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함대 컬렉션)]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에선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플레이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도 일본과 동일하게 [[오덕]]들을 중심으로 유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우회접속 방법과 접속 프로그램, 칸코레 공략집, 정보집 등이 번역되어 돌아다니고 있다. [[pixiv]]나 [[니코니코 동화]] 등에서 자주 볼 수 있고, 애니화 발표 소식과 함께 관심을 가지거나 입소문을 타고 플레이하는 사람들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개인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고, [[칸코레 정보소]] 같은 칸코레 전용 [[커뮤니티 사이트]]도 생겨나고 있다. [[디시인사이드]]에서도 [[오덕갤]]의 명맥을 잇는 신흥강자로 떠오르고 있는데, 다른 갤러리 없는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타르타로스 갤러리]]를 점령하고 있다가 2014년 1월 14일에 [[칸코레 갤러리]]가 생겨나 이 쪽으로 옮겨갔다. 2기 시작 이후로 많은 워낙 내용이 바뀌는 바람에 접속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이후 접속기들의 업데이트로 정상화되었다. 크롬을 권장 사양으로 권장하는 것 치고, 아직도 http에서 https로 변경하지 않아 크롬이 업데이트를 할 때 간혹 충돌이 일어나 기본적인 접속 자체가 안되는 일이 가끔 일어나고 있다.[* 해외발 접속기, VPN 우회 등이 문제가 아니라 일본 현지 유저들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이 경우 칸코레 사이트 설정에서 안전하지 않은 콘텐츠를 차단에서 허용으로 변경하거나, 모바일 버전이나 엣지 등 크롬 외 브라우저 같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면 접속이 되므로 참고할 것. == 대한민국 정부 검열 현황 == 2019년 2월 11일, [[대한민국 정부]]의 [[2019년 인터넷 검열 사건|SNI 필드 검열 및 감청 그리고 차단 행위]]로 인해 '''함대 컬렉션의 로그인 및 접속이 특정 접속환경에서 차단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DMM의 본래 해외 게임접속 차단과 별개로 DMM이 R-18 서비스를 별도로 이관했음에도 대한민국 정부가 http 차단을 유지하고 있던 상황이 https로 이관된 것에서 기인하여 DMM R-18과 연관된 로그인 서버를 차단한 것이므로 평소 되던 접속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한 경우 다른 우회수단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현재는 [[KT]]가 가장 광범위한 차단을 실시한 것으로 보이며, [[SK 텔레콤]]은 기존 우회범위 내에서 대응가능한 정도의 차단이 실시된 것으로 보이고 있으나 피해국가가 한국 내로 한정되어 빅데이터 분석이 불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다른 통신사도 차단당했다는 제보가 들어오는 등 확정적인 정보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LG U+]]는 2월 26일 경 차단이 고지되었으므로 이에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2월 20일, 논란끝에 [[KT]]에서 DMM 게임즈에 대한 https 차단이 풀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차후 상황의 변경이 없다면 대한민국 정부의 칸코레 차단은 풀린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간헐적으로 여전히 막힌 상태라는 제보가 있으므로 주의할 것. *기본적으로 유료 VPN 서비스를 이용하면 컴퓨터고 스마트폰이고 다 뚫지만, ip를 계속 변경하며 로그인하면 DMM 자체 보안 시스템에 의해 가끔 로그인이 차단되는 경우가 일어난다. 영구정지까지는 아니고, 시키는대로 비밀번호만 변경해주면 되지만 가입 이메일로 변경 메일을 확인해야하는 둥 꽤나 번거로운 편. *접속기를 사용하지 않은 웹버전 접속의 경우는, DMM 자체는 KT에서도 차단되지 않았으므로 로그인이나 캐쉬 결제는 가능하다. 그러나 DMM GAMES 자체는 해외 접속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접속기나 토큰 조작이 없이는 칸코레를 플레이할 수 없다. 이는 종래의 방식과 같으므로 일반적인 웹버전 게임 플레이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 다만 과금을 하려는 경우 접속기를 쓰지 않는 웹버전에서는 아이템 구입 창이 뜨지 않으므로(접속기 사용버전에서는 문제 없음) 무과금 플레이 자체에는 큰 영향이 없으나 현재 정부발 차단에 과금 페이지가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구글 크롬에 니트래빗 쿠키 조작기가 물려있는 경우 웹버전의 정상 접속이 가능하다. *KC3 접속기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DMM GAMES 자체의 해외 접속 차단 스크립트를 우회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별다른 조치없이도 문제없이 작동한다. *"제독업무도 바빠" 접속기의 경우 https가 거의 표준인 크롬 기반의 74식이나 KC3과 달리 IE/엣지 기반이라 웹버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피해를 보았다. [[KT]]와 [[SK 텔레콤]] 환경에서 차단이 확인되었으며, 국내판 제작자가 [[GoodbyeDPI]]와 같은 방식으로 대응 패치를 하였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8183179|#]]) *[[함대 컬렉션/모바일]]의 경우 모바일 접속을 지원하는 DMM 앱이 [[KT]]에서 차단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통신사에서도 간헐적으로 차단 제보가 있다. 이는 모바일 버전 로그인에 사용하는 DMM 스토어 앱이 R-18로도 함께 연결되기에 차단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8179184|#]]) *시제 깡들리티(Kcnotify) 접속기의 경우 제작자 오피셜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8180368|접속기에 DNS 변조 기능을 내장하고]] 이것이 안 먹힐 경우 VPN을 사용하여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8182932|DMM 로그인 서버를 통과한 후 깡들리티를 가동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 DMM GAMES 해외 IP 차단 == 2020년 2월 24일 새벽부터 시작된 중국발로 추정되는 DDoS 공격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 인해, 2020년 2월 25일부로 칸코레 운영진이 일본 국내를 제외한 모든 해외 접속을 차단하였다. 예전처럼 그냥 간단하게 차단 알림 페이지로 리다이렉트하는 게 아니라, 일본 외 IP로는 게임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접속기 등 차단 페이지 우회 방법이 통하지 않으며 VPN 등으로 일본 IP를 사용해서 우회해야만 접속이 가능하다. 이는 안드로이드 버전도 마찬가지. 여태까지 없던 유례없는 강경대응인데다가, 당시 히시모치 미니 이벤트를 앞둔 상황이라 여러 해외 팬덤에서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2020년 2월 28일 업데이트 후 일시적으로 차단이 강화되었다. 기존의 경우 로그인 시에만 VPN을 켜서 일본 IP로 우회하고 게임에 접속 후에는 VPN을 꺼도 플레이가 가능했으나, 강화되면서 게임 플레이 내내 VPN을 유지했어야 했던 것이다. 다행히 그날 밤이 되면서 차단 강화가 풀리고 다시 기존의 접속시에만 우회하면 되도록 변경되었다. 해외 IP 차단은 [datetime] 현재까지 유지 중이다. 언제 해외 접속 차단이 풀릴지는 알 수 없다. 다음 셋 중 하나의 방법으로 임시변통이 가능하다. * VPN을 사용한다. 로그인 단계에서만 잠깐 VPN을 켜는 것으로 충분하다. 새로고침이 불편하면 칸코레 전용으로 브라우저를 하나 따로 준비해 VPN 분할 터널링으로 그 브라우저의 트래픽만 VPN을 통과하게 만드는 방법도 있다. * KC3를 사용하려면 설정에서 Gadget 서버 우회를 설정하면 된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10117118|참고]] URL을 비워 두면 KC3 자체의 기본값 우회 주소가 적용되고, 특정 사설 서버를 사용하고 싶으면 입력하면 된다. 이전에는 Swicheroo를 사용하여 우회했지만 Swicheroo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 스토어에서 내려가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https://gall.dcinside.com/kancolle/9308665|참고]]) * 추가적인 설정 없이 우회가 되는 접속기를 사용한다. PC에서는 한국어판 74식 전자관측의나 오오이 웹 접속기가, 안드로이드에서는 고토브라우저가 우회를 지원한다. 셋 다 자체 서버를 통해 우회하는 방식이다. == 접속 방법 == DMM [* DMM R-18 말고 [[http://dmm.com|전체 이용가 사이트]]]에선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비롯해 일부 서비스의 해외 이용자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이용하려면 VPN 등을 사용해서 일본 IP로 세탁을 해야 한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칸코레를 퍼블리싱하는 DMM은 해외 IP를 차단하고 있지만 칸코레 자체는 ~~오오 카도카와 오오~~ 딱히 외국 IP를 차단하고 있지 않아서 로딩이 시작된 후에는 VPN을 끊어도 문제없이 한국의 인터넷 속도로 칸코레를 즐길 수 있다.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파이어폭스]] 등에서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우회 접속을 지원하는 뷰어를 이용하면 문제없이 플레이 가능한걸로알려졌다. 또한 몇몇 칸코레 앱을 이용하면 [[아이패드]] 등으로 즐길 수도 있지만 규약위반이기 때문에 계정 밴을 먹는 수가 있으니 주의할 것[* 공식에서 지원하지 않는 환경에서 접속하면 서버에 심각한 부하가 가해지니 제발 그만둬 달라고 운영진이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 울부짖은 적이 있다 ][* 게임 패킷을 조작하는 방식도 메크로로 구분되어 단속된다.]. 정 하고 싶으면 컴퓨터로 접속하고 컴퓨터를 휴대기기로 원격조작 해서 플레이 하는 것이 좋다. 일종의 편법으로 자기 계정의 칸코레 임베디드 주소를 떼어와서[* 파이어폭스 페이지 정보 - 미디어, 크롬은 페이지 소스 보기 - 조금 내려보면 osapi.dmm 어쩌구 주소.] 그 주소로 직접 들어갈 수도 있다.[* 흔히 '토큰'이라고 부르는 그것] 이 경우 VPN이나 계정 로그인이 일절 필요없다는 큰 이점이 있지만 자기 전용 PC/맥이 아닌 곳에서는 함부로 접속하면 안 된다. 그리고 앱토큰 ID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로그인을 한 번이라도 하면 주소가 바뀌므로 유의할 것. 이 방법은 다른 이점도 있다. 칸코레 접속 후 VPN을 끊으면 일정 주기로 오류 메시지 팝업을 띄우면서 페이지를 갱신하라는 문구가 뜨는데, 물론 취소를 클릭하고 계속 진행해도 상관없지만, 이렇게 임베디드 주소를 따서 접속하면 오류 메시지 자체가 뜨지 않는다. 물론 이런 '''토큰 플레이'''로 인한 불이익[* 가장 대표적인 예로 '''칸쏘우'''.]은 순전히 자기책임이다. 이제는 그냥 VPN 한번 우회해서 최초 실행까지 성공한 후에 [[칸코레 접속기|접속기]] 등으로 들어가면 VPN 우회 그런거 없이 DMM 계정으로 접속만 하면 즐길 수 있다. 단 DMM 직접 접속이 아니라 별도의 사이트를 통해 접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계정 정보에 문제가 생길 여지는 있다. 알아서 처신토록. 또한 접속기를 통해 접속했다면 함대명을 변경할 수 없다. 함대명을 바꾸려면 DMM으로 직접 접속을 하거나 DMM 사이트로 직접 접속하는 방식의 접속기/뷰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전엔 제독 임관식이라고 해서 가입 가능한 시각을 정해두고 일정한 사람 수만 서버에 가입시켜 주었으나 2015년 7월 경 상시 가입이 가능한 하시라지마 정박지 서버가 개방되며 임관식은 이제 추억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가입시에 컴퓨터의 시간대가 일본/한국과 동일한 UTC+9여야 가입이 가능하다고 한다. 간혹 하시라지마 정박지까지 인원이 꽉 차 잠시 가입을 막아놓는 경우가 있으니 자세한 것은 [[https://twitter.com/KanColle_STAFF|운영 트위터]]를 확인할 것. 여담으로 칸코레의 VPN 이용은 약정위반이 아니라는 공식답변이 나왔다. 생방송을 하던 홍콩 유저가 약정위반 시비에 시달려 DMM과 칸코레 운영 양쪽에 질문한 결과 "문제 생겼을 때 이쪽에서 서포트 해주기 힘들 뿐이지, VPN을 써서 외국에서 플레이하는 건 문제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2014년 1월 30일에는 치트나 매크로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적인 대응이 강화되었고, 그 부정 플레이어를 잡아내는 뭔가의 시스템으로 인해 기존의 플래쉬 주소(토큰)만을 따와서 하는 플레이는 일정시간마다 강제 접속종료가 발생하게 되었다. 다만 현재로서 치트/매크로와는 달리 계정정지 수준의 강력한 대응을 하겠다고 명시하지는 않았고, 단순히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번거로워도 정규 플레이 방식을 따라달라고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딱히 금지사항으로까지 취급하고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https://twitter.com/KanColle_STAFF/statuses/428702324857384961|참고]]).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권고를 받아들여서 DMM 사이트에 정식으로 로그인하자, 로그인 서버가 폭발해버렸고 복구작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https://twitter.com/KanColle_STAFF/status/428815403565862912|참고]]) ~~제대로 준비도 안한 상태에서 150만명이 일시에 접속하면 로그인 서버가 날아가버리지...~~ 이후에도 꾸준히 매크로등의 부정플레이어를 잡아내고 있으니 혹시라도 몰래쓰다 밴당하고 억울하다고 호소하는일이 없도록 하자. === 서버 목록 === 서버의 이름은 [[일본군 해군]]이 운영했던 일본 내의 해군 기지가 있던 곳[* 이 중에는 요코스카, 구레, 사세보, 마이즈루, 오미나토 같이 현재도 [[해상자위대]]에서 기지([[지방대(군대)|지방대]])로 쓰고 있는 곳도 여럿 있다.]의 지명과 [[태평양 전쟁]] 당시 해외 점령 지역의 정박지가 있던 지명에서 따왔다. ||개설 순서||서버명||모티프가 된 지명||오픈 일자|| ||1||요코스카 진수부(横須賀鎮守府)||[[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2013년]] [[4월 23일]]|| ||2||구레 진수부(呉鎮守府)||[[히로시마현]] [[구레시]]||[[2013년]] [[7월 10일]]|| ||3||사세보 진수부(佐世保鎮守府)||[[나가사키현]] [[사세보시]]||[[2013년]] [[7월 10일]]|| ||4||마이즈루 진수부(舞鶴鎮守府)||[[교토부]] [[마이즈루시]]||[[2013년]] [[7월 17일]]|| ||5||오미나토 경비부(大湊警備府)||[[아오모리현]] 무츠시||[[2013년]] [[8월 8일]]|| ||6||트럭 정박지(トラック泊地)||[[미크로네시아]] 트럭 섬||[[2013년]] [[8월 10일]]|| ||7||링가 정박지(リンガ泊地)||[[인도네시아]] 링가 섬||[[2013년]] [[8월 17일]]|| ||8||라바울 기지(ラバウル基地)||[[파푸아뉴기니]] [[라바울]] 섬||[[2013년]] [[8월 21일]]|| ||9||쇼틀랜드 정박지(ショートランド泊地)||[[솔로몬 제도]] 쇼틀랜드 섬||[[2013년]] [[8월 30일]]|| ||10||브인 기지(ブイン基地)||[[파푸아뉴기니]] [[부건빌]] 섬||[[2013년]] [[9월 13일]]|| ||11||타위타위 정박지(タウイタウイ泊地)||[[필리핀]] 타위타위 섬||[[2013년]] [[9월 28일]]|| ||12||팔라우 정박지(パラオ泊地)||[[팔라우]] 제도||[[2013년]] [[10월 9일]]|| ||13||브루나이 정박지(ブルネイ泊地)||[[브루나이]]||[[2013년]] [[11월 6일]]|| ||14||히토카프만 정박지(単冠湾泊地)||[[쿠릴 열도]] 이투루프 섬||[[2013년]] [[12월 2일]]|| ||15||파라무시르 정박지(幌筵泊地)||[[쿠릴 열도]] 파라무시르 섬||[[2013년]] [[12월 12일]]|| ||16||스쿠모만 정박지(宿毛湾泊地)||[[고치현]] [[스쿠모시]]||[[2014년]] [[2월 2일]]|| ||17||가노야 기지(鹿屋基地)||[[가고시마]]현 가노야시||[[2014년]] [[3월 1일]]|| ||18||이와카와 기지(岩川基地)||[[가고시마]]현 소오시||[[2014년]] [[3월 17일]]|| ||19||사이키만 정박지(佐伯湾泊地)||[[오이타]]현 사이키시||[[2015년]] [[1월 7일]]|| ||20||하시라지마 정박지(柱島泊地)||[[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하시라지마||[[2015년]] [[7월 3일]]|| == 캐시 결제 == 독 키 등 유료 아이템을 결제하기 위해서는 DMM에 카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 기본 사이트인 DMM.COM에서는 국내에서 발행한 [[비자카드|비자]], [[마스타카드|마스타]], [[JCB]] 등의 해외결제 신용카드를 입력하면 오류를 뱉는다. 이때는 DMM.COM 대신 [[프록시]]나 [[VPN]] 등으로 '''__[[일본]]을 제외한__ 해외 IP로 세탁한 뒤'''[* 일본만 아니면 어느나라건 상관없다. 즉 한국발 IP로 등록해도 문제없이 등록된다. 하지만 한국에서 dmm.co.jp 접속을 시도하면 '''대한민국 정부에서 dmm.co.jp 접속 자체를 완전 차단하였기 때문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Warning이 맞이해준다. 참고로 세탁하는 과정없이도 일본 IP 상태에서도 자연스레 카드가 등록되는 경우도 있다. ~~럭키?~~] DMM.CO.JP에 입력하면 된다.[* 보면 알겠지만 DMM.CO.JP는 DMM.COM의 지역제한 영문 사이트로, 운영주체가 같기 때문에 로그인 정보도 공유한다. 당연하게도 한국에서는 Warning..] 이후 다시 DMM.COM에 와서 확인해보면 카드 정보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결제가 가능해진다.~~게임 하나 하려고 별 짓을 다해야 한다. 돈 드...드리겠습니다! 필요없어~~ 단 웬만하면 DMM.COM에서는 결제하지 말자. 한 유저의 실제 경험담으로는 DMM.COM에서 결제해서 분명 통장에서 돈은 빠져나갔지만 결제내역이 없어서 결국 포인트를 못 받은 일이 있다. 가급적 DMM.CO.JP의 온라인 게임 항목에서 포인트를 충전하고, 사용만 DMM.COM에서 하자. 상호호환이 되기 때문에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신용카드가 없거나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등록/사용하는 것에 거부감이 느껴진다면[* DMM.com의 결제의 경우 유독 국내 카드사에 의심거래로 간주되는 일이 많다는 말이 있다. 심지어 포인트 구매후 새벽 1시 20분 넘어서 카드사 보안팀의 확인 전화가 왔다는 말도 있을 정도. 반면 DMM.com도 일본 주소지 발행이 확실한 카드가 아니면 설사 JCB라도 카드 등록이 거부되는 일이 많다.] 믿을만한 국내외 웹스토어에서 '''[[비트캐시]]'''나 '''웹머니''' 코드를 구해서 DMM에 등록하여 포인트 구매를 하는 법도 있다. 아이튠즈 기프트카드와 원리 상 같은 방법이고, VPN & 2중 절차[* 1차로 DMM에 선불카드 코드 등록, 2차로 등록된 코드의 잔고로 DMM 포인트 구매]를 통한다는 사소한 번거로움 외에는 선불카드답게 정품 코드기만하면 보안 문제 없이 깔끔하게 구매를 끝낼 수 있다. 함대 컬렉션의 경우, 다른 소셜 게임과 달리 건선거 개방이나 모항 확장 같은 영구적인 확장 캐시 아이템의 일회성 구매를 제외하면 ~~천조국 플레이를 하는게 아닌 한~~ 게임 도중 지속적인 캐시 결제는 거의 필요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인터넷 뱅킹이나 무통장입금이 가능한 정도면 구매 가능하다. 다만 웹머니/[[비트캐시]]는 한국에서 마이너라 그런지 다소 환율이 비싼 편 '''최근 DMM.COM에서 결제 수단으로 [[페이팔]]을 지원함으로서, 굳이 복잡하게 [[프록시]]를 써가며 결제할 필요가 없어졌다.''' ~~운영진이 드디어 외국인들을 호갱으로 보기 시작했다~~ DMM.COM에서 포인트 충전을 누르고 결제 수단을 신용카드 대신 페이팔을 고르면 된다. 페이팔에 대해서는 [[페이팔]] 항목 참조. 해외 결제 대부분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참에 등록하는게 좋다. 일반적인 해외 결제에 해당하는 상업적 거래는 구매 시 별도의 페이팔 수수료가 들지 않는다. 2022년 5월 24일부터 '''페이팔을 제외한 해외카드 결제가 막힌다고 한다.''' 이유는 해외전표매입 전에 카드사 직통환불 먹튀 때문이라는듯. [[분류:함대 컬렉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