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함양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함양군)] [목차] == 개관 ==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가 분기하는 곳이라 도로교통은 좋은 편. 그리고 추후 [[함양울산고속도로]]도 개통 예정이라 함양에는 고속도로가 3개나 지나가게 된다. 특히 경상남도 지자체 중에서 서울과 '''가장 가까운 지역'''인데, 서울특별시청에서 함양군청까지 거리가 네이버 지도 기준으로 약 278km이며, 소요시간 역시 3시간 30분~4시간 정도로[* 고속도로 교통정체가 없을 시에는 자동차로 휴게소를 쉬지 않고 가는 경우에 3시간 초반대에도 끊을 수 있다.] 경상남도 지자체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짧은 편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와의 접근성이 우수하다. 세 지역 모두 1시간~1시간 20분만에 갈 수 있을 정도이다. 정작 경남의 주요도시인 창원, 진주와의 접근성은 그리 좋지 못한데 시외버스 업체가 창원, 진주로 갈 때는 고속도로가 아니라 국도를 이용하는지라 요금이 더 비싸게 나오는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95138|문제가 있다.]] == 철도 == [[철도]]는 없다. [[일제강점기]]에 구상된 [[대삼선]]에서는 함양에 역을 지을 계획이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에는 철도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전라선]]이 지나는 [[남원시]]의 [[남원역]]에서 내려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패턴이 있었다. 개통 이후로는 그렇게 이용하는 사람은 잘 없고 대부분 버스를 이용한다. 추후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를 잇는 [[달빛고속철도]]는 함양을 거쳐거며 계획상으로도 함양역을 신설할 예정이다. [[울산]]에서 추진중이지만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781|울산-전주간 고속철도]]가 함양으로 거쳐가게 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 도로 == [include(틀:함양군의 로)] 도로망은 상당히 잘 갖춰져 있다. === 고속도로 ===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가 [[함양JC|함양분기점]]에서 십자로 교차하며, [[서함양IC]], [[함양IC]][* 종종 이곳을 지나면서 시내버스들이 들어와 달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 나들목이 [[KGM커머셜]]의 본사와 공장이 있는 [[수동면]]에서 가장 가까운 나들목이기 때문에 공장에서 출고된 버스들은 각 지역으로의 탁송을 위해 이 나들목을 이용하여 고속도로를 타고 탁송된다.], [[지곡IC]], [[서상IC]]를 통해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통영대전고속도로 덕분에 진주와 대전 양방향으로의 소요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그 외 [[함양울산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다.[* 2020년 12월 부분 개통, 2026년 완전개통 예정.] 함양군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대구]]나 [[울산고속버스터미널|울산]]에서 [[전주고속버스터미널|전주]]로 가는 [[고속버스]]들의 필수 코스로, [[광주대구고속도로]]를 이용하다가 [[함양JC|함양 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를 통해 올라간 후 [[장수JC|장수 분기점]]에서 [[새만금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해 [[소양IC]]에서 빠져서 [[전주시]]로 들어간다. [[남원JC|남원 분기점]]과 함께 [[함양JC|함양 분기점]] 근처는 88올림픽고속도로의 확장 이전에 왕복 4차선으로 미리 개량했다. 2015년 12월 22일 [[함양산삼골동서만남의광장휴게소]]에서 88고속도로가 [[광주대구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확장개통식을 가졌다. === 일반국도 === [[3번 국도]], [[24번 국도]], [[26번 국도]]가 있다. * [[3번 국도]]: [[산청군]]에서 넘어와 수동, 안의를 거쳐 [[거창군]]으로 넘어간다. 함양읍으로 직접 향하는 국도는 아니지만 진주와 거창을 이어주는 국도이기 때문에 남북축의 주간선도로다. 전구간 왕복 4차로. * [[24번 국도]]: [[남원시]]에서 넘어와 함양, 지곡, 안의를 거쳐 3번 국도와 중첩되어 [[거창군]]으로 넘어간다. 함양군 동서축의 주간선도로. 다만 아직 함양읍내 일부 구간만 왕복 4차로로 개량된 상태이다. * [[26번 국도]]: [[장수군]]에서 굉장히 험한 고개인 [[육십령]]을 넘어서 서상, 서하, 안의를 거친 뒤 [[3번 국도]]와 중첩되어 [[거창군]]으로 넘어간다. 서상면소재지 우회 구간만 왕복 4차로이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37번 지방도]] [[60번 지방도]] *[[지방도]] : [[1001번 지방도]], [[1011번 지방도]], [[1023번 지방도]] ,[[1034번 지방도]], [[1084번 지방도]] == 버스 == [[함양지리산고속]]에서 [[함양군 농어촌버스]] 및 서울 방면 시외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함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부산교통]], [[전북고속]] 등의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부 경남답게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방면의 노선이 가장 많다. 약 10분 간격으로 빗자루 배차. 이용객도 상당히 많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행[* 노포동의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아니라 사상구 쪽에 있는 부산서부버스터미널을 말한다. 함양에서 진주 경유해서 부산가는 직행도 동일하여 만약에 사상서부가 아닌 노포동쪽으로 간다면 진주까지만 끊어서 진주에서 내려서 다시 노포동행 버스로 다시 갈아타야한다.]의 경우 직통이 6번 있지만,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행은 무조건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를 경유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함양군, version=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