[마산시]][* 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성호초 - [[마산동중학교|마산동중]] -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상고]] -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 || || '''신체''' ||173cm, 85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s-2|1983년 1차 지명]] ([[롯데 자이언츠|롯데]]) ||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1983~1992)''' || || '''지도자''' ||[[롯데 자이언츠]] 1군 플레잉코치 (1992)[br][[롯데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1993~1997)[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배터리코치 (1998)[* ~6월 14일][br][[롯데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1998~2001)[* 1998년 6월 15일~2001년 6월 9일][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배터리코치 (2001)[* 6월 10일~] [br][[SK 와이번스]] 1군 배터리코치 (2002) [br][[롯데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2003~2010) [br][[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2군]] 배터리코치 (2011)[* ~8월 17일] [br][[SK 와이번스]] 1군 배터리코치 (2011)[* 8월 18일~] [br][[NC 다이노스]] 배터리코치 (2012) [br][[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2군]] 수석코치 (2013) [br][[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2군]] 감독 (2014) [br] [[고양 다이노스]] 감독 (2015~2018) [br][[NC 다이노스]] 잔류군 총괄·배터리코치 (2019) [br][[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2군]] 배터리코치 (2020~2021)[br] 한문연야구아카데미 감독 || || '''병역''' ||[[예술체육요원]][* 1978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 준우승[[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126990|#]]]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의 [[포수]]이자 前 [[NC 다이노스]] 2군 배터리코치. == 선수 경력 == >늘 같이 붙어다녔으니까 문연이는 내가 뭘 던질지 알고 있었지. 중요한 순간을 빼놓고는 서로 사인을 내지 않았었지. 낮게 앉아서 떨어지는 볼을 뒤로 빠트리지 않은 고마운 친구였다. >---- >[[최동원]]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상고]] 출신으로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를 거친 포수다. 어린시절 야구를 시작하기전에는 축구를 먼저 시작했다고 한다.[* 최동원 역시 축구를 먼저 시작하였다.] 아마 시절 포수로서 명성이 높아 [[동아대학교]] 4학년이던 1982년 [[대한민국]]에서 열린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발탁되었고, [[대한민국]]이 우승하면서 우승 멤버로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동아대 시절 4번 타순에서 내려와 본 적이 없다고 할 정도의 강타자였지만, 프로에서는 아마 시절만큼 타격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그는 [[KBO 리그]] 최초의 '에이스 전담포수'였다. 1983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해 같은 해 입단한 [[최동원]]과 함께 배터리를 구성하면서 롯데의 주전 포수로 뛰며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최동원]]의 공을 받아 내었고, 7차전에서는 7회초 추격의 발판이 되는 그 유명한 '''[[장효조]] 만세 사건'''을 일으키며 3루타를 기록하여 우승에 기여했다. [[장태수(1957)|장태수]]를 삼진으로 잡고, [[최동원]]과 함께 마운드에서 환호하는 영광을 갖기도 했다. 당시 롯데에는 국가대표 출신의 고참 포수 [[심재원(야구선수)|심재원]]이 버티고 있었지만 최동원이 직접 자신의 전담포수로 지목할 정도로 [[최동원]]에게 인정받았다.[* 한문연은 [[최동원]]이 선배인 심재원보다 후배인 자신을 좀 더 편하게 생각해서 지목한것 같다며 인터뷰에서 이야기한 적이 있지만, 이는 겸손의 표현에 가깝다. 앞서 설명했듯 한문연은 국가대표에도 선정되는 등 충분히 좋은 평가를 받는 포수였다.][* 아마시절에는 4번 타자를 맡았을 정도로 공격력도 준수했다. 동아대 4번 타자 출신이라는 이야기를 하던 당시 아저씨팬들이 많았다. 그러나 프로에서는 1984년을 정점으로 타격 성적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딱히 인상적인 공격력을 보여주지는 못 했다. 그러나 1984년에는 0.291의 타율을 기록하는 등 심재원보다는 훨씬 더 공격력이 좋은 편이었다.] [[파일:external/dimg.donga.com/52146097.2.jpg]] 1986년 6월 5일, [[카나이 마사유키|김정행]]이 당시 [[빙그레 이글스]]를 상대로 프로야구 사상 두 번째 노히트 노런을 기록할 때 포수로서 그의 공을 받기도했다. 초창기 롯데의 확고부동한 주전으로 뛰던 한문연은 1987년 [[스프링캠프]] 도중 어깨에 이상을 일으켰으며 이 과정에서 그 해엔 25경기 밖에 출전하지 못했고, 다음 해부터는 고참 [[김용운(야구)|김용운]]에 이어 1989년에 입단한 신예 김선일과 마스크를 나눠 쓰는 경우가 많았다. [[강병철]] 감독이 재부임한 1991년에는 당시 프로 3년차의 신인급 선수였던 [[김선일(야구)|김선일]]에게 주전포수 자리를 내주었으며, 1992년에는 플레잉 코치로 뛰면서 사실상 선수 생활을 매듭짓는 과정에 들어갔다. 그래도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도 엔트리에 들어 롯데가 차지한 2차례의 우승에 모두 함께 하는 기쁨을 끝으로 선수생활을 마무리했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에는 [[롯데 자이언츠]]와 [[SK 와이번스]]의 배터리 코치를 거쳐 2011년부터는 고향 팀인 [[NC 다이노스]]에 합류했다. NC가 1군에 합류하기 시작한 2013년에는 2군 수석 코치로서 사실상의 2군 감독 역할을 맡았으며, 2014년부터 정식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9 시즌부터는 잔류군 총괄 및 배터리코치를 맡게 되었고 2020 시즌을 앞두고는 2군과 잔류군이 통합 운영을 하게 되면서 2021시즌까지 2군 배터리 코치직을 맡게 되었다. 현재는 부산 강서구 대저동에서 한문연야구아카데미 감독을 맡고 있다. == 기타 == * [[이순철]]은 방송에서 선수 시절 가장 프레이밍이 뛰어나서 상대하기 힘든 포수로 주저 없이 한문연을 꼽은 바 있다. 프레이밍에 능해서 볼이 되는 변화구도 스트라이크처럼 잡아서 심판의 스트라이크 판정을 많이 이끌어냈을 정도. 거기다가 저 유명한 [[최동원]]의 전담 포수였던 것까지 더해져서 효과가 배가되었다.[* [[이순철]]은 "[[최동원]] 선배와 한문연 선배를 상대 배터리로 만나는 날에는 정말 경기장도 가기 싫고 타석에서도 삼진 좀 덜 당했으면 좋겠다는 생각뿐이었어요. 한문연 선배는 커브가 떨어지는데 볼이라서 (제가) 안 치면, 그 뚝 떨어지는 걸 이렇게 잡아서 신기하게 들어 올려버리니까~ 심판이 그걸 자꾸 스트라이크를 준다니까요. 그럼 또 삼진 먹고. [[최동원]] 선배 공을 치는 거 자체도 어려운데 한문연 선배가 잡는 것까지 그래버리니까~ 너~무 얄밉고 타석에도 너무 가기 싫었어요. 그러니까 저는 아주 얄미워 죽는 거죠. 정~말 상대하기 싫은 포수였어요."라고 회고했다.] 말하자면 당시 롯데에서 최동원+한문연 배터리는 전성기 시절 해태의 선동열+장채근 배터리에 해당하는 위력을 발휘했던 셈이다. * 선수 시절 [[최동원]]의 전담 포수였기 때문에 함께 방을 썼다. [[최동원]]은 워낙 철두철미한 자기관리로 정평이 나서 기어봉을 자주 잡으면 손에 무리가 가니 [[자동변속기]] 차를 타라고 하거나 다음날 저녁에 경기를 해도 꼭 그전날 밤 9시 전에 잠자리에 들고 아침 일찍 일어나서 운동을 하는 원칙을 지켰다. 다른 선수들은 술을 마시러 가는 경우도 있고 놀러 나가지 않더라도 자기들끼리 숙소에서 잡담도 하고 그러다가 늦게 자기도 했는데 [[최동원]]은 절대 그런 걸 용납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답답했던 한문연이 8시~9시쯤에 "선배님 내일 저녁 경기인데 TV라도 좀 보다 잡시다~"라고 하소연하면 [[최동원]]이 "쓰읍, 마 시끄럽다. 빨리 불 끄라!"라고 했고 후배였던 그는 찍소리도 못하고 불 끄고 잠자리에 들었다고 한다. 한문연은 이에 대해 회상하며 그때는 답답하기도 하고 잠도 안 오고 했지만 점점 적응이 되어가면서 그렇게 억지로라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다보니 본인도 컨디션이 좋아져서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걸 느꼈고, 자신도 많이 배울 수 있었다고 회고하였다. * 아들인 한주석도 야구선수였다. [[부경고등학교 야구부|부경고]]를 거쳐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에 진학했다. 원래는 투수였으나 고교 시절 간간이 포수를 봤고 대학에서 완전히 포수로 전향했다. 2학년을 마치고 1년 휴학했으며 2019년도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했고 졸업 유예를 신청해 대학에 1년 더 남게 됐다. 선수생활을 마치고 2023년 현재 연제구리틀야구단에서 코치로 활동중이다. * [[안중열]]이 부산고 시절에 한문연에게 가서 지도를 받았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1983 ||<|10> [[롯데 자이언츠]] || 57 || 123 || .220 || 27 || 3 || 0 || 1 || 9 || 8 || 1 || 13 || .268 || .292 || || 1984 || 63 || 141 || .291 || 41 || 7 || 0 || 4 || 16 || 14 || 0 || 19 || .426 || .375 || || 1985 || 97 || 270 || .267 || 72 || 12 || 0 || 3 || 29 || 27 || 2 || 25 || .344 || .323 || || 1986 || 86 || 228 || .250 || 57 || 10 || 0 || 2 || 15 || 20 || 0 || 16 || .320 || .297 || || 1987 || 25 || 55 || .200 || 11 || 1 || 2 || 0 || 2 || 3 || 0 || 6 || .291 || .279 || || 1988 || 62 || 119 || .261 || 31 || 8 || 0 || 0 || 20 || 9 || 2 || 12 || .328 || .326 || || 1989 || 78 || 168 || .256 || 43 || 8 || 0 || 0 || 16 || 14 || 1 || 19 || .304 || .328 || || 1990 || 90 || 218 || .252 || 55 || 11 || 0 || 1 || 31 || 16 || 2 || 27 || .317 || .329 || || 1991 || 89 || 146 || .288 || 42 || 8 || 2 || 2 || 24 || 6 || 0 || 16 || .411 || .354 || || 1992 || 31 || 22 || .091 || 2 || 0 || 0 || 1 || 1 || 2 || 0 || 2 || .227 || .167 || ||<-2> '''[[KBO 리그|KBO]] 통산[br](10시즌)''' || 663 || 1490 || .256 || 381 || 68 || 4 || 14 || 163 || 119 || 8 || 155 || .335 || .323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코치]][[분류:1961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1992년 은퇴]][[분류:마산합포구 출신 인물]][[분류:마산용마고등학교 출신]][[분류:동아대학교 출신]][[분류:우투우타]][[분류:포수]][[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병역특례자/야구]][[분류:원클럽맨/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