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넘겨주기2, n1=칸코레 아케이드, n2=깡케이드)] [include(틀:함대 컬렉션)] [목차] == 개요 == [[http://kancolle-a.sega.jp/|공식 홈페이지]] 2016년 4월 26일부터 가동을 개시한 [[함대 컬렉션]]의 아케이드판이다. JAEPO 2015에서 발표. 소프트웨어 개발은 [[세가 AM2]] 연구소이며, 장르는 아케이드 TCG다. 타이틀 로고의 실루엣은 또 한번 바뀌어서 이번에는 [[이세급]] 전함의 항공전함 버전. 2D 일러스트만 나오는 원작과는 달리 3D 모델링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3D 모델링답게 전투씬에서는 물론이고 이런저런 장면에서 많이 움직이는 모양. 발매까지 수많은 연기가 있었다.. 본래는 2015년 여름에 기동될 예정이었으나 가을로 연기, 그리고 겨울로 연기, 또 2016년 봄으로 연기. 아케이드 업자들 사이에서는 세가의 아주 높으신 분이 '뭐 이딴 재미없는 게임을 만들고있냐' 라고 한마디 던진 덕분에 싹 갈아엎었다는 소문도 돌았다는 모양. 팬들은 그 세가의 높으신 분이란 인물을 나고시 토시히로[* [[세가 게임즈]]의 이사이자 개발본부 총괄본부장이다. [[용과 같이 시리즈]]의 프로듀서이기도 하다.]라고 추측중.[* 이긴 한데 나고시라고 해도 게임 발매를 1년이나 미룰 수 있을 정도의 권한(=인건비 1년치라는 막대한 예산)이 있을지는 미지수] 아케이드 업주들로서는 1천만엔 이상 현찰 완납 하고도 1년 이상을 더 기다려 온 서비스이다. 아직 안정화된 기술이 아닌 실시간 인쇄배출 기술이 개발과정에서 제품으로써 안정적인수준에 오르기까지에 많은 시간이 쓰였다. 특히 함대 컬렉션과은 케릭터성이 게임의 8할인 컨텐츠인 만큼 TCG요소는 중요할 수 밖에 없었고 안정화와 검증작업에 많은 시간이 쓰일 수 밖에 없었다. == 공개된 정보 == http://i.imgur.com/v1lAO60.jpg?width=700 [[파일:bgvk03h.png|width=700]] [youtube(gvBAH2YMneY)] 공식 PV 과거에 공개되었던 시연회의 감상평을 종합해보면 '연출이 화려한 칸코레'. 게임 속 플레이 자체는 기존의 웹게임판 칸코레와 완전히 똑같았다고 한다. 입수되는 함을 실제 카드로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빼면 딱히 특이한 것은 없었다는 모양. 2015년 8월 10일 새롭게 공개된 영상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의식했는지 유저가 능동적으로 게임플레이에 가담할 수 있도록 상당한 수정이 가해졌다. 조종기를 통하여 칸무스들을 전장에서 직접 움직일 수 있게 되었으며 이렇게 움직이는 칸무스에 의해 실시간으로 전투의 진형이 변화하게 되었다. 체험회 레포트에 따르면 원래는 적 함대와의 조우상황[* 동항전, 반항전, T유리/불리.]은 순전히 운에 의해 정해졌으나, 수정된 버젼에서는 플레이어의 조작과 실력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교전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는 모양[* 해당 레포트에서는 이전 버젼은 완전히 [[쿠소게]]였다고 한다(…).]. 또한 지령버튼을 사용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포격/뇌격/항공공격을 지시할수 있게 됨으로써 플레이어의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원작에서 제독이라 불리움에도 실제 전투시에 전혀 하는 것이 없는 상황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제독답게 함대를 지휘할 수 있게 되었다. 모델링이 MMD 모델보다도 떨어진다는 평도 있긴 하지만 ~~데레스테 : ???~~ 수많은 캐릭터들이 들어간다는 점, 아케이드 기반이라는 걸 고려하면 무난한 수준이라는 평도 있고 무엇보다 새 영상에서 정말 함대전을 하듯이 움직이는 것이 밝혀지면서 기대감이 늘어난 상태. 일부는 VITA판 보다 이게 더 기대된다는 의견도 있다. ~~물론 일본인 및 일본거주자 한정이지만... 타기종 이식판을 기대해보자~~ 여담이지만 이세급 항공전함인 이세와 휴가가 본 게임에서는 아주 적극적으로 푸시받고 있다. 타이틀 로고의 함선 실루엣부터 이세급 함선이며 공개되는 PV에서도 매번 등장할뿐만 아니라 주역으로 활약하는 모습을 PV에서 적극적으로 담고 있다. 그 이유는 이'''세'''와 휴'''가''' 이기 때문(...). 성능에서도 편애를 받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플레이영상에서 이세, 휴가 등의 항공전함은 보다 넓은 색적범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개된 과금 시스템은 100엔당 300GP를 얻으며 모항 화면에서 게임 시작 직후 일정 유예기간이 지나면 사용시간 1초당 1GP를 소모한다.[* 다만 특정 장면과 로딩등의 시간은 GP가 차감되지 않는다.] 또한 해역 출격에 별도의 GP를 소모한다. 해역 클리어시 동일 해역에서 추격전에 돌입할 수 있으며, 적은 GP 소모로 추격전에서 주력 함대를 격파하면 레어함이 나올 확률이 높다. 카드 배출 시스템은 지금까지의 아케이드 TCG 게임들처럼 업소 측에서 투입한 카드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형식이 아닌 현장에서 프린트로 인쇄되는 방식으로 카드가 배출된다. 카드의 총 매수는 세가의 통합 서버에서 관리되는 방식이라고. 굉침된 칸무스를 다시 돌려낼 수 없는 웹버전과 다르게 '''굉침된 칸무스를 부활시킬 수 있다.''' 칸무스를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는 시스템이라 컨트롤 미스로 굉침이 일어날 수 있고 카드 입수에도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런 시스템을 적용한 것으로 보이며, 칸무스 부활 시에는 과금을 해서 원래 레벨대로 부활시키거나 과금 없이 진수부 레벨을 낮춰서 레벨 1로 부활시키는 방법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 플레이 영상 == [youtube(IPfFSo-hiWI)] [youtube(GAjOfoutg5s)] [youtube(LYlzkMGYtEA)] 칸코레에 성우로써 참여하고 있는 [[오오츠보 유카]]와 [[후지타 사키]], [[히다카 리나]]가 실연한 영상이다. == 시스템 == === 과금 === 100엔에 300GP를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GP는 모항에 있을경우 일정한 유예 시간이 지난뒤 1초에 1씩 서서히 떨어진다. 그와 함께 각 해역에 출격할때마다 소모해야한다. 그밖에 굉침당한 칸무스를 부활시킬때 사용할 수도 있다. 그와 별개로 해역 클리어시 드랍되는 칸무스나 건조로 칸무스를 얻는경우 100엔이 필요하다. === 카드 === 건조와 해역 드랍을 통해서 [[칸무스]]를 얻을 경우 실제 카드가 카드 배출구에서 배출이 된다. 기기내부에서 즉시 인쇄를 하여 배출하는 형태이다. 이 카드를 칸무스라 적혀있는 카드인식기에 넣고 패널의 카드 읽어들이기를 누르면 기기가 인식을 하여 화면에 띄우는데 이 상태에서 함대를 편성할수 있다. 기존의 레어도(배경색 등)와 별개로 카드 레어도가 존재한다. 홀로그램 처리 (운 상승), 중파 홀로 (장갑이 살짝 낮은 대신 운이 일반 홀로 카드보다 많이 상승)가 기본적으로 모든 카드에 뜰 수 있는 레어 카드 처리이며, 브라우저 게임에서 개장이 되는 카드의 改 형태도 동일 카드의 레어 버전으로 인식된다. 동일한 칸무스의 카드가 여러장 있을 경우 카드 레어도 관계 없이 함종에 따라 능력치가 강화된다. === 플레이 === 기본적으로는 웹게임판과 동일하지만 가장 중요하고 큰 차이점은 직접 모든것을 플레이어가 통제할수 있다는 것이다. 해역에서의 정찰, 진형, 이동방향, 속도등을 모두다 플레이어가 직접 컨트롤 하며 실제 포격전에 돌입하였을 경우에도 함포사격이나 어뢰 발사, 부포의 발사, 함재기 출격을 통한 공습등을 직접 지시하고 컨트롤 할수있다. 그렇기에 컨트롤 역량에 따라서는 아무런 피해없이도 해역을 클리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형선택에서도 단종진이 주로 선택되는 웹게임과는 달리, 아케이드에서는 무피해 컨트롤이 쉬운 복종진이 선호되는 중. === 기타 === 큰 인기몰이중인 탓에 1번 플레이에 600GP구입/건조1번 제한이 걸려있는 오락실이 많다. 로케테스트 중 한국인이 지갑에 든 번호표와 돈을 도둑맞았다가 되찾은 사건이 있었다. 범인이 그 번호표를 갖고와서 게임하려다 붙잡혔다고 한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3648597&page=1&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pos=-3644987&s_type=search_all&s_keyword=%EA%B9%A1%EC%BC%80%EC%9D%B4%EB%93%9C|로케테 후기]] [[분류:함대 컬렉션]] [[분류:미디어 믹스]] [[분류: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