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항공기 관련 자격증)] [[분류:기능사]] |||| {{{+2 {{{#FFFFFF '''항공전기·전자정비기능사'''}}}}}}[br]{{{#FFFFFF '''Craftsman Aircraft Electric & Electronic Maintenance'''}}} || || 중분류 || 165. 항공 || ||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목차][clearfix] == 개요 == 항공기는 정밀한 부품의 결합체로 만들어진 기체로서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점검과 정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항공서비스를 향상시키고 안전 한 운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공기 정비 및 수리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시험응시 및 관련 정보는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5&jmCd=7785|큐넷]] 홈페이지를 참조. 현재 정기검정은 연 2회(2, 4회차) 실시하고 있다. 특히, 구 항공전자정비기능사는 필기시험 수험서도 없어서 [[의무검정]] 취득자가 전체 취득자의 90% 이상인 시험으로 유명했다. 2024년에 항공장비정비기능사와 항공전자정비기능사가 합쳐져서 현재의 자격이 되었다.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60분이다. 1.항공전자장치 2.전기이론 3.전자공학 4.전자측정 ||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 2020년 || 48 || 7 || 14.6% || || 2019년 || 83 || 5 || 6% || || 2018년 || 132 || 9 || 6.8% || || 2017년 || 152 || 22 || 14.5% || || 2016년 || 130 || 7 || 5.4% || || 2015년 || 110 || 12 || 10.9% || 필기 시험비용은 14,500원이다. == 실기 == ||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 2020년 || 271 || 217 || 80.1% || || 2019년 || 370 || 340 || 91.9% || || 2018년 || 390 || 340 || 87.2% || || 2017년 || 397 || 379 || 95.5% || || 2016년 || 376 || 320 || 85.1% || || 2015년 || 368 || 320 || 87% || 실기 시험비용은 27,700원이다. 실기는 2시간 15분이 소요되며, 4가지 과제가 주어진다. 1~2과제는 구 항공장비정비기능사, 3~4과제는 구 항공전자정비기능사에 해당되는 과제이다. 제1과제는 '멀티미디어'인데, 동영상 문제를 보고 대답하는 문제이다. 총 30분에 배점 30점. 제2과제는 '항공정비 기본작업으로, 토크렌치 사용, 코터핀, 안전결선 작업 및 측정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총 15분. 제3과제는 '항공전기전자장비 기본작업'으로, 전선다발 묶기와 스플라이스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총 30분. 제4과제는 '회로제작 작업'으로, [[PCB]] 기판에 공개문제 3문제 중 1문제가 주어지면 그대로 납땜하면 된다. 과거 만능기판을 사용하던 시절보다 납땜의 난이도 자체는 많이 내려갔다. 제한시간 1시간. == 관련 문서 == * [[자격증]] * [[국가기술자격]] * [[기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