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인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목차] == 해외에 위치한 한국인 학교 == 해외에 있는 한국인 자녀들을 위한 학교. 지리적 특성상 초,중,고등학교가 모두 모여있는 경우가 많다. 어감이 좀 이상하지만, 법률상 명칭은 "한국학교"이다. "재외국민에게 [[초중등교육법]]의 규정에 따른 학교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육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외국에 설립된 교육기관"을 의미한다(재외국민의 교육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 === 대륙별 분류 === ==== [[아시아]] ====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에도 교민이 많은 편이지만 대부분 수도인 자카르타 또는 주변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보니 학교는 한 곳에 불과하다. * [[자카르타한국국제학교]] ===== [[일본]] ===== 일본은 순수 한국국적자와 특별영주권을 가진 재일교포가 많이 거주하는 나라지만, 정작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아닌 [[대한민국]] 교육과정을 따르는 학교는 단 6곳 뿐이다. [[대한민국]]이 직접적으로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지원하는 [[조선학교]]에 비해 수가 매우 적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일본인도 다니며, 운동부의 경우는 [[홍철 없는 홍철팀|아예 한국인이 한 명도 없는 경우도 있다]](...) *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 지원하는 학교들. * 도쿄 소재 * [[동경한국학교]](東京韓国学校) * 오사카 소재 * 건국 유·소·중·고등학교(建国幼・小・中・高等学校) * 오사카 금강 인터내셔널 소·중·고등학교(大阪金剛インタ-ナショナル小中高等学校) * 교토 소재 * [[교토국제학교]](京都国際学園) * 민단 및 한국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는 재일교포들이 모여서 만든 한국 학교들. * 오사카 소재 * 코리아 국제 학원(コリア国際学園)[* 2008년 설립] ===== [[중국]] ===== [include(틀:중국의 한인학교)] 대한민국 교민이 가장 많이 사는 나라인 만큼 중국에 위치한 한국인 학교도 정말 많다. 중국이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지정하지 않아 이들 학교에 다녔다면 크리스마스에 등교했을 가능성이 있다. * [[광저우한국학교]] * [[대련한국국제학교]] * [[무석한국학교]] * [[북경한국국제학교]] * [[상해한국학교]] * [[선양한국국제학교]] * [[소주한국학교]] * [[옌타이한국국제학교]] * [[연변한국국제학교]] * [[웨이하이한국학교]] * [[천진한국국제학교]] * [[칭다오청운한국학교]] * [[홍콩한국국제학교]] ===== [[대만]] ===== * [[타이뻬이한국학교]] * [[까오숑한국국제학교]] ===== [[베트남]] ===== [include(틀:베트남의 한인학교)] 베트남의 호치민과 수도 하노이에 한국학교가 있다. 특히 [[하노이한국국제학교]]는 베트남 북부지방에 기업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나날이 전학생이 증가하고 있어 교실 부족이 극심하다. 베트남이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지정하지 않아 이들 학교는 크리스마스를 쉬더라도 재량휴업일로나 쉰다. * [[하노이한국국제학교]] *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 ===== [[사우디 아라비아]] ===== 제 2차 오일쇼크 이후 중동의 건설붐을 따라 많은 한국인들이 사우디에 건너올 때 설립되었다. 본래 3개가 있었으며 담맘한국학교가 학생수 부족으로 폐교되었다. 셋 중에서는 젯다한국학교가 제일 먼저 설립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지정하지 않아 그 학교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재량휴업일 정도로 쉬거나, 정상 등교한다. * [[http://homepy.korean.net/~ksj/www/|젯다한국학교]] * [[http://www.riyadhkorea.kr/|리야드한국학교]]: 1979년에 설립되어 80년대에는 한때 전교생 200명을 넘겼으나 1997년에는 55명, 2001년에는 27명, 2015년에는 15명 등으로 나날이 학생수가 줄어들며 존폐의 기로에 놓여 있다. ===== [[싱가포르]] ===== 싱가포르에도 한국 국제학교가 있다. 다만 싱가포르 내 한국인 비중이 적기 때문인지 학생 수나 학급 수나 모두 적다. * [[싱가포르한국국제학교]] ===== [[태국]] ===== * [[방콕한국국제학교]] ===== [[필리핀]] ===== * [[필리핀한국국제학교|필리핀한국국제학교(KISP)]] * [[마닐라한국아카데미|마닐라한국아카데미(MHA)]] ===== [[이란]] ===== * 테헤란한국학교 ===== [[말레이시아]] ===== * 말레이시아한국국제학교 ==== [[아메리카]] ==== ===== [[미국]] ===== * 실리콘밸리한국학교 - [[쿠퍼티노 고등학교]]에서 토요일마다 유아반부터 성인반까지 1000명이 넘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 [[파라과이]] ===== * 파라과이한국학교 ===== [[아르헨티나]] ===== * 아르헨티나한국학교 ==== [[유럽]] ==== ===== [[러시아]] ===== * [[모스크바한국학교]] - 현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과정까지만 운영되고 있다. ===== [[체코]] ===== * [[프라하한인학교]]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등 다양한 연령대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매주 금요일 오후에 체코 국립학교 건물을 빌려서 수업을 진행한다. ==== [[아프리카]] ==== ===== [[이집트]] ===== * [[카이로한국학교]] == 같이 보기 == * [[한국교육원]][* [[초중등교육법]]이 적용되는 재외한국학교와는 다르다] * [[조선학교]] * [[조선대학교(일본)|일본 도쿄 조선대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외국인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