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팀)] ---- || '''{{{#910f1b 한현석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include(틀: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우승 선수)] ---- [include(틀:러너웨이/오버워치)]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롤스타 상/SUPPORT)]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우승 선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iYo_ATL_2023.png|width=100%]]}}} || ||<-2> '''{{{+1 ChiYo}}}''' || ||<-2> '''{{{#c4c4c4 한현석 (Han Hyeon-seok)}}}''' || || '''생년월일''' ||[[2003년]] [[9월 8일]] ([age(2003-09-08)]세) || || '''국적'''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 '''ID''' ||'''ChiYo[* ChiYo 닉네임을 가진 계정이 두 개다]''' JINGBERGUR[* [[징버거]] ]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UPPORT || || '''주 영웅''' ||[[루시우(오버워치)|[[파일:루시우 초상화.png|width=30]]]] [[메르시|[[파일:메르시 초상화.png|width=30]]]] [[바티스트(오버워치)|[[파일:바티스트 초상화.png|width=30]]]] [[아나(오버워치)|[[파일:아나 초상화.png|width=30]]]] [[브리기테|[[파일:브리기테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파일:VX_Gaming_logo2_200_200.png|width=20]] VX Gaming (2018.04.28 ~ 2018.05.22) [[파일:1K_logo.png|width=20]]1k (2018.08.18 ~ 2018.09.08) [[파일:WildCat_logo.png|width=20]] Wild Cat (2018.10.23 ~ 2018.11.09) '''[[Griffin/오버워치|[[파일:팀그리핀.png|width=20]] Griffin]]''' '''(2019.01.27 ~ 2019.11.14)''' '''[[러너웨이/오버워치|[[파일:Runawaylogo.png|width=25]] RunAway]]'''[br]'''(2019.12.24 ~ 2021.06.14)''' '''[[O2 Blast|[[파일:O2 BLAST 2019 logo.png|width=18]] O2 Blast]]'''[br]'''(2021.06.27 ~2021.10.21)''' '''[[댈러스 퓨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0]] 댈러스 퓨얼]][br](2021.10.21 ~ 2022.12.24)''' '''[[애틀랜타 레인|[[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20]] 애틀랜타 레인]][br](2022.12.24 ~ 2023.11.11)''' || ||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23 오버워치 월드컵|2023]]) || |||| [[https://twitch.tv/chiyo_ow|[[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18]]]]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iYo_ow1,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iyo-msm-1920.png |width=100%]]}}} || || ''' {{{#910f1b Han "ChiYo" Hyeon-seok}}}'''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현 [[애틀랜타 레인]] 소속 메인 힐러이다. == 커리어 == ||<-5> '''{{{#fff 우승 경력}}}''' || ||<-5> '''[[NetEase Esports X Tournament|2020 오버워치 NeXT Cup Summer]] 우승''' || || [[Team CC]] || → || '''RunAway''' || → || ''미정'' || ||<-5>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 우승''' || || [[O2 Blast]] || → || '''O2 Blast''' || → || 미정 || ||<-5> '''[[NetEase Esports X Tournament|2021 오버워치 NeXT Cup Winter]] 우승''' || || [[Team CC]] || → || '''[[O2 Blast]]'''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서머 쇼다운|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서부]] 우승''' || || [[LA 글래디에이터즈]] || → || '''댈러스 퓨얼'''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댈러스 퓨얼'''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2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댈러스 퓨얼''' || → || 미정 || ||<-5> '''[[2023 오버워치 리그/미드시즌 매드니스|2023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우승''' || || [[LA 글래디에이터즈]] || → || '''애틀랜타 레인''' || → || 미정 || ||<-5> '''오버워치 2 플래시옵스: 아시아 왕중왕전 우승''' || || || || '''HAMSTER''' || || || ||<-5> '''{{{#fff 준우승 경력}}}''' || ||<-5> '''[[2019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2]] 준우승''' || || [[White Whale Incheon eSports]] || → || '''Griffin''' || → || [[Team BM RAVEN]] || ||<-5>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시즌 2]] 준우승''' || || [[Element Mystic/오버워치|Element Mystic]] || → || '''RunAway''' || → || [[Talon Esports/오버워치|Talon Esports]] || ||<-5> '''[[2022 오버워치 리그/킥오프 클래시|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서부]]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댈러스 퓨얼'''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5> '''{{{#fff 수상 경력}}}''' || ||<-5> '''[[2022 오버워치 리그]] 롤스타상 SUPPORT 부분''' || || [[김진서(프로게이머)|shu]][br][[김민철(2000)|IZaYaKI]][br][[권준(프로게이머)|Fielder]][br][[이재곤(프로게이머)|LeeJaegon]] || → || [[김진서(프로게이머)|shu]][br][[김민철(2000)|IZaYaKI]][br][[권준(프로게이머)|Fielder]][br][[한현석|ChiYo]] || → || ''미정'' || == 플레이 스타일 == >'''오버워치에 사실 힐러듀오로 유명한 선수들이 많았거든요 (중략) 근데 그 누구도 부정 못하죠, 이 둘[* 치요-필더]이 세계 최강이라는걸요''' >---- >- 오버워치 리그 2023 미드시즌 매드니스 결승전 중 [[장지수(해설가)]]의 언급 메인힐러 포지션으로 매우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 수비하거나 버텨야 할 상황에선 엄청나게 잘 버틴다]을 보여주고 있다. [[솜츠]] 메타가 유행할 당시 상대 EMP에 루시우로 카운터 소리 방벽을 잘 치는 편이었는데, 33이 무너진 후에도 적극적인 루시우 운용으로 킬로그에 자주 이름을 올리며, 그로 하여금 빠르게 소리 방벽을 채워낸다. 경기 시 대부분 상대 루시우보다 궁극기 게이지가 빨리 차는 편이다. 이후 서브힐러가 담당하던 브리기테가 메인힐러가 담당하는 메타로 바뀌고 브리기테[* 특히 방벽으로 펄스를 막는 장면은 셀 수 없을 정도로 자주 막으며, 펄스로 죽는 횟수를 세는게 빠를 정도로 정말 잘 안죽어준다] 를 담당하게 되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궁극기를 상당히 잘 채우는 편이다. 메르시 또한 뛰어난 실력이고, 가장 자신있는 영웅으로 메르시를 꼽았다. 서브힐러에 버금가는 에임이기에 투섭힐 체제에서 바티스트도 무난하게 소화하였고 킬로그에 종종 이름을 올린다. 오버워치 리그에서 댈러스 퓨얼로 데뷔하고 나서부터 본대 싸움에서 상당한 피지컬을 보여주었다. 댈러스 퓨얼에서 함께하게 된 [[필더]]와 함께 공격적이지만 정말 단단한 뒷라인을 구성하여 상대 다이브를 전부 받아내고도 살아남는 장면을 자주 보여준다.[[https://youtu.be/X1yCw7B521g?t=16123|#]][* 3일차|미드시즌 매드니스|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https://youtube.com/shorts/-x-YUrtTVQ0?feature=share|#]][* 3주차 2일|서머 퀄리파이어|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 기본적으로 뛰어난 에임과 높은 게임 이해도[* 브리기테가 특히 치요 선수의 게임적 지능을 잘 보여준다. 방밀, 도리깨 밀치기, 쿠키 모두 효율적이며 매 번 근거를 가지고 스킬셋을 돌린다. 프로씬에서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포지션과 스킬 분배가 프로 수준에서도 한 차원 다른 예술적인 경지다]를 갖추었기 때문에 매번 메타에 잘 맞게 영웅을 준비해온다. 개인방송에서 밝히길 팀에서는 궁체크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언급하였다. == 프로게이머 생활 == === 프로 데뷔 이전 === 2018년, 만 14세의 나이로 오픈 디비전 시즌 2에 VX Gaming 소속으로 데뷔하였다. 시즌 3에는 1k 팀으로 출전했으며, 같은 해 컨텐더스 트라이얼 시즌 3에 Wild Cat 소속으로 출전했다. VX Gaming 경기 영상 오픈 디비전 시즌2 A조 2경기 5월 22일 화요일 19:00 VX Gaming 1 : '''3 [[ARMAMENT]]''' [[https://www.twitch.tv/videos/266843012|#1]] [[https://www.twitch.tv/videos/266843014|#2]] [[https://www.twitch.tv/videos/266843013|#3]] [[https://www.twitch.tv/videos/266843015|#4]] Wild Cat 경기 영상 ||<-12><:><#43484C> '''{{{#white 2경기 (오후 5:00)}}}''' || ||<#FFFFFF><-5><:>[[파일:FOXES_logo_100_100.png|width=50]][br]FOXES||<:> 3 ||<:> 2 ||<#FFFFFF><-5><:>[[파일:WildCat_logo.png|width=50]][br]Wild Cat|| ||<-5><#8cf><:> '''승''' ||<-2><:><#8cba11> '''{{{#000000 결과}}}''' ||<-5><#ffffff><:> 패 || ||<#fff><-12> '''경기 영상''': [[https://www.twitch.tv/videos/326321869|1]] [[https://www.twitch.tv/videos/326325495|2]] [[https://www.twitch.tv/videos/326329737|3]] [[https://www.twitch.tv/videos/326334438|4]] || ||<-12><:><#43484C> '''{{{#white 2경기 (오후 5:00)}}}''' || ||<#FFFFFF><-5><:>[[파일:WildCat_logo.png|width=50]][br]Wild Cat||<:> 1 ||<:> 3 ||<#FFFFFF><-5><:>[[파일:monKaS_logo.png|width=50]][br]Mono Frog|| ||<-5><#ffffff><:> 패 ||<-2><:><#8cba11> '''{{{#000000 결과}}}''' ||<-5><:><#8cf> '''승''' || ||<#fff><-12> '''경기 영상''': [[https://www.twitch.tv/videos/326732487|1]] [[https://www.twitch.tv/videos/326736262|2]] [[https://www.twitch.tv/videos/326740628|3]] [[https://www.twitch.tv/videos/326746982|4]] || ||<-12><:><#43484C> '''{{{#white 1경기 (오후 3:00)}}}''' || ||<#FFFFFF><-5><:>[[파일:WildCat_logo.png|width=50]][br]Wild Cat||<:> 0 ||<:> 4 ||<#FFFFFF><-5><:>[[파일:Goin_Water_S_logo.png|width=50]][br]GoinWaterS|| ||<-5><:><#FFF> 패 ||<-2><:><#8cba11> '''{{{#000000 결과}}}''' ||<-5><#8cf><:> '''승''' || ||<#fff><-12> '''경기 영상''': [[https://www.twitch.tv/videos/329253660|1]] [[https://www.twitch.tv/videos/329255722|2]] [[https://www.twitch.tv/videos/329258041|3]] [[https://www.twitch.tv/videos/329262417|4]] || ||<-12><:><#43484C> '''{{{#white 3경기 (오후 7:00)}}}''' || ||<#FFFFFF><-5><:>[[파일:Sevenlogo600px.png|width=50]][br]SEVEN||<:> 4 ||<:> 0 ||<#FFFFFF><-5><:>[[파일:WildCat_logo.png|width=50]][br]Wild Cat|| ||<-5><:><#8cf> '''승''' ||<-2><:><#8cba11> '''{{{#000000 결과}}}''' ||<-5><#ffffff><:> 패 || ||<#fff><-12> '''경기 영상''': [[https://www.twitch.tv/videos/329703315|1]] [[https://www.twitch.tv/videos/329706815|2]] [[https://www.twitch.tv/videos/329709743|3]] [[https://www.twitch.tv/videos/329713941|4]] || ||<-12><:><#43484C> '''{{{#white 1경기 (오후 3:00)}}}''' || ||<#FFFFFF><-5><:>[[파일:WildCat_logo.png|width=50]][br]Wild Cat||<:> 0 ||<:> 4 ||<#FFFFFF><-5><:>[[파일:Storm Quake.png|width=50]][br]StormQuake|| ||<-5><:><#FFF> 패 ||<-2><:><#8cba11> '''{{{#000000 결과}}}''' ||<-5><#8cf><:> '''승''' || ||<#fff><-12> '''경기 영상''': [[https://www.twitch.tv/videos/332296985|1]] [[https://www.twitch.tv/videos/332297291|2]] [[https://www.twitch.tv/videos/332297614|3]] [[https://www.twitch.tv/videos/332301044|4]] || ||<-12><:><#43484C> '''{{{#white 2경기 (오후 5:00)}}}''' || ||<#FFFFFF><-5><:>[[파일:WildCat_logo.png|width=50]][br]Wild Cat||<:> 1 ||<:> 3 ||<#FFFFFF><-5><:>[[파일:BlossoM_logo_200_200.png|width=50]][br]BlossoM|| ||<-5><:><#FFF> 패 ||<-2><:><#8cba11> '''{{{#000000 결과}}}''' ||<-5><#8cf><:> '''승''' || ||<#fff><-12> '''경기 영상''': [[https://www.twitch.tv/videos/332710588|1]] [[https://www.twitch.tv/videos/332714426|2]] [[https://www.twitch.tv/videos/332719128|3]] [[https://www.twitch.tv/videos/332724367|4]] || === [[Griffin/오버워치|그리핀]] === 이후 [[Griffin/오버워치|그리핀]][* (구)콩두 판테라]에 입단해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시즌 1에 출전했다. 시즌 2 컨텐더스 트라이얼 이후 11월 14일에 공식적으로 팀과 계약을 해지했다.[* 이후 그리핀 오버워치 팀이 운영을 종료하였다.] === [[러너웨이/오버워치|러너웨이]] === 한 달 뒤인 12월 24일, 전 항저우 스파크의 서브 힐러 [[안형근|Revenge]]와 함께 러너웨이에 입단한다. 초반에는 [[김성준(프로게이머)|슬라임]]과[[이재곤(프로게이머)|이재곤]]의 모습처럼 보여주지 못했으나, 후반에 점점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을 되찾으면서 컨텐더스 최고의 메인 힐러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2020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1 2주차 TOP 5 플레이에 선정되었다.[* 빛지컬] [[https://youtu.be/Klakk0NUzAw?t=62|#]] 2020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1 준결승전 WGS과의 경기에서 왕의 길 수비에서 방밀로 칼같은 EMP 캔슬을 보여주었다.[[https://youtu.be/NsYglq7yZGQ?t=3050|#]] 바로 다음경기인 오투와의 경기에서도 오아시스 2세트에서 방밀로 EMP 캔슬을 보여주었다.[[https://youtu.be/NsYglq7yZGQ?t=9051|#]] 2020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2 준결승전에서 탈론과의 경기에서 네팔 3세트에 슈퍼세이브를 성공시켰다.[* 상대 EMP보다 궁게이지가 밀리고 있던 상황에서 루시우 궁게이지 25%를 10초컷하고 비트 카운터를 쳤는데 포지션 자체가 말이 안됐다. 그리고 이번 시즌 내내 거의 메르시만 했음에도 뛰어난 카운터 실력을 보여준 것(저번 시즌도 브리기테 위주였음)] [[https://twitter.com/Runaway_OW/status/1317076668624773120?s=20|트위터]][[https://youtu.be/lirdMHzcJ_g?t=21174|원본]] 2020 오버워치 건틀렛 Flag Gaming과의 경기에서 메르시 발키리로 슈퍼플레이를 보여주었다.[* 매번 메르시로 빨대만 꼽던 수비적인 모습이 아니라 그의 공격적인 성향이 드러났던 장면이다.] [[https://youtu.be/2U6Ur7CvAPA?t=26288|#]] 이후 두 번의 컨텐더스 준우승으로 러너웨이의 운영 종료와 함께 팀을 떠났다. [* 그리핀 때와 마찬가지로 선수 의지보다는 팀의 운영 상황으로 팀을 옮기게 되는 경우였다.] === [[O2 Blast]] === '''햇수로 4년만에 처음으로 우승을 할 수 있었던 팀 생활'''로,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시즌2 결승전에서 EMP 캔슬로 경기를 가져왔다[* 작년에도 밥 먹듯 해온 캔슬이라 결승전에서 손까지 흔들어주는 여유] [[https://youtu.be/dG4Qx_MzBrU?t=2514|#]] === [[댈러스 퓨얼]] === 그동안 컨텐에서 좋은 경기력을 보여준것을 기반으로 댈러스에 영입되었다. 2022시즌 첫 토너먼트 예선전부터 본선까지 댈러스의 7승 중 무려 3번의 POTM을 석권하며 댈러스의 선전에 큰 기여를 하고있다. 리그 최고의 트레이서라 평가받는 프로퍼를 상대로도 방밀-펄스 킬을 보여주었다.[[https://youtu.be/53zRlxl46n8?t=793|#]] 컨텐더스에서 O2 Blast 팀으로 우승 후 리그에 데뷔하자마자 오버워치2 리그에서 우승함으로써 [[로얄로드]]를 달성했다. 메인힐러 포지션에서는 유일한 ROLE STARS2022상을 수상하였다. [[https://overwatchleague.com/ko-kr/news/meet-the-2022-overwatch-league-support-role-stars|#]] === [[애틀랜타 레인]] === 2023년 애틀랜타 레인으로 이적하였다. 시즌이 시작한 후 리워크 된 브리를 완벽하게 적응해 엄청난 생존력과 킬캐치로 호평을 받고 있다. 상대가 다이브를 하면 [[권준(프로게이머)|필더]]와 함께 힐돕힐로 견뎌내고 오히려 킬을 내는 모습도 보여준다. 항저우 스파크와의 경기에서 상대 솜브라의 이엠피를 뒷방밀-렐리로 칼같은 카운터를 보여줬다.[[https://youtu.be/ZRybh_Jm--I?t=4783|#]][* 뒷방밀로 거리를 벌리는게 예술인데, 제자리 렐리로 버텼다면 들어오는 윈스턴에 의해 갈려서 유지가 쉽지 않았을 것] MSM 결승전에서 휴스턴을 상대로 4:1 승리를 거두며 애틀랜타 레인의 우승 트로피를 하나 추가했다. 현재 2023시즌 오버워치 리그에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최고의 메인힐러 폼을 보여주고 있다 === [[오버워치 월드컵/대한민국 대표팀/2023년]] === 오버워치 월드컵 조별예선 대만전에서 방밀-펄스 킬을 보여주었다 [[https://youtu.be/Xt9uIaG3m9Q?t=505|#]] == 장비 및 감도 == |||||||||||| '''마우스 설정'''[br]'''(Mouse Settings)''' || || '''마우스''' || '''eDPI''' || '''DPI''' || '''폴링레이트''' || '''감도''' || '''조준감도''' || || '''Logitech G PRO X SUPERLIGHT ''' || '''5200''' || 800 || 1000 Hz || 6.5 || 39 || |||||||||||| {{{-1 최종 업데이트 2023년 11월 02일}}} [*수정일 [dday(2023-11-02)]일 지남.] || |||||| '''장비'''[br]'''(Hardware)''' || ||||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 Logitech G PRO X SUPERLIGHT ''' || '''RAZER GIGANTUS - ELITE''' || || '''모니터''' || '''주사율''' || '''조준선''' || || '''BenQ XL2546''' || 240hz || 십자선 하늘색 1 6 8 100 100[* 루시우는 원 12를 사용한다.] || |||| '''키보드''' || '''헤드셋''' || |||| '''RAZER BLACKWIDOW V3 TKL''' || '''David Clark[* 항공 헤드셋이다.] ''' || |||||| {{{-1 최종 업데이트 2023년 11월 02일}}} [*수정일 [dday(2023-11-02)]일 지남.] || == 여담 == 그리핀 시절엔 위도우 메이커를 꺼내기도 했었다.[* 개인방송에서 밝히길 데뷔 전에는 탱커유저였다고..] [[https://www.twitch.tv/videos/376451426?t=03h24m04s|#]] 2018년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VX Gaming에서 만난 [[김동하(2000)|도하]]를 3년이 지나서 오버워치 리그 댈러스 퓨얼 팀에서 재회한다. 루시우 조준선은 원 12를 사용한다. "파란댕댕이", 줄여서 파댕이라는 캐릭터의 엄청난 팬이며, 치요 선수의 치어풀에는 파댕이 캐릭터를 함께 그려서 팬들이 응원한다.[* 미드시즌 매드니스 경기 영상에서 현장 치어풀을 잡아줄 때 매우 많이 등장한다. 파댕이 작가가 직접 치요 선수의 프로필 사진을 그려주기도 했다.[[https://x.com/ChiYo_ow1/status/1654156626406912000?s=20|#]]] == 둘러보기 == [include(틀:러너웨이/오버워치)] [include(틀:애틀랜타 레인)]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 [[분류:200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