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송파구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9호선]][[분류:방이동]][[분류:201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3> {{{+2 '''한성백제역'''}}} || ||<-3> [[서울 지하철 9호선|[[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30]]]] || || [[개화역|{{{-1 {{{#585858,#a7a7a7 개화 방면}}}}}}]][br][[송파나루역|송파나루]][br]← 0.8 ㎞ || [[서울 지하철 9호선|{{{#!html
9호선
(935)
}}}]] || [[중앙보훈병원역|{{{#!wiki style="margin: -0px -10px" {{{-2 {{{#585858,#a7a7a7 중앙보훈병원 방면}}}}}}}}}]][[올림픽공원역|올림픽공원]][br]1.4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한성백제역, 너비=100%, 높이=100%)]}}} || ||<-3> '''역명 표기'''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 9호선}}}]] ||<-2> '''한성백제'''[br]{{{-2 Hanseong Baekje[br]漢城百濟 / 汉城百济 / ハンソンベクチェ}}}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지하29 ([[방이동]] 88-17)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 9호선}}}]] ||<-2>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 9호선}}}]] ||<-2> 2018년 12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nseongbaekje3.jpg|width=100%]]}}} || || '''{{{#fff 한성백제역 2번 출입구. 나머지 출입구는 캐노피로 되어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성백제대합실.png|width=100%]]}}} || || '''{{{#fff 대합실}}}''' || [[서울 지하철 9호선]] 935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지하29 ([[방이동]] 88-17) 소재. 2018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35한성백제.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백제고분로]]와 올림픽공원 남4문사거리가 교차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이 역부터 [[올림픽공원역]]까지는 올림픽공원 부지 밑을 S자로 통과한다. 곡선형의 노선 때문에 승강장도 상당히 구불구불하게 곡선을 그리고 있어 전동차가 정차할 때 안전발판이 작동되며, 안내방송도 나온다. 9호선 급행열차도 이 역을 통과할 때는 감속 운행한다. 9호선 계획 당시 임시 역명은 신방이역이었다. 2017년 9월 29일부터 10월 29일까지 동주민센터/이메일을 통해 역명 공모를 받았다. [[http://blog.naver.com/happysongpa/221108637110|#]] 해당 링크에서 예시로 제시하고 있는 역명은 '한성백제역'이다. 여담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 성내역(現 [[잠실나루역]])의 이름이 바뀔 때 동잠실, 여울목, 송파나루 등과 함께 역명 변경 후보로 거론됐었다. 바로 옆 역인 [[송파나루역]]과는 또 이런 인연을 가지고 있는 셈. 2018년 5월 21일, 서울특별시 제1차 지명위원회 심의 결과, 한성백제역으로 선정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097784|#]] 인근에 [[몽촌토성]]과 한성백제박물관이 있고, 몽촌토성이 [[풍납토성]]과 함께 백제의 수도인 하남 [[위례성]]이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라고 한다. 2018년 8월 2일, 서울특별시 고시 제2018-251호에 의거, 한성백제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한성백제역 대합실은 좋게 보면 일관되어 깔끔한 디자인, 나쁘게 말하면 지루한 디자인을 가진 9호선 내에서도 가장 독특한 디자인을 자랑하는 역이다. 이는 지하철 역사 자체를 문화 콘텐츠로 만들고자 한 서울시의 정책에 따른 것이다. 디자인은 디자인그룹메카에서 구상했으며, ‘흙’을 주제로 하여 백제 고분과 토기를 연상시키는 디자인 콘셉트를 내세웠다. 이는 9호선 한성백제역 주변이 풍납토성, 몽촌토성의 유적지이며, 인근의 송파나루는 해상 진출지로서 천년의 역사를 지닌 주요 거점이었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었다.[[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6/79826?per_page=1&sch_txt=|관련 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15164&page=2|해당 역 엘리베이터 모습]]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15359&page=2|외부 모습]] == 역 주변 정보 == 올림픽공원 남4문, 소마미술관, 송파방이공원, [[방이중학교]], 방이2동주민센터 등이 있다. 게다가 역의 일부가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부지 내에 있기 때문에 [[KSPO 돔]]이나 [[SK핸드볼경기장|SK올림픽핸드볼경기장]] 등 콘서트 관람객이나 나들이객의 수요를 분담해주고 있다. 8호선 [[몽촌토성역]]과 거리가 상당히 가깝다. 역 앞의 버스 정류장 이름도 '몽촌토성역, 한성백제역'일 정도. 하지만 둘 사이의 환승은 안 된다. 몽촌토성역 2번출구와 한성백제역 1번 출구를 기준으로 두 역 사이의 거리는 불과 '''223m'''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근처에 8호선 환승역인 [[석촌역]]이 있고, 유동인구도 그닥 많지는 않아, 환승역으로 건설할 필요성이 크지 않았기에 여기를 억지로 환승역으로 건설하지는 않았다.[* 이 정도면 [[막장환승]]이긴 하지만 [[미아사거리역]]은 추후 [[동북선]]이 개통하면 이것보다 환승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2번 출구 앞에 자동화 기계식 자전거 주차타워가 있다. 요금도 무료이고 이용방법도 편리하다. 참고로 자전거 도난은 불가능하니 자출 시 참고해두자. 그리고 여기서 [[따릉이]]도 대여할 수 있다. 다만, 72시간 이상 주차 시 '''수거 후 강제처분'''되니 유의하도록 하자. 또한 --당연하겠지만-- 픽시나 펫바이크, 세발자전거는 주차할 수 없다. [[파일:자전거 주차타워.gif|width=500]] == 연계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c3c6c8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24396/24241)'''}}}}}} {{{#!wiki style="text-align: left"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별 노선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4> || ||<-2> [[http://kko.to/hxZfpJD_l|{{{#373a3c,#dddddd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24396)'''}}}]][br]{{{-1 올림픽베어스타운아파트 방면}}} || || [[간선버스(서울)|{{{#ffffff '''서울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3|{{{#ffffff 333{{{-2 (복정역환승센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0|{{{#ffffff 340{{{-2 (강남역)}}}}}}]]}}} || || [[지선버스(서울)|{{{#ffffff '''서울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2|{{{#ffffff 3412{{{-2 (강동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3|{{{#ffffff 3413{{{-2 (강동공영차고지)}}}}}}]]}}} || || [[경기도 시내버스|{{{#ffffff '''경기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30|{{{#ffffff 30(남한산성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30-5|{{{#ffffff 30-5(하남BRT환승센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35|{{{#ffffff 35(감일지구)}}}]]}}} || ||<-4> || ||<-2> [[http://kko.to/zBOonmBPr|{{{#373a3c,#dddddd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24241)'''}}}]][br]{{{-1 잠실역 방면}}} || || [[간선버스(서울)|{{{#ffffff '''서울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0|{{{#ffffff 340{{{-2 (강동공영차고지)}}}}}}]]}}} || || [[지선버스(서울)|{{{#ffffff '''서울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2|{{{#ffffff 3412{{{-2 (강남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3|{{{#ffffff 3413{{{-2 (삼성서울병원)}}}}}}]]}}} || || [[경기도 시내버스|{{{#ffffff '''경기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30|{{{#ffffff 30(잠실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30-5|{{{#ffffff 30-5(잠실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35|{{{#ffffff 35(잠실역)}}}]]}}} || }}}}}}}}}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9호선|[[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8년 || 3,397명 || [* 개통일인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9년 || 4,152명 || || || 2020년 || 3,549명 || || || 2021년 || 4,025명 || || || 2022년 || 4,633명 || || || 2023년 || {{{#bdb092 5,32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2252&srvType=S&serviceKind=1¤tPageNo=1|서울열린데이터광장]][br][[https://www.kric.go.kr/jsp/industry/rss/citystapassList.jsp?q_org_cd=A010010011&q_fdate=2023|국토교통부 철도통계]][* 2023년~] || }}} * 9호선에서 35위로 [[둔촌오륜역]]과 [[동작역]], [[개화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적다. * 주변에 역이 가까운 곳에 있어 이용객이 분산된다. 2호선이 가까이 있어 강남방면 교통흐름이 분산된다는 점은 9호선 3차 구간 급행 미정차역의 전반적 특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역은 그 중에서도 유독 주변에 역이 더 많다. 당장 '''역 바로 앞'''에만 해도 8호선 [[몽촌토성역]]이 있어 강남 방면 이용객이 많이 분산되고, 그 몽촌토성역도 [[잠실역]]이 가까워 버스로 잠실역까지 직접 가는 수요로 분산된다. 몽촌토성역 외에는 상술했듯이 2호선 잠실역이 약 1.5km 거리, 같은 9호선 상의 환승역인 올림픽공원역이 1.6km 거리에 있어 위치적으로 수요를 끌어모으기에는 어려운 요인을 가지고 있다. * 또한 9호선 역도 가까이 있다. 같은 동에 [[송파나루역]]이 있어 역이 두 개나 있는데, 덕분에 방이2동 이용객을 갈라먹는다. 이 역은 방이2동 구석에 있고 동쪽으로는 올림픽공원뿐이라 주거지가 없어 이용객 수를 끌어오는데 더욱 불리하다. 더군다나 역세권도 매우 좁다. [[위례성대로]] 상에 역이 있지만 [[오금동(서울)|오금동]] 등 5호선 이남 지역에서는 [[올림픽공원역]]이 훨씬 더 가까운데다가 급행 정차역이다. 따라서 버스 연계도 상당히 나쁜 편이다. 결국 역세권은 방이2동 인근 지역으로 한정된다. * 여담으로 상행 기준 다음역인 송파나루역이 급행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정차하는 역이기 때문에 급행열차를 이용하려면 아이러니하게 이전역인 올림픽공원역으로 가야 한다. 한성백제역에서 상행으로 일반열차를 타서 송파나루역에서 대기했다가 [[석촌역]]으로 가면 이미 급행은 지나간 뒤이기 때문이다.[* 급행열차 배차간격은 출퇴근시간 기준 6-8분, 일반적으로 10분 이상이기에 올림픽공원역에서 환승하면 석촌역에서보다 자리도 널널하고 10분이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다만 올림픽공원역에 도착하면 이미 급행은 떠나고 없다. 차라리 [[서울 버스 340|340번]]을 타고 석촌역으로 가는게 훨 나을 지경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성백제승강장.png|width=100%]]}}}|| || '''{{{#fff 9호선 승강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성백제역명판.png|width=100%]]}}}|| || '''{{{#fff 9호선 역명판 }}}''' || 대합실이 토성의 이미지를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황토색의 비주얼을 자랑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정작 승강장은 전형적인 9호선 스타일로 건축되었다. 한성백제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포함되었다. ||<-4> [[송파나루역|송파나루]] ↑ || || ㅣ || {{{#ffffff 상}}} || {{{#ffffff 하}}} || ㅣ || ||<-4> ↓ [[올림픽공원역|올림픽공원]] || || {{{#ffffff 하}}} ||<|2>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2> 일반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신논현역|신논현]]·[[김포공항역|김포공항]]·[[개화역|개화]] 방면|| || {{{#ffffff 상}}} ||[[올림픽공원역|올림픽공원]]·[[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 방면||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