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공군)] [include(틀:자위대)] ||||<:> {{{+3 {{{#ffffff '''항공자위대''' [br] '''[ruby(航空自衛隊, ruby=こうくうじえいたい)]'''[br]'''Japan Air Self-Defense Force'''[br]'''(JASDF)''' }}} }}} || ||<-2> [[파일:항공자위대 마크.svg|width=300]] || ||<-2> '''蒼き空を明日へ つなぐ 航空自衛隊'''[br]'''푸른 하늘을 내일로 연결하는 항공자위대''' || ||||<#d4aa00> {{{#ffffff {{{+1 '''지휘''' }}} }}} || ||<#d4aa00> {{{#ffffff '''항공막료장''' }}} ||[[우치쿠라 히로아키]] || ||<#d4aa00> {{{#ffffff '''항공막료부장''' }}} ||오가사와라 타쿠토 || ||||<#d4aa00> {{{#ffffff {{{+1 '''조직''' }}} }}} || ||<#d4aa00> {{{#ffffff '''상부기관''' }}} ||[[방위성]] || ||<#d4aa00> {{{#ffffff '''내부조직''' }}} ||[[항공총대]], [[항공지원집단]], [[항공교육집단]][br][[항공개발실험집단]], [[항공자위대보급본부]] || ||<#d4aa00> {{{#ffffff '''활동기간''' }}} ||1954년(쇼와29년) 7월 1일 ~ 현재 || ||<#d4aa00> {{{#ffffff '''소재지''' }}} ||[[도쿄도]] [[신주쿠구]] 이치가야혼무라초 5 - 1 || ||<#d4aa00> {{{#ffffff '''국가''' }}} ||[[일본]] || ||<#d4aa00> {{{#ffffff '''종류''' }}} ||[[공군]] || ||<#d4aa00> {{{#ffffff '''역할''' }}} ||일본 영공 방어 || ||<#d4aa00> {{{#ffffff '''규모''' }}} ||약 47,073명 || ||<#d4aa00> {{{#ffffff '''연간예산''' }}} ||약 1조 6,630억 엔 || ||<#d4aa00> '''[[자위대가|{{{#ffffff 항공자위대가}}}]] ''' ||[[자위대가#s-3.1|창공 멀리(蒼空遠く)]][br][youtube(DjYdXcjwhaE, width=300, height=100)] || ||<#d4aa00> {{{#ffffff '''라운델'''}}} ||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width=100]] || ||||<#d4aa00> {{{#ffffff {{{+1 '''역사''' }}} }}} || ||<#d4aa00> {{{#ffffff '''전신''' }}} ||[[일본 제국 육군#s-3|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 [br] [[일본 해군 항공대|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 || |||| [[https://www.mod.go.jp/asdf/|항공자위대 공식 사이트]][br][[https://www.youtube.com/user/JASDFchannel|항공자위대 공식 유튜브]]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인문사회 규정의 '군사 분야' - '군대 관련 문서'에 따라 군대 관련 문서에서는 문서 최상단 또는 개요 본문 상단에 군대 표어(구호, 신조, 부대목표, 슬로건 등) 및 상징물(휘장, 로고, 부대마크 등)의 게시, 군사 장비 사진, 무기 사진, 작전 및 훈련 사진의 게시, 군가와 그 가사의 게시, 홍보영상 등 미디어의 게시가 금지됩니다. 상징물 등을 등록할 때에는 하위 문단을 개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자위대]]의 공중 방위 담당 [[준군사조직]].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vUUYASaPUk)]}}} || ||<:>'''항공자위대 공식 홍보 영상'''|| 항공자위대는 [[해상자위대]]나 [[육상자위대]]와 다르게 전신이 없는 일본에선 공군으로는 처음 만들어진 군사체로 [[일본 육군|구 육군]] [[육군 항공대|항공대]], [[일본 해군 항공대]]와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깃발 역시 [[욱일기]] 계통을 쓰는 육/해상자위대와 구분되는 깃발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공군]]의 [[공군본부]]에 해당하는 [[항공막료감부]]의 감독을 받으며, [[공군작전사령부]]에 해당하는 [[항공총대]]가 실질적인 방공전투를 지휘·총괄한다. 항공막료감부의 본부는 방위성사 내에 입주하고 있고, 항공총대의 사령부는 미국 제 5공군 주둔지이자 [[주일미군]] 사령부 역시 위치하고 있는 [[요코타 공군기지]]에 입주하고 있다. 입대자는 65세까지 정부에서 재취업을 보장해주기 때문에 타 군종에 비해 인기가 많다. 전 세계 공군이 마찬가지이지만 [[방위대학교]] 생도들도 민항 [[조종사]] 재취업을 노리고 항공자위대를 1지망으로 쓴다.[* 한국도 마찬가지. [[공군사관학교]]가 4대 사관학교(육사, 해사, 공사, 간사. 3사는 편입 모집이므로 제외) 중에서 입결이 넘사벽으로 높은 이유가 [[조종사]]를 하고 싶어서다.] 타국의 공군처럼 [[일본정부전용기]] 등 VIP 전용기의 운용과 관리 임무도 맡고 있다. == 역사 == 1954년 1월, 미국 대일군사고문단의 협력으로 세워진 항공준비실을 기초로 하여 1954년 3월에 방위2법을 근거로 창설되었다.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의 인원을 상당수 흡수하였다. 초기 항공자위대의 육성에 도움을 준 미국 측 인사 중 하나가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열도]]를 불바다로 만든 [[커티스 르메이]]였다. 그는 이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일본#s-2.3|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2020년, 일본 정부가 우주에서의 감시 활동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항공자위대 산하에 [[우주군|우주작전대]]를 신설하는 동시에 항공자위대의 명칭을 '항공우주자위대'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2&aid=0002984370|#]] == 전력 == 항공자위대는 표면적으로는 정식 공군이 아니지만, 세계 기준으로도 상당히 강력한 공군력을 보유한 준군사조직이다. 1960년대부터 미국으로부터 [[F-104]], [[F-4 팬텀 II|F-4]] 전투기를 구입했으며, 국산 전투공격기 [[미쓰비시 F-1]]를 개발, 1970년대에 배치해 공군력 육성에 투자해왔고, 1980년대에는 경제호황에 힘입어 미국으로부터 [[F-15J]] 전투기를 220여 기 대량 구매해 라이센스 생산함으로써 방공 전력을 대폭 증강했다. 또한 2000년대에는 강력한 대함능력을 보유한 [[F-2]] 전투기를 미국과 공동개발하는 한편, F-15J의 근대화 개수를 진행했으며, 2020년대에는 100기 가량의 F-15MJ를 F-15EX 상당인 F-15JSI로 개량하는 동시에 최신예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A/B의 대량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항공자위대는 '''공격받아도 타국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자위대의 [[전수방위|전수방위전략]]에 따라 전력 확보 과정에서 적국을 공격할 수 있는 지상 공격 능력은 스스로 제한했다. 그래서 공대지 타격 능력에서는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아예 전무한 건 아닌지라 [[JDAM]], [[SDB]], [[페이브웨이]] 같은 소형 단거리 공대지 유도 폭탄을 도입해 보유하고 있다. 공대지 능력과는 반대로 공대공 능력과 공대함 능력은 충실하게 갖췄다. 특히 바다에서 [[해상자위대]]를 지원하여 적 함정을 공격하는 '''공대함 전력'''이 매우 독보적으로 뛰어난데, 이는 적군이 상륙하기 전 저지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ASM-2 공대함 미사일 4발을 장착할 수 있는 [[F-2]]전투기를 함정을 공격하기 위한 대함 전용 지원기로 편성하기도 했으며[* 2000년대 초반의 일로 2005년 이후에는 공대함을 포함해 가시거리 밖([[BVR]]) 공대공, 공대지가 모두 가능한 멀티롤 전투기로 개념이 변경되어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ASM-2의 후속인 [[ASM-3]]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도 개발을 완료하고 사정거리 연장 버전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는 [[중국]]의 군사적 팽창과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더욱 대두됨에 따라 실질적인 장거리 공격 미사일인 장거리 스탠드-오프 미사일들을 도입하고 있는데, F-35에 내부무장이 가능한 스텔스 대함·대지 미사일인 [[JSM 순항 미사일|JSM]]을 구입하고 자국판 JASSM-ER, [[LRASM]]에 해당하는 [[12식 지대함 미사일#s-4|1000km급 육해공 공용 스텔스 대함·대지 미사일]]의 개발 또한 가속화하고 있다. 공대공 부문에서는 자국산 공대공 미사일을 직접 생산하는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로서 가장 최신 시커 기술을 적용한 [[AAM-4]]와 [[AAM-5]]를 운용하고 있으며, [[영국]]과 [[미티어 미사일]]을 기반으로 [[JNAAM|새로운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항공자위대는 풍부한 조기경보기, 수송기, 급유기, 전자전기, 훈련기 등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어 꽤 균형잡힌 전술기 지원 전력을 갖추고 있다. 대형 [[AWACS]] 조기경보통제기인 [[E-767]] 4기와 [[E-2]]C 13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는 E-767을 최신 버전으로 개량하고 E-2C를 성능이 더욱 향상된 E-2D로 대체하고 있다. 수송기 역시 C-1/[[가와사키 C-2|C-2]] 중형 수송기 35기를 위시해 [[C-130]] 5기, [[UH-60|블랙호크]]와 치누크를 합쳐 48기를 운용하고 있다. 급유기는 [[KC-767]] 4기와 KC-130H 2기를 보유하고 있고, 최신 급유기인 [[KC-46]] 10기를 추가 도입하고 있다. 전자전기로는 C-1 수송기를 개조한 EC-1 광역 전자전 훈련기 1기와 [[YS-11]]EA/B 전자정찰기 6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C-2를 개조한 대형 전파정보수집기를 도입하고 있고, 또 C-2를 개조한 원격전자교란기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중등훈련기 [[T-4]]를 195기 운용하고 있다. 일본 전역에 설치되어 있는 항공/BMD 조기 경계 레이더의 수와 항공자위대의 항공기가 상시 운영되는 공항 숫자는 각각 25개이며, 항공자위대 소속의 [[패트리어트 미사일|PAC-3]] 24개 포대와 육상자위대 고사대가 이들을 방어하고 있다. == [[항공막료감부]] == 역대 [[항공막료장]]([[공군참모총장]])은 [[자위대/역대 막료장]]을 참고할 것. ||<-2> {{{#ffffff {{{+2 제36대 항공막료장([ruby(航空幕僚長, ruby=こうくうばくりょうちょう)]) }}}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ssage1.jpg|width=100%]]}}} || || 성명 || [[우치쿠라 히로아키]]([ruby(井筒 俊司, ruby=うちくら ひろあき)])[* 방대 31기. 한국 공사 35기에 해당.] || || 임기 || 2023년 3월 30일 ~ 현재 || || 생년월일 || 1964년 1월11일 || || 출신지 || [[치바현]] || == [[블루임펄스]] == 일본 대표 [[곡예비행팀]]. [[블루임펄스]] 항목 참조. [[파일:EMifU6wUYAAJcvR.jpg|width=70%]] == 주요 보유 항공기 / 장비 및 수량 == [include(틀:현대전/일본 항공병기)] === [[전투기]] === [[파일:image_5a69c3cfb86617_31617930.png|width=89%]] [[파일:DYT65jYU0AAv3Zz.jpg|width=89%]] ||<-2>
{{{#fff '''기종'''}}}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fff '''제조국'''}}} || ||<-2> [[F-15#s-6.5.2|{{{#fff '''F-15J/DJ'''}}}]][*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 200 || 68 ||<|4>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3>↳||{{{#fff F-15MJ}}}[* MSIP(Multi-Stage Improvement Program) 개량] || 101 || - || ||{{{#fff F-15SJ}}}[* 미개량, F-35A/B 105기로 대체] || 99 || - || ||{{{#fff F-15JSI}}}[* JSI(Japanese Super Interceptor) 개량, MSIP기 추가 업그레이드 예정] || - || 68 || ||<-2> [[F-2|{{{#fff '''F-2'''}}}]] || 91 || - ||<|3>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2>↳||{{{#fff F-2A}}}[* 단좌형] || 62 || - || ||{{{#fff F-2B}}}[* 복좌형] || 29 || - || ||<-2> [[F-35|{{{#fff '''F-35'''}}}]][* 도입 중, 미쓰비시 중공업 조립 생산(B형 제외)] || 30+ || 147 ||<|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2>↳||[[F-35A|{{{#fff F-35A}}}]] || 30+ || 105 || ||[[F-35B|{{{#fff F-35B}}}]] || - || 42 || === 지원기 === [[파일:Cvz_gmNVYAAKby3.jpg|width=89%]] [[파일:DuwPjGGVsAAMEAQ.jpg|width=89%]] [[파일:ESFtXpcU4AEVujk.jpg|width=89%]] [[파일:Cq7nrsNUsAAXiDb.jpg|width=89%]] [[파일:CyhHtUqVQAAfeJd.jpg|width=89%]] [[파일:D6wcL0WVsAAsgnu.jpg|width=89%]] [[파일:EINmyMpXYAAPM2I.jpg|width=89%]] ||<-2>
{{{#fff '''기종'''}}}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fff '''제조국'''}}} || ||<-2> [[조기경보통제기|{{{#fff '''조기경보통제기'''}}}]] || 21 || 18 ||<|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3>↳||[[E-767|{{{#fff E-767}}}]] || 4 || - || ||[[E-2|{{{#fff E-2C}}}]] || 13 || - || ||[[E-2|{{{#fff E-2D}}}]] || 6 || 18 || ||<-2> [[공중급유기|{{{#fff '''공중급유기'''}}}]] || 7 || 15 || ||<|3>↳||[[KC-767|{{{#fff KC-767}}}]] || 4 || - || ||[[KC-46|{{{#fff KC-46A}}}]] || 3 || 15 || ||[[C-130|{{{#fff KC-130H}}}]] || 2 || - || ||<-2> [[전자전기|{{{#fff '''전자전기'''}}}]] || 9 || 8 ||<|4>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4>↳||{{{#fff EC-1}}} || 1 || - || ||[[YS-11|{{{#fff YS-11EA/B}}}]] || 6 || - || ||[[가와사키 C-2|{{{#fff RC-2}}}]] || 2 || 4 || ||[[가와사키 C-2|{{{#fff EC-2}}}]] || 0 || 4 || ||<-2> [[무인기|{{{#fff '''중대형 무인기'''}}}]] || 1 || 4 ||<|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RQ-4|{{{#fff RQ-4 글로벌 호크}}}]] || 2[* 1기는 미국과 공동운영] || 4 || === [[훈련기]] === [[파일:DtO-IyPUUAADjgz.jpg|width=89%]] ||<-2>
{{{#fff '''기종'''}}}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fff '''제조국'''}}} || ||<-2> {{{#fff '''훈련기'''}}} || 257 || - ||<|3>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3>↳||[[가와사키 T-4|{{{#fff T-4}}}]][* 중등 훈련기] || 195 || - || ||{{{#fff T-7}}}[* 초등 훈련기, 2023년 중기방위력정비계획에 따라 후계기 없이 전량 퇴역 후 부대 해체 예정] || 49 || 0 || ||{{{#fff Hawker 400}}}[* 중형 훈련기] || 13 ||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 [[수송기]] 및 기타 특수목적기 === [[파일:INT_kawasaki_C1_2.png|width=89%]] [[파일:EIdHxWJWsAIEFQI.jpg|width=89%]] [[파일:DUYqcyKVQAAeXiX.jpg|width=89%]] [[파일:ETnQQ67U8AAIFhj.jpg|width=89%]] [[파일:JPNcode1.png|width=89%]] ||<-2>
{{{#fff '''기종'''}}}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fff '''제조국'''}}} || ||<-2> {{{#fff '''전술 수송기'''}}} || 42 || - ||<|3>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3>↳||[[가와사키 C-2|{{{#fff C-2}}}]][* 도입 중] || 15+ || 22 || ||{{{#fff C-1}}}[* 퇴역 중] || 13 || - || ||[[C-130|{{{#fff C-130H}}}]] || 14 || - ||<|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2> {{{#fff '''탐색 / 구조기'''}}} || 26 || - || ||↳||{{{#fff U-125A}}} || 26 || - || ||<-2> {{{#fff '''비행 검사기'''}}} || 5 || - || ||<|2>↳||{{{#fff U-125}}} || 2 || - || ||{{{#fff U-680A}}} || 3 || - || ||<-2> [[일본정부전용기|{{{#fff '''정부 전용기'''}}}]] || 7 || - || ||<|2>↳||[[보잉777-300ER|{{{#fff 보잉 777-300ER}}}]] || 2 || - || ||[[걸프스트림(기업)|{{{#fff 걸프스트림 IV U-4}}}]] || 5 || - || === [[헬리콥터]] === [[파일:wallpaper_contents16.jpg|width=89%]] [[파일:ENMbys8UUAU9tqT.jpg|width=89%]] ||<-2>
{{{#fff '''기종'''}}}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fff '''제조국'''}}} || ||<-2> [[헬리콥터|{{{#fff '''헬리콥터'''}}}]] || 48 || - ||<|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2>↳||[[UH-60|{{{#fff UH-60J}}}]][* 탐색 / 구조기,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 33 || - || ||[[CH-47|{{{#fff CH-47}}}]][* 수송기,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 15 || - || === 고정식 조기경계관제레이더 및 방공 유도탄 === [[파일:EDR2AvTXYAMo8lT.jpg|width=89%]] [[파일:ERL9cQhU4AAZVVo.jpg|width=89%]] [[파일:pc_05.jpg|width=89%]] [[파일:wallpaper_contents24.jpg|width=89%]] ||
{{{#fff '''형식명'''}}} || {{{#fff '''BMD 능력 여부'''}}} || {{{#fff '''보유수량'''}}} || {{{#fff '''제조국'''}}} || ||<-4> {{{#fff '''고정식 조기 경계 관제 레이더'''}}} || || {{{#fff J/FPS-2}}} || 無 || 3 ||<|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 {{{#fff J/FPS-3改}}} || 有 || 7 || || {{{#fff J/FPS-4}}} || 無 || 6 || || [[J/FPS-5|{{{#fff J/FPS-5}}}]] || 有 || 4 || || {{{#fff J/FPS-7}}} || 有 || 6 || ||<-4> {{{#fff '''방공 유도탄'''}}}[* 보유수량은 포대 단위] || || [[패트리어트 미사일|{{{#fff PAC-3}}}]][*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전 포대 MSE탄 업그레이드 완료] || 有 || 24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 [[81식 지대공유도탄|{{{#fff 81식 단거리 방공 유도탄}}}]][* 퇴역 중] || 無 || 17 ||<|2>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 [[1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fff 11식 기지 방공 유도탄}}}]][* 도입 중] || 無 || 13 || == 편제 == ||<-3> ※ [[항공총대|항공총대사령부]](航空總隊司令部) ||요코타 공군 기지 || || ◇ ||<-2>[[북부항공방면대]](北部航空方面隊) ||미사와 공군 기지 || || || ||제2항공단(第2航空団) ||치토세 공군기지 || || || ||제3항공단(第3航空団) ||[[미사와]] 공군기지 || || || ||북부항공 경계관제단(北部航空警戒管制団) ||미사와 공군기지 || || || ||제3고사군(第3高射群) ||치토세 공군기지 || || || ||제6고사군(第6高射群) ||미사와 공군기지 || || || ||북부항공 설비대(北部航空施設隊) ||미사와 공군기지 || || || ||북부항공음악대(北部航空音楽隊) ||미사와 공군기지 || || ◇ ||<-2>[[중부항공방면대]](中部航空方面隊) ||이루마 공군 기지 || || || ||제6항공단(第6航空団) ||코마츠 공군 기지 || || || ||제7항공단(第7航空団) ||햐쿠리 공군 기지 || || || ||중부항공 경계관제단(中部航空警戒管制団) ||이루마 공군 기지 || || || ||제1고사군(第1高射群) ||이루마 공군 기지 || || || ||제4고사군(第4高射群) ||기후(岐阜) || || || ||중부항공 설비대(中部航空施設隊) ||이루마 공군기지 || || || ||이오지마 기지대(硫黄島基地隊) ||이오섬 분둔기지 || || || ||중부항공음악대(中部航空音楽隊) ||하마마츠 공군 기지 || || ◇ ||<-2>[[서부항공방면대]](西部航空方面隊) ||카스가 공군 기지 || || || ||제5항공단(第5航空団) ||뉴타바루 공군 기지 || || || ||제8항공단(第8航空団) ||츠이키기지 공군 기지 || || || ||서부항공경계관제단(西部航空警戒管制団) ||카스가 공군기지 || || || ||제2고사군(第2高射群) ||카스가 공군기지 || || || ||서부항공 설비대(西部航空施設隊) ||카스가 공군기지 || || || ||서부항공방면대 지원비행대(西部航空方面隊司令部支援飛行隊) ||카스가 공군기지 || || || ||서부항공 음악대(西部航空音楽隊) ||카스가 공군기지 || || ◇ ||<-2>[[남서항공방면대]](南西航空方面隊) ||나하 공군 기지 || || || ||제9항공단(第9航空団) ||나하 공군 기지 || || || ||남서항공경계관제단(南西航空警戒管制団) ||나하 공군 기지 || || || ||제5고사군(第5高射群) ||나하 공군 기지 || || || ||남부항공 설비대(南西航空施設隊) ||나하 공군 기지 || || || ||남부항공 음악대(南西航空音楽隊) ||나하 공군 기지 || [[https://ja.wikipedia.org/wiki/%E8%88%AA%E7%A9%BA%E8%87%AA%E8%A1%9B%E9%9A%8A#%E7%B7%A8%E5%88%B6|편제]] 항공방면대(항공혼성단)사령관은 중장(공장)이 보임되며 각 방면대 소속의 항공단과 항공경계관제단에는 소장(공장보)이 보임된다. 고사군에는 대령으로 방공포병부대의 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각 항공단은 [[기지방호전대|기지]][[작전지원전대|업무군]], [[비행전대|비행군]], [[항공정비전대|정비보급군]] 등의 군([[전대(군대)|전대]])으로 구성되며 각 군(群) 사령의 계급은 대령이다. 한국과 비슷하게도 정비보급군에는 군수 출신들이 보임되지만 비행군은 조종 출신들이고 기지업무군도 상당수가 조종 출신들이다. --공군이란 조직 자체가 어떻게든 조종에게 한 자리라도 더 만들어줘서 민항사 안 가게 만들려고 하기 때문이다-- 위의 편제에는 [[항공총대]](한국의 공군작전사령부)만 나오고 있다. 다른 자세한 편제는 [[자위대/편성]]을 확인할 것. == 대중매체에서 == 대민홍보용으로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나 게임 제작에 지원을 해주는 경우가 빈번한 편이다.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 [[전투요정 유키카제]] 실제 전투기 엔진음이나 기타 음향을 지원해줬으며, 코마츠 [[미사와 공항|미사와]] 항공자위대 기지의 지원이 있었다.[* 등장하는 전투기 음향도 F-15와 거의 유사] (http://www.faf.jp/) * [[되살아나는 하늘 -RESCUE WINGS-]] 일본 항공자위대의 항공구조사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스트라토스4]] * [[BLOOD+]][* 출처 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の「協力」部分に「航空幕僚監部広報室」と記されていたが、途中から表示されなくなった。(일본 위키피디아)] * [[하늘을 나는 홍보실]] 항공자위대 홍보실의 출입기자와 홍보실 부서 군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 [[에이스 컴뱃 시리즈]] 에이스 컴뱃 4 때부터 항공자위대와 협력관계를 가져 고증에 필요한 자문을 받고 있지만, 세계관 자체는 가상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등장은 없었다. 그러나 현실 세계관으로 옮겨간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과 [[에이스 컴뱃 인피니티]], [[에이스 컴뱃 X2]]에서는 직접 등장한다. 시리즈 내에서도 항공자위대 스킨을 고정, 혹은 이벤트성으로 자주 제공하는 중이다. 다시 가상 세계관으로 돌아간 [[에이스 컴뱃 7]]에서도 아트 디렉터 '칸노 마사토'에 따르면, 항공 자위대에 방문해서 전투기 조종석 계기에 대해 집중 취재할 수 있었고, VR 멀미 해결을 위한 많은 조언을 얻기도 하였다고 밝혔다. [[ATD-0]]의 경우 항자대의 협력을 통해 게임 안에 구현할 수 있었다. * [[드래곤 파일럿: 히소네와 마소땅]] * [[우리 메이드가 너무 짜증나!]] 작중 주인공인 메이드 카모이 츠바메가 항공자위대 부사관 출신이다. * [[걸리 에어포스]] 항공자위대와 콜라보레이션을 하였다.[[https://twitter.com/GAF_anime/status/1041617088270352384|#]] * [[워 썬더]] * [[강철비]]: 항공자위대 소속 [[F-15J]]가 미 공군 B-52 폭격기를 호위해주며 잠시 등장했다. * [[비상선언]] == 관련 문서 == * [[군사력]] * [[공군력]] * [[대한민국 공군]] * [[미합중국 공군]] * [[인민해방군 공군]] * [[항공 병기/현대전]] * [[자위대]] * [[공군]]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 관련 문서)] [[분류:항공자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