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국가행정조직 == [[행정학]]의 용어로, 국가 및 행정기관을 이루는 조직을 뜻한다. [[국가행정조직]] 문서로. 그 외에, 우리나라의 행정조직 구성은 국가조직법을 따른다. == 행정학의 한 분야 '행정조직론' == [[행정학]]의 한 분야로, 조직 속에서 인간의 행태(조직행동론)과 조직을 목적에 맞게 만드는 법 (조직구조론/직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인사행정]] 문서도 함께 볼 것. 행정조직론은 행정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19세기부터 시작이 된다. 이때는 엽관주의의 타파, [[과학적 관리론]]의 대두로 인해 테일러의 시간-동작 연구, 막스 베버의 [[관료제]] 등과 같은 조직이론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은 인간의 사회성과 능동성의 무시, 노조의 영향력 증대, [[호손 실험]]을 통해 비판을 받았다. 그러면서 [[인간관계론]]이 나왔다.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도 조직 내에서 인간의 행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은 서로 다른 [[인간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를 X이론 Y이론이라고도 한다. === 조직구조론 === * 조직설계 : [[직제]]의 설계. 크게는 [[국가행정조직]]을 통폐합하거나 신설하는 데까지 갈 것이고, 작게는 20명짜리 부서에 중간관리직을 2명 둘 것인가 3명 둘 것인가까지 갈 것이다. * [[조직문화]] : 조직이 공유하고 있는 속성이 미치는 영향을 보고, 그것을 행정의 가치에 맞게 바꾸는 방법을 찾아본다.[[관료제]]와 [[혁신]]행정(adhocracy) 사이의 차이를 다룬다. * 조직변화(조직발전) === [[조직행동론]] === * 조직의 인간형 * 동기부여이론 * [[공직윤리]] === 기타 === * [[리더십]] * 지방조직론 : 행정조직 중에서도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지방행정학]]과 연결지어지는 학문. == 관련 문서 == * [[행정학]] [[분류:조직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