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행성과학]] [include(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목차] == 개요 == 행성과학(planetary science)은 [[행성]], [[행성계]], [[위성]] 또는 여타 소천체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다. 초기 [[천문학]]의 역사에서 행성(정확히는 [[태양계]]의 행성)이 차지한 비중을 생각하면, 천문학의 하위 분야라고 생각하기 쉽고 또한 그것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행성과학의 특성상 [[지질학]] 혹은 여타 [[지구과학]]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으며, 실제로 행성과학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많은 대학에서는 천문학과가 아니라 [[지질학과]] 내에서 행성과학 강의를 열고, 애초에 학과의 이름 자체가 지질학과 행성과학을 모두 포함하기도 한다. 즉 한 대상을 연구하기 위해 여러 학문이 요구되는 [[학제간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궤도]]나 다른 천체와의 상호작용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지식이 필요하고, 구성 물질이나 대기, 내부 구조 등의 연구에는 지구과학적 지식이 주로 요구된다. 행성의 형성 과정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지구과학적 이해가 모두 필요하다. 과거의 행성과학은 주로 태양계 천체들에 관한 것에 국한되었으나, [[외계 행성]]들이 속속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외계 행성 연구가 점점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외계 생물이 존재한다면 아무래도 행성류의 천체에서 발견될 확률이 높다는 점에서, 행성과학은 [[우주생물학]]과도 연관이 깊다. 또한 지구과학 연구의 성지라 할 수 있는 남북극 극지연구와도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미국에서는 극지연구를 이끄는 [[NOAA]]의 연구원들이 [[NASA]]로 이직하는 경우도 있고 NASA JPL의 연구원들도 극지연구소에서 구른 경력을 바탕으로 외행성 탐사 프로젝트에 입문하기도 한다. JPL이 행성간 탐사선 착륙/로버를 테스트할 때면 과학자고 엔지니어고 전부 남극으로 끌려가서 테스트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으로, 대표적으로 [[유로파 미션]] 같은 경우 잠수정을 만드느라 관계자들이 심심하면 남북극 얼음호수와 바다를 휘젓고 다니는 등 지구과학 전문가들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학부 수준에서 행성과학을 가르치는 경우는 아직 잘 없다.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을 배운 후에 대학원 분야로 선택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행성과학을 적극적으로 연구하는 교수와 연구원들이 외국과 달리 천문학과에 많은데, 문제는 그 천문학과가 별로 없다. 지질학, 지구과학 관련 학과에서 재직하는 교수들도 있긴 있지만 이 역시 보기 드문 편. 보통 천문학과에서는 행성과학에 투신한 교수가 최소 한 명 정도는 있는 편. == 관련 항목 == * [[천문학 관련 정보#s-6 | 천문학 관련 정보의 행성천문학]] 부분 참고. * [[아폴로 계획]][* 역대 유인 우주 프로그램 중 직접적으로 외부 천체를 탐사한 유일무이한 프로그램이다.] * [[제트추진연구소]][* 이름만 비행기 만드는 곳 같을 뿐 하는 일은 행성과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