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2> '''{{{#fff {{{+1 향나무}}}[br]Chinese junip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yang_juniperus_chinensis.jpg|width=100%]]}}} || || '''학명''' || ''' ''Juniperus chinensis'' '''[br]L.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Plantae)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구과식물문(Pinophy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구과식물강(Pinopsid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구과목(Pin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향나무속(''Junipe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향나무(''J. chinens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 [[바늘잎나무]]. 크게 자란다면 15~29 m 정도까지 성장한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고 세로로 얇게 조각조각 벗겨진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3년생 가지는 적갈색이며 그 이상 오래되면 잿빛이 도는 흑갈색이 된다. 잎은 바늘잎과 비늘잎 2가지가 있는데 어린 가지에는 바늘잎이 달리고 7~8년 이상 묵은 가지에는 비늘잎이 달린다. 바늘잎은 돌려나거나 마주나고 앞면에 3줄의 불규칙한 흰색 선이 있으며 오목하고 주맥이 도드라진다. 부드러운 비늘잎은 마름모형으로 끝이 둥글다. 암수딴그루로 가지 끝에 달리는 수꽃은 타원형이고 노란색이며 둥그스름한 암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둥근 열매는 초록색이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자체적으로 향이 난다. == 명칭 == ||<-2><:>'''언어별 명칭'''|| ||<:>{{{#373a3c,#ddd '''영어'''}}} || Chinese juniper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 향나무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 [ruby(桧树,ruby=guìshù)]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 [ruby(伊吹,ruby=いぶき)] || == 용도 == 향을 만드는 재료이고, 그 향내 때문에 산소나 묘지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다.[* 그 자체가 좋은 관상목이기도 하지만, 가지를 꺾거나 마른 가지를 태워 그대로 향으로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향 때문에 [[묵주]]나 [[염주]]를 만드는 재료로도 나름대로 인기가 있다. 나무도 열매도 [[향수(화장품)|향수]]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향 설명에서 주니퍼 또는 주니퍼 베리(열매)로 흔히 기재되어 있다. [[연필]]을 만들 때는 [[동아시아]] 원산인 향나무 대신 [[북아메리카]] 원산인 [[연필향나무]]를 이용하는데 어릴때의 성장이 향나무속 중에서 가장 빨라 대량 생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 기타 == 향나무속(Juniperus)에는 바늘잎만 나는 종과 비늘잎, 바늘잎이 둘 다 나는 종류로 나뉘어지는데, 향나무는 비늘잎, 바늘잎 둘 다 나는 종이다. 바늘잎만 나는 종으로는 [[노간주나무]], [[해변노간주]], 두송, 곱향나무 등이 있다. 곱향나무는 함경도 이북에서 자라는 북방계 수종으로 국내에서는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가 유일하다. == 가이즈카 향나무 == '''カイヅカイブキ(貝塚息吹, 가이즈카이부키)'''. 나사백이라고도 하는데 바늘잎이 거의 없고, 줄기가 나사처럼 꼬여서 자란다. 일본어 명칭은 [[오사카부]] [[가이즈카시]]에서 유래했다. [[일제강점기]]에 처음 식재된 수종이라 하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405928|'민족정기 훼손, 일제잔재 청산'을 이유로]] 추방시키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이토 히로부미가 대구를 방문했을 때 달성공원에 2그루 기념식수한 등 일제강점기와 관련할 만한 일이 많아서 그런 듯. 그래서 많은 학교에서 향나무가 [[교목]](校木)이었던 경우 다른 나무로 많이들 바꾸고 있다. [[분류:나무]][[분류:구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