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혼양주)] [include(틀:한국의 전통주)] || [[파일:합주.jpg|width=100%]] || {{{+1 '''合酒'''}}} [목차] == 개요 == [[탁주]] 계열의 술. '''[[청주(술)|청주]]와 [[탁주]]를 합한 술'''이라서 '합주(合酒)' 라는 이름이 붙었다. 흰빛깔이 나기 때문에 '백주(白酒)' 라고도 부른다.[* 사실 백주는 탁주 종류엔 흔하게 붙는 이름이긴 하다.] 일반적으로 탁주보다 하얗고 산미가 적으며 단맛과 알콜감이 강한, [[탁주]]와 청주의 중간에 위치한 술이라 보면 된다. == 상세 == 문헌상 [[고려시대]]부터 언급되던 유서깊은 술이다. 다양한 서적에서 언급되는데 조금씩 만드는 방법이 다르다. 기본적으로 [[막걸리]]처럼 체에 거르는 탁주에 해당된다. [[조선시대]]엔 주로 [[한양]] 부근에서 빚어지던 고급 탁주로 상류층들이 즐겨마시던 술이었다. 술을 발효시키고 난 후 청주와 탁주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 섞어 마시던 일종의 [[혼양주]]였다. 그래서 탁주이면서 막걸리에는 들어가지 않는 술 중의 하나이다. 막걸리는 청주를 떠내고 남은 [[술지게미]]에 물을 섞어 체에 걸러내는 탁주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하게 탁주이면서 막걸리가 아닌 경우로는 [[이화주]]가 있다. 조선 말기에 유행하던 폭탄주인 [[혼돈주]]는 바로 합주에 [[증류식 소주|소주]]를 넣어 만드는 술이다. 굳이 따지자면 탁주, 청주, 소주가 모두 섞인 술이라고도 할 수 있다. == 종류 == * 서울 백주 - 가장 대표적인 합주. 보통 백주라고 불렸으며 [[일제시대]]까지도 민간에서 널리 음용되었다. 주로 여름철에 빚어 시원하게 마시는 술이다. * 홍천 백주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규경이 여산 호산춘, 김천 [[과하주]], [[한산소곡주|한산 소곡주]]와 같이 엮여 조선 4대명주 꼽은 바 있다. * [[혼돈주(합주)|혼돈주]] - 합주의 일종. 거르지 않고 마시는 탁주라고 조선 중기의 문인인 정희량이 시를 지어 기록했다. 폭탄주계열의 [[혼돈주]]와는 다른 술이다. * 부자 10 - [[배혜정도가]]가 맥이 한번 끊겼었던 합주를 재현하여 상품화한 술. === 고문헌 === * 합주(주방문) - [[조선시대]]의 고조리서인 '[[주방문]]'에 기록되어 있는 합주. 원재료로 멥쌀을 사용한다. * 합주(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 [[일제시대]]의 요리서에 나오는 합주로 220년 전 '주방문'의 합주와는 다르게 원재료로 [[찹쌀]]을 사용한다. [[분류:혼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