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 鄕藥救急方}}} == 개요 == 현존하는 [[대한민국|한국]]의 의학서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저자 미상의 책. 향약(鄕藥)이라는 뜻은 한국에서 나온 약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반대로 고려시기에 [[중국]]에서 난 약재는 당약(唐藥)[* 시대로 보면 '송(宋)'을 붙이는 게 맞겠지만, 여기에서의 '당(唐)'은 특정 왕조를 의미한다기보다 중국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읽어야 매끄럽다. 한문, 한족, 한자 등에 쓰이는 한(漢) 또한 그렇게 보아야 한다. 오늘날 [[차이나타운]]을 당인가(唐人街, 당나라 사람의 거리)로 부르는 것도, 더 넓게보면 [[태조(조선)|이성계]]를 특정 책에서 '고려국왕'이라 칭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영어로 고려의 유래를 가진 korea가 한국을 뜻하는 것, 진나라의 유래를 가진 china가 중국을 뜻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읽으면 되겠다.]이라는 표현을 썼다. == 내용 == 향약방이란 고려시대 당시, 중국의 의학과 고려의 의학이 가지는 차이점에 따라, 고려의 실정에 맞춘 독자적인 처방법이다. 질병들에 대한 처방법과 함께 질병에 대한 국산 약재에 대한 소개도 함께 되어 있다. 초간본은 [[여몽전쟁]]이 한창이었던 1236년[* 논란이 있다. 아래 단락 참조.] 강화도의 대장도감[* 이름만 봐도 감이 오지만 [[팔만대장경]]을 찍어낸 그 부서다. 불경 찍고 나서 남은 활자들로 겸사겸사 의서도 발행한 셈.]의 주도 하에 발간됐으나 소실됐고 현재는 조선시대의 중간본(태종 17년, 1417) 중 1부만이 일본에 남아있다.[* 10년 정도 있다가 [[충녕대군|세종]] 때도 한 번 더 발간됐는데 이것도 발간했다는 기록만 남아있을 뿐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상/중/하 세 권으로 나뉘어 있는데, 상권에서는 주로 [[식중독]], [[졸도]], [[골절]]과 같은 응급상황에 대한 처치법을 다루고 있으며, 중권에서는 [[화상]], [[동상]], [[종기]]와 같은 각종 피부 질환 및 [[당뇨]], [[심장병]], 복통과 같은 내과 질환에 관해서 서술하고 있다. 마지막 하권에서는 부인과 및 소아과 질환 및 각종 한약재의 동시복용 허용 여부와 민간요법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원문 내용을 그대로 갖고 오자면 다음과 같다. ① 상권 18목(目) : 식독(食毒) · 육독(肉毒) · 균독(菌毒) · 백약독(百藥毒) · 별독 · 골골 · 식열 · 졸사(卒死) · 자액(自縊) · 열탕(熱湯) · 낙수(落水) · 중주(中酒) · 단주(斷酒) · 타절(墮折) · 금창(金瘡) · 후비(喉痺) · 중설(重舌) · 치감. ② 중권 25목 : 정창(丁瘡) · 옹저(癰疽) · 장옹(腸癰) · 동창(凍瘡) · 악창(惡瘡) · 칠창(漆瘡) · 탕화창(湯火瘡) · 단독은마 · 벌지창(伐指瘡) · 표저(凜疸) · 골저(骨疽) · 선개과창 · 전족목죽첨자(箭鏃木竹籤刺) · 치루상풍(痔漏傷風) · 구장통(口腸痛) · 냉열리(冷熱痢)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임질(淋疾) · 소갈(消渴) · 소변하혈(小便下血) · 음라음창(陰癩陰瘡) · 비뉵(鼻衄) · 안병(眼病) · 이병(耳病) · 구순병(口脣病). ③ 하권 12목 : 부인잡방(婦人雜方) · 소아잡방(小兒雜方) · 소아오탄제물(小兒誤呑諸物) · 수종(水腫) · 중풍(中風) · 전광 · 학질(瘧疾) · 두통(頭痛) · 잡방(雜方) · 복약법(服藥法) · 약성상반(藥性相反) · 고전록험방(古傳錄驗方).] === 수록된 약재 향명 일람 === 괄호 안의 재구된 고려어는 남풍현 교수의 것을 따랐다. || 순번 || 한문 || 향명(남풍현 재구) || 중세 국어 || 현대 국어 || || 1||[[葛]][[根]] ||叱乙根(즐불휘) ||츩불휘 ||[[칡]]뿌리 || || 2||[[乾]]藕 ||蓮根(년ᄀᆞᆫ) ||련근 ||[[연근]] || || 3||[[決]][[明]][[子]] ||狄小豆(되ᄑᆞᇧ) ||되ᄑᆞᇧ ||[[결명자|되팥]] || ||<|2> 4||<|2>[[京]][[三]][[稜]] ||結次邑笠根(ᄆᆡᄌᆞᆸ갇불휘) ||<|2>ᄆᆡ자깃 불휘 ||<|2>매자기 [[뿌리]] || ||結叱加次根(ᄆᆡᄌᆞᆺ갖불휘) || || 5||[[鷄]][[冠]] ||鷄矣碧叱(ᄃᆞᆰ의볏) ||ᄃᆞᆰ의 볏 ||[[닭]]의 [[볏]] || || 6||[[戒]][[火]] ||塔菜(탑ᄂᆞᄆᆞᆯ) ||돌ᄂᆞᄆᆞᆯ ||[[돌나물]][* 꿩의비름(戒火)과 돌나물은 다른 식물이지만 같은 돌나물[[과]](科)에 속한다.] || || 7||[[苦]][[蔘]] ||板麻(널삼) ||너ᅀᅡᆷ ||너삼[* 한의학에서, 쓴너삼과 단너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8||[[苦]]瓠 ||朴葉(박닢) ||박닢 ||[[박(식물)|박]]잎 || ||<|3> 9||<|3>[[括]]萋 ||天叱月乙(하ᄂᆞᆳᄃᆞᆯ) ||<|2>하ᄂᆞᆳᄃᆞ래 ||<|2>[[하눌타리죽|하눌타리]] || ||天原乙(하ᄂᆞᆯᄐᆞᆯ) || ||天乙根(하ᄂᆞᆯᄐᆞᆯ불휘) ||하ᄂᆞᆳᄃᆞ래 불휘 ||[[하눌타리죽|하눌타리]] [[뿌리]] || || 10||槐[* 원문의 螝(회)를 교감.] ||迴之木(횟나모) ||회나모 ||[[회나무]] || || 11||蕎[[麥]] ||木麥(모밀) ||모밀 ||[[메밀]] || || 12||[[韭]] ||厚菜(후ᄎᆡ) ||부ᄎᆡ ||[[부추]] || ||<|2> 13||<|2>薤 ||薤菜(해ᄎᆡ) ||해ᄎᆡ ||[[락교|염교]] || ||海菜白根(ᄒᆡᄎᆡᄒᆡᆫ불휘) ||해ᄎᆡ ᄒᆡᆫ 불휘 ||[[락교|염교]] 흰 [[뿌리]] || || 14||瞿[[麥]] ||石竹花(셕듁화) ||셕듁화 ||[[패랭이꽃|석죽화]] || ||<|2> 15||<|2>蠷螋 ||影亇伊汝乙伊(그르메너흘이) ||<|2>그르메너흐리 ||<|2>[[그리마]] || ||影良汝乙伊(그르마너흘이) || ||<|2> 16||<|2>蚯[[蚓]] ||居乎(거ᇫ휘) ||<|2>거ᇫ위 ||<|2>[[회충|거위]][* 회충과(科)의 [[기생충]]이다. 오릿과의 그 [[거위]]가 아니다.] || ||居叱兒乎(거스ᇫ휘) || || 17||芎藭 ||蛇避草(ᄇᆞ얌두러기플) ||ᄇᆡ얌도랏 ||뱀도랏[* 芎藭는 [[궁궁이]]를 뜻하는데, 궁궁이와 뱀도랏은 같은 미나리과(科)에 속한다.] || || 18||[[葵]][[子]] ||阿夫實(아보ᄡᅵ) ||아혹 ᄡᅵ ||[[아욱]] [[씨앗|씨]] || || 19||[[菌]][[毒]] ||背(ᄇᆡ)[* 뒷 음절이 누락된 듯 하다.] ||버슷 ||[[버섯]] || ||<|2> 20||<|2>桔[[梗]] ||道羅次(도랒) ||<|2>도랒 ||<|2>[[도라지]] || ||刀亽次(도랒) || || 21||[[糯]][[米]] ||粘米(ᄎᆞᆯᄡᆞᆯ) ||ᄎᆞᆯᄡᆞᆯ ||[[찹쌀]] || || 22||[[蘿]]葍 ||唐菁(대무ᅀᅮ) ||댓무ᅀᅮ ||[[무(채소)|무]] || || 23||[[馬]][[蹄]][* 원문의 落蹄(낙제)를 교감.] ||態月背(곰ᄃᆞᆯᄇᆡ) ||곰ᄃᆞᆯ외 ||[[곰취]] || || 24||薍[[子]] ||月乙老(ᄃᆞᆯ뢰) ||ᄃᆞᆯ뢰 ||[[달래]] || ||<|2> 25||<|2>[[藍]] ||靑苔(쳥ᄃᆡ) ||쳥ᄃᆡ ||청대[* 한의학에서, [[쪽#s-5|쪽]]을 가공하여 만든 약재를 뜻하는 말.] || ||靑乙召只(프를족) ||프를 족 ||푸른 [[쪽#s-5|쪽]] || || 26||[[狼]][[牙]][[草]] ||狼矣牙(일히의엄)[* [[이리]]의 [[어금니]]를 뜻한다.] ||랑아초 ||낭아초 || || 27||[[蘆]][[根]] ||葦乙根(ᄀᆞᆯ불휘) ||ᄀᆞᆳ불휘 ||[[갈대]] [[뿌리]] || || 28||[[露]][[蜂]][[房]] ||亏蜂家(ᄆᆞᆯ벌집) ||ᄆᆞᆯ벌집 ||[[말벌]]의 [[집]] || || 29||[[鸕]]鶿 ||烏支(가마오디) ||가마오디 ||[[가마우지]] || || 30||[[鹿]][[角]] ||少蔘矣角(사ᄉᆞᄆᆡᄲᅳᆯ) ||사ᄉᆞ믜ᄲᅳᆯ ||[[사슴]]의 [[뿔]] || || 31||[[膽]] ||与老(여로) ||열 ||[[쓸개]][* 일부 [[방언]]에서는 지금도 쓸개를 가리켜 '열'이라는 표현을 쓰곤 한다.] || || 32||[[當]][[歸]] ||黨貴菜(당귀ᄎᆡ) ||<-2>[[당귀]] || ||<|2> 33||<|2>[[大]][[戟]] ||楊等柒(버들옷) ||<-2>버들옷 || ||楊等柒根(버들옷불휘) ||버들옷 불휘 ||버들옷 [[뿌리]] || || 34||[[大]][[麥]] ||包來(보ᄅᆡ) ||<-2>[[보리]] || || 35||[[大]]蒜 ||亇汝乙(마ᄂᆞᆯ) ||마ᄂᆞᆯ ||[[마늘]] || || 36||[[獨]][[走]][[根]] ||勿叱隱提阿(ᄆᆞᆯᄉᆞᆫᄃᆞᆯ아) ||ᄆᆞᆯᅀᆞᆫᄃᆞ래 ||쥐방울 || || 37||[[獨]][[活]] ||虎驚草(ᄯᅡ둘흡플) ||ᄯᅡᆺ둘흡 ||땅두릅 || || 38||[[麻]][[子]] ||与乙(열) ||열ᄡᅵ ||[[삼(식물)|삼]]씨[* [[함경북도]] [[방언]]에서는 지금도 삼의 씨앗을 열씨라고 한다.] || || 39||[[馬]][[齒]]莧 ||金非陵音(쇠비름) ||<-2>[[쇠비름]] || || 40||[[蔓]]菁[[子]] ||眞菁實(ᄎᆞᆷ무수ᄡᅵ) ||쉿무ᅀᅮ ᄡᅵ ||[[순무]] [[씨앗|씨]] || || 41||[[麥]][[門]][[冬]] ||冬乙沙伊(겨ᅀᅳᆯ사리) ||겨ᅀᅳ사리 ||[[겨우살이]] || || 42||[[麥]][[飯]][[石]] ||粘石(ᄎᆞᆯ돌) ||ᄎᆞ돌 ||[[차돌]] || || 43||[[麵]] ||眞末(ᄎᆞᆷᄀᆞᄅᆞ) ||밄ᄀᆞᄅᆞ ||[[밀가루]] || ||<|2> 44||<|2>茅[[香]] ||置伊存(뒤잇) ||ᄠᅱ ||[[띠#s-3|띠]] || ||置伊有根(뒤잇불휘) ||ᄠᅱᆺ불휘 ||[[띠#s-3|띠]] [[뿌리]] || ||<|2> 45||<|2>[[無]][[患]] ||木串子(모관ᄌᆞ) ||모관쥬 ||[[모감주나무|모감주]] || ||夫背也只木實(부븨여기나모여름) ||모관쥬나모 여름 ||[[모감주나무]] [[열매]] || || 46||[[木]][[賊]] ||省只草(속새) ||<-2>속새 || ||<|2> 47||<|2>[[牡]]蠣[[甲]] ||屈召介(굴조개) ||굸죠개 ||[[굴(어패류)|굴조개]] || ||屈召介甲(굴조개겁질) ||굸죠갯 겁질 ||[[굴(어패류)|굴조개]] [[껍질]] || || 48||[[牡]][[鼠]][[失]] ||雄鼠糞(숫쥐ᄯᅩᇰ) ||숫쥐 ᄯᅩᇰ ||[[쥐|숫쥐]] [[똥]] || || 49||[[蕪]]荑 ||白楡實(한느릅ᄡᅵ) ||ᄒᆡᆫ느릅나모 ᄡᅵ ||흰[[느릅나무]] [[씨앗|씨]] || || 50||[[薄]][[荷]] ||芳荷(방하) ||<-2>[[박하]] || || 51||[[半]][[夏]] ||雉矣毛老邑(ᄭᅵ의모ᄅᆞᆸ) ||ᄭᅴ모롭 ||끼무릇 || || 52||[[白]][[歛]] ||犬伊刀叱草(가히돗플) ||가희톱 ||가회톱 || || 53||[[白]]朮 ||沙邑菜(삽ᄎᆡ) ||삽듀 ||[[삽주차|삽주]] || ||<|2> 54||<|2>[[百]][[合]] ||犬伊那里根(가히나리불휘) ||개나릿불휘 ||[[개나리]] [[뿌리]] || ||犬乃里花(가히나리곶) ||개나리곶 ||[[개나리]]꽃 || || 55||蘩蔞 ||見甘介(보ᄃᆞᆯ개)[* 甘介見(ᄃᆞᆯ개보)를 잘못 적은 것으로 보기도 한다.] ||ᄃᆞᆯᄀᆡ믿가비 ||[[달개비]] || || 56||麩 ||只火乙(기블) ||기울 ||[[밀]]기울 || || 57||[[腐]][[婢]][[花]] ||小豆花(ᄑᆞᆺ곶) ||ᄑᆞᆺᄭᅩᆺ ||[[팥]]꽃 || || 58||[[浮]]萍 ||魚矣食(고기ᄋᆡ밥) ||머구릐밥 ||[[개구리밥]] || ||<|2> 59||<|2>[[射]][[干]] ||虎矣扇(범의부체) ||범부체 ||범부채 || ||虎矣扇根(범의부체불휘) ||범부체 불휘 ||범부채 [[뿌리]] || || 60||[[蛇]][[床]][[子]] ||蛇音置良只菜實(ᄇᆞ얌두러기ᄂᆞᄆᆞᆯᄡᅵ) ||ᄇᆡ얌도랏 ᄂᆞᄆᆞᆯ ᄡᅵ ||뱀도랏 [[나물]] [[씨앗|씨]] || || 61||蒴藋 ||馬尿木(ᄆᆞᆯ오좀나모) ||ᄆᆞᆯ오좀나모 ||말오줌나무[* 蒴藋의 뜻인 넓은잎딱총나무는 말오줌나무와 같은 인동과(科)에 속한다.] || || 62||[[山]]茱萸 ||數要木實(수유나모여름) ||수유나모 여름 ||[[산수유나무]] [[열매]] || || 63||[[酸]]棗 ||三㫆大棗(사미대조) ||묏대쵸 ||멧[[대추]] || ||<|2> 64||<|2>[[商]][[陸]] ||者里宮(쟈리공) ||쟈리공 ||자리공 || ||者里宮根(쟈리공불휘) ||쟈리공 불휘 ||자리공 [[뿌리]] || || 65||[[橡]][[實]] ||猪矣栗(도ᄐᆡ밤) ||도톨왐 ||[[도토리]] || || 66||[[黍]][[米]] ||只叱(깆) ||<-2>[[기장(식물)|기장]] || || 67||[[薯]]蕷 ||亇支(맏) ||<-2>[[마(식물)|마]] || || 68||[[石]][[決]][[明]] ||生鮑甲(ᄉᆡᆼ보겁질) ||ᄉᆡᆼ포 겁질 ||[[전복]] 껍질 || || 69||[[蟾]]蜍 ||豆何非(두허비) ||두터비 ||[[두꺼비]] || || 70||[[細]][[辛]] ||洗心(셰심) ||셰신 ||세신[* 족두리풀이나 민족두리풀의 뿌리.] || || 71||[[小]][[麥]] ||眞麥(ᄎᆞᆷ밀) ||<-2>[[밀]] || || 72||[[蘇]][[子]] ||紫蘇實(ᄌᆞ소ᄡᅵ) ||ᄎᆞ소기 ᄡᅵ ||[[차조기]] [[씨앗|씨]] || || 73||[[水]][[藻]] ||勿(ᄆᆞᆯ) ||말왐 ||[[마름]] || || 74||菘[[菜]] ||無蘇(무수) ||무ᅀᅮ ||[[무(채소)|무]] || || 75||[[升]][[麻]] ||雉鳥老草(ᄭᅵ됴로플) ||ᄭᅴ뎔가리 ||끼절가리 || || 76||[[柴]][[胡]] ||山叱水乃立(묏믈나리) ||묏미나리 ||멧[[미나리]] || || 77||[[夜]][[合]][[花]] ||沙乙木花(살나모곶) ||자괴나모 곶 ||[[자귀나무]] [[꽃]] || || 78||藜[[蘆]] ||箔草(박새) ||<-2>[[박새#s-2|박새]] || || 79||蠡[[實]] ||筆花(붇곶) ||붇곳 ||[[붓꽃]] || || 80||䕡茹 ||烏得夫得(오ᄃᆞᆨ보ᄃᆞᆨ) ||오독ᄠᅩ기 ||오독도기 || || 81||[[鉛]] ||那勿(나ᄆᆞᆯ) ||<-2>[[납]] || || 82||[[燕]][[脂]] ||你叱花(니시곶) ||니ᅀᅵᆺ곳 ||[[잇꽃]] || || 83||羚[[羊]][[角]] ||山羊角(산양ᄲᅳᆯ) ||산양의 ᄲᅳᆯ ||[[산양]]의 [[뿔]] || || 84||[[烏]][[鷄]] ||黑鷄(검ᄃᆞᆰ) ||거믄 ᄃᆞᆰ ||[[오골계|검은 닭]] || || 85||蜈蚣 ||之乃(지내) ||<-2>[[지네]] || || 86||萵苣 ||紫夫豆菜(ᄌᆞ부두ᄂᆞᄆᆞᆯ) ||부루 ᄂᆞᄆᆞᆯ ||[[상추]][* 지금도 [[강원도]] [[방언]]에서는 상추를 [[부루#s-2|부루]]라고 한다.] 나물 || || 87||[[芋]] ||毛立(모ᄅᆞᆸ) ||<-2>[[토란]] || || 88||[[牛]][[膝]] ||牛膝草(쇼무릅플) ||ᄉᆈ무룹 ||쇠무릎 || || 89||[[牛]][[溺]] ||牛矣小便(쇼ᄋᆡ오좀) ||ᄉᆈ오좀 ||[[소]]의 [[오줌]] || ||<|2> 90||<|2>[[郁]][[李]] ||山叱伊賜羅次(묏이ᄉᆞ랒) ||묏이스랏 ||[[산앵두나무|산이스라지]] || ||山梅子(산ᄆᆡ자) ||산ᄆᆡᄌᆞ ||[[산매자나무|산매자]] || || 91||[[雄]]隺[[矢]] ||雄鳥屎(수새ᄯᅩᇰ) ||수새ᄯᅩᆼ ||수새[* [[새]]의 [[수컷]].]의 [[똥]] || ||<|2> 92||<|2>[[遠]][[志]] ||阿只草(아기플) ||<|2>아기플 ||<|2>애기풀 || ||非師豆力草(비ᄉᆞ두도플) || || 93||[[威]][[靈]][[仙]] ||車矣菜(술위ᄂᆞᄆᆞᆯ) ||술위ᄂᆞᄆᆞᆯ ||수레[[나물]][* 사위질빵의 다른 이름.] || ||<|2> 94||<|2>蝟[[皮]] ||高參猪(고ᄉᆞᆷ돝) ||고솜돝 ||[[고슴도치]] || ||苦參猪矣皮(고ᄉᆞᆷ도ᄐᆡ갗) ||고솜도ᄐᆡ 갓 ||[[고슴도치]] [[가죽]] || || 95||薏苡 ||伊乙每(이을믜) ||율믜 ||[[율무]] || || 96||茵蔯蒿 ||加火左只(더블자기) ||더위자기 ||더위지기 || || 97||蚌 ||所也只(소야기) ||쇠야기 ||[[쐐기벌레|쐐기]] || || 98||[[紫]]菀 ||迨加乙(ᄐᆡ갈) ||ᄐᆡ알 ||탱알 || || 99||[[雀]][[麥]] ||鼠包衣(쥐보ᄅᆡ) ||귀보리 ||[[귀리]] || ||<|2> 100||<|2>楮 ||茶只葉(닥닢) ||닥닢 ||[[닥나무]] [[잎]] || ||多只(닥) ||닥 ||[[닥나무]] || || 101||[[剪]][[草]] ||騾耳草(나귀플) ||가새플 ||가새풀 || || 102||葶藶[[子]] ||豆音矣薺(두름의나ᅀᅵ) ||두루믜나ᅀᅵ ||두루미냉이 || || 103||薺苨 ||獐矣加次(노ᄅᆞᄋᆡ갖)[* [[노루]]의 [[가죽]]을 뜻한다.] ||계로기 ||게로기 || || 104||蠐螬 ||夫背也只(부븨여기) ||굼벙이 ||[[굼벵이]] || ||<|2> 105||<|2>皁莢 ||注也邑(주엽) ||주엽 ||[[쥐엄나무|쥐엄]] || ||鼠厭木實(쥐염나모여름) ||주엽나모 여름 ||[[쥐엄나무]] [[열매]] || || 106||[[枳]] ||只沙里皮(기사리거플) ||ᄐᆡᆼᄌᆞ나못 거플 ||[[탱자나무]] 껍질 || || 107||[[地]][[膚]][[子]] ||唐橻伊(대ᄡᆞ리) ||대ᄡᆞ리 ||[[댑싸리떡|댑싸리]] || || 108||[[地]]楡 ||苽菜(외ᄂᆞᄆᆞᆯ) ||외ᄂᆞᄆᆞᆯ ||[[오이]]나물 || || 109||蜘蛛 ||居毛伊(거믜) ||거믜 ||[[거미]] || || 110||[[秦]][[皮]] ||水靑木皮(믈프레나모거플) ||무프레나모 거플 ||[[물푸레나무]] 껍질 || || 111||蒺藜[[子]] ||古冬非居參(고ᄃᆞᆯ비거ᄉᆞᆷ) ||납거ᄉᆡ ||남가새 || || 112||[[車]][[前]][[子]] ||吉刑菜實(길형ᄂᆞᄆᆞᆯᄡᅵ) ||길경이 ᄂᆞᄆᆞᆯ ᄡᅵ ||[[질경이]] [[나물]] 씨 || || 113||[[蒼]][[耳]] ||升古亇伊(됫고마리) ||돗고마리 ||도꼬마리 || || 114||菖蒲 ||松衣亇(숑ᄋᆡ마) ||숑의마 ||[[창포]] || || 115||[[天]][[南]][[星]] ||豆也味次(두여맞) ||두야머주저기 ||두여머조자기 || || 116||[[蜀]]椒 ||眞椒(진죠) ||쵸피 ||조피[* [[초피나무]]의 열매.] || || 117||茺[[蔚]] ||目非也次(눈비얒) ||눈비엿 ||[[익모초|암눈비앗]] || || 118||[[漆]][[姑]] ||漆矣於耳(옷ᄋᆡ어ᅀᅵ) ||옷ᄋᆡ 어ᅀᅵ ||[[옻]]의 목심(木心) || || 119||[[澤]][[瀉]] ||牛耳菜(쇼귀ᄂᆞᄆᆞᆯ) ||ᄉᆈ귀ᄂᆞᄆᆞᆯ ||쇠귀나물 || || 120||[[土]]苽 ||鼠瓜(쥐외) ||쥐ᄎᆞᆷ외 ||쥐참외 || || 121||菟[[絲]][[子]] ||鳥伊麻(새삼) ||새ᅀᅡᆷ ||[[새삼차|새삼]] || ||<|2> 122||<|2>[[通]][[草]] ||伊屹烏音(이흘옴) ||이흐름 ||[[으름]] || ||伊乙吾音蔓(이흘옴너줄) ||이흐름너줄 ||[[으름]]덩굴 || || 123||藊[[豆]] ||汝注乙豆(너줄콩) ||너출콩 ||까치콩 || || 124||[[蒲]][[黃]] ||蒲槌上黃粉(부들마치우횟누른ᄀᆞᄅᆞ)[* '[[부들]] 망치(꽃이삭) 위의 누런 가루'라는 뜻이다. 이러한 향명은 《구급간이방(1489)》에서도 나타나므로, 조선 초기까지 쓰이다가 점차 사라진 향명으로 보인다.] ||부들 ᄭᅩᆺᄀᆞᄅᆞ ||[[부들]] 꽃가루 || ||<|2> 125||<|2>萆[[麻]][[子]] ||阿次加伊(아ᄌᆞ가리) ||아ᄌᆞᆺ가리 ||[[아주까리]] || ||阿叱加伊實(아ᄌᆞ가리ᄡᅵ) ||아ᄌᆞᆺ가리 ᄡᅵ ||[[아주까리]] [[씨앗|씨]] || || 126||[[鶴]]蝨 ||狐矣尿(여ᅀᆞᄋᆡ오좀) ||여ᇫ의오좀플 ||여우오줌풀[* 鶴蝨은 담배풀을 뜻하는데, 여우오줌풀과 담배풀은 같은 국화과(科)에 속한다.] || || 127||[[玄]][[蔘]] ||心回草(심회초) ||<-2>현삼 || || 128||[[胡]][[麻]] ||荏子(ᄭᅢ) ||ᄢᅢ ||[[깨]] || || 129||[[滑]][[石]] ||膏石(곱돌) ||<-2>[[곱돌]] || || 130||[[黃]]芩 ||所邑朽斤草(솝서근플) ||속서근플 ||[[황금#s-2|속썩은풀]] || || 131||[[黃]][[蓍]] ||甘板麻(ᄃᆞᆫ널삼) ||ᄃᆞᆫ너ᅀᅡᆷ ||[[황기(식물)|단너삼]] || || 132||[[黃]][[蠟]] ||黃密(누른밀) ||누른밀 ||[[꿀]] || || 133||[[丹]][[毒]] ||所乙(솔) ||<-2>[[단독(질병)|단독]] || || 134||[[發]][[背]]癰疽 ||包厼刀叱(보곰돗) ||브ᅀᅳ름 돋(다) ||[[종기#s-1|부스럼]]이 돋(다) || || 135||[[附]][[骨]]疽 ||骨無伊(ᄲᅧ뮈) ||부골져 ||만성 골막염 || || 136||疣[[目]] ||斤次左只(근ᄌᆞ자기) ||사마괴 ||[[사마귀(질병)|사마귀]] || || 137||[[癮]][[疹]] ||豆等良只(두드러기) ||<-2>[[두드러기]] || || 138||[[齒]]齼 ||齒所叱史如(니솟ᄉᆡ다) ||니 쓔시다 ||[[치아|이]]가 쑤시다 || || 139||猘[[犬]] ||狂犬(미친가히) ||미친가히 ||[[미친개]] || || 140||熨[[斗]] ||多里甫里(다리브리) ||다리우리 ||[[다리미]] || == 여담 == * 사학계에서는 향약구급방을 놓고 [[한의학]]이 자주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초석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몽골]]의 [[중국]] 및 고려 침략으로 중국에서 수입하는 약재의 공급선이 단절되어 국산 약재를 보완재로 삼으려고 했던 걸로 보인다. * 본 책에 수록된 각종 민간약재들이 [[차자]], [[향찰]], [[이두]]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되어서 고려시대 중세 한국어를 연구하는 데도 크게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책을 연구한 국문학자들에 따르면 이 시기에는 아직 [[유성음]] 사이에서 [[ㅸ]]이 w으로 변하는 현상[* '춥다'의 활용형이 '추워'로 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 물론 [[경상도 방언]]에서는 [[순경음]] 사용례가 남아 있다.]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ㄹ]]과 모음 사이에서 [[ㅅ]]이 [[반치음]]인 [[ㅿ]]으로 바뀌는 현상도 간혹 목격된다고 한다. 이러한 문법/발성 요소 이외에도 각종 단어들의 [[어원]] 또한 찾아볼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상단의 향명 목록 참고. * 2020년 5월 경찰 채용시험에서 이 책의 발간시기에 대한 문제가 나왔는데 이 책이 1236년 간행되었다고 단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터졌다.[* 지난번에도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의 명확하지 않은 건립년도 때문에 논란이 터진 적 있는데 그 때는 555년이 정답으로 인정됐다.] 경찰청은 문제 오류를 인정하고 복수정답 처리한다고 했지만 많은 수험생들이 이에 반발하는 중. 네티즌들은 이에 대해서 경찰일하고는 아무 상관 없는 지식을 저 정도나 알아야 한다는 사실에 씁쓸해하였다. [[분류:고려의 도서]][[분류:의학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