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ubsequentWarlikeTangibleBlow, 합의사항1=영단어 hubba-hubba에서 유래된 빨리빨리라는 뜻의 외래어를 허버허버(외래어\)로 분리\, 허버허버 문서 상단에 틀:다른 뜻으로 연결, 토론주소2=OrdinaryMelodicPumpedHat, 합의사항2=국립국어원 답변 자체의 문제로 인한 대중의 오인 초래 가능성 및 해당 답변의 부적절성 서술 문단 존치.)] [목차] == 개요 == 해방 이후부터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외래어 '''허버허버/허바허바'''를 설명한 문서. == 어원 == === 영어 === > '''hubba-hubba''' > Interjection, U.S Slang, to express approval, pleasure, excitement, or enthusiasm, especially by G.I's of WW2 as a shout in appreciation of a pretty girl. > 감탄사, 미 속어. 인정, 흥분, 열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의 보병들이 아름다운 여성을 향해 환호할 때 쓰이던 표현. > ---- > 출처: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hubba-hubba|메리엄 웹스터]], [[https://www.ahdictionary.com/word/search.html?q=hubba-hubba|어메리칸 헤리티지]], [[https://www.collinsdictionary.com/dictionary/english/hubba-hubba|콜린스]], [[https://www.dictionary.com/browse/hubba-hubba|dictionary.com]] > '''hubba hubba''' > "Hubba hubba!" is used to express sexual approval, pleasure or excitement. You may hear it in old movies -- comedies from the 1940s and 1950s. > ---- > 출처 : [[https://www.urbandictionary.com/define.php?term=Hubba%20hubba|Urban Dictionary]] Smithonian Magazine의 2013년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where-did-the-phrase-hubba-hubba-come-from-724400/|기사]]는 hubba-hubba의 어원을 다각도로 분석했다. 기사는 미군 유래설, 미국내 미디어 유래설, 독일어, 이디시어 혹은 중국어 유래설까지 제시했다. 두 가지 의미로 쓰였는데, 첫 번째로는 위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감탄사로 사용되었다. 일종의 [[캣 콜링]]. [[https://youtu.be/iFElgS9Bt1g|심슨에서도 사용된적 있다]] 또 한 가지는 '[[빨리빨리]](double time, hurry up)'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 3화에서 해리 웰시가 병사들을 독려할 때("Martin, Dukeman, you just volunteered. Hubba-hubba.") 말한다. === 일본어에서의 외래어 === > '''ハバハバ''' > [感]「早く早く」。 > 감탄사, 빨리빨리. 진주군(주일미군)이 사용하던 말. >---- > 출처: [[https://dictionary.goo.ne.jp/word/%E3%83%8F%E3%83%90%E3%83%8F%E3%83%90/#jn-178946|goo 일어사전]], [[https://www.weblio.jp/content/%E3%83%8F%E3%83%90%E3%83%8F%E3%83%90|weblio 사전]] 두 사이트가 공통적으로 제공하는 [[쇼가쿠칸]]의 디지털 다이지센은 이 단어가 [[주일미군]]을 통해 들어온 영단어 hubba-hubba에서 유래했다고 서술한다. 한편 weblio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일본어 사전인 Koseisha 판본에서는 허버허버의 유래 언어를 영어가 아닌 "파푸아 토착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이 단어를 통해 허버허버가 전후 일본어에서 유입된 "중역된 외래어" 혹은 동시기에 함깨 전래된 외래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아사히 신문]]이 제공하는 kotobank에는 감탄사 용례로 '''빨리빨리'''라는 뜻으로 사용된 예가 제시되어 있다. 한국어 용례와 훨씬 가까운 용례. [[https://kotobank.jp/word/%E3%83%8F%E3%83%90%E3%83%8F%E3%83%90-604109|예시]] == 한국어에서의 외래어 == 아래에 제시된 몇 가지 용례와 사전 수록예를 토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진주한 [[미군]]에 의해 사용된 영단어 hubba-hubba가 과거 한일 양국에서 외래어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확인된 최초의 용례 === 1946년, 을지로에서 '''허바허바 사장'''[* 당시에는 사진관을 사장(寫場)이라고 일컬었다. 한편 법조계에 입문한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데, 미등기상호와 상표권이 관련되어 있는 꽤 유명한 판례(63다811)를 남겼기 때문이다.]을 개업한 김주성이 의뢰한 경향신문 광고로 이 단어가 매체에 등장하기 시작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611210032920102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6-11-21&officeId=00032&pageNo=1&printNo=41&publishType=00020|1946.11.21, 경향신문 1면 하단 광고]] 사진관에 이 단어를 붙인 이유는 빠른 필름 현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특히 급하게 사진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어필하기 위해서였다. [[http://futureheritage.seoul.go.kr/web/investigate/HeritageView.do?htId=211&pageIdx=1&rowsPerPage=8&searchGu=3001&searchBunya=&searchGubun=&searchContents=%ED%97%88%EB%B0%94%ED%97%88%EB%B0%94&searchCategory=&searchCondition1=&searchCondition2=&searchYear=|서울 미래유산]] 홈페이지에는 김주성이 1943년에 해당 간판으로 개업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서울 미래유산 홈페이지에 실린 기사들과 여러 사료들로 비추어 볼 때 단어 허버허버는 1946년부터 해당 상호로 사용된 것이 유력하다. 현재 운영중인 해당 사진관 홈페이지의 개업년도 표기[* [[https://www.hubbahubba.co.kr/|1959년]]]에 얽힌 사연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21900099118003&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5-02-19&officeId=00009&pageNo=18&printNo=9018&publishType=00010|이 기사 참조]]. === 실사용례 === * [[6.25 전쟁]]시기부터 1997년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던 용례들이 있다. 아래는 그 예. * 아래 제시된 예 중 신문에서 확인된 사례들은 [[https://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할 수 있다. >한국 대표의 탈퇴를 본 유엔측 대표단과 공산측 대표단은 이제와서는 원칙이고 주장이고 다 폐리(弊履)[* 헌 신]같이 내던지고 그야말로 '허버허버'로 최종적 세목을 절충하고 있다는 인상이 깊다. >---- >1953년 6월 8일 조선일보 >"한쬬상! 허바허바. 발리, 발리!" GI는 몽둥이로 데크의 난간을 쾅쾅치면서 다크를 향하여 고함을 질렀다. >---- >1965년 8월 14일 경향신문 연재 '다시 어둠속에서' >....외래어가 우리 생활의 구석구석에 침투하고 있으며 허바허바XX 등 군대의 속어까지 즐겨 쓰이고 있다. >---- >1972년 7월 24일 동아일보 '폐습 - 외래어 남용' [[파일:경향만평19730912.png]] [[경향신문]] 1973년 9월 12일 만평 >"허버허버 캄 히어" 그는 수화기를 놓으려다가 얼른 도로 들어 콧소리로 말했다. "핼로 마이 다링 키스 미" 수화기로 키스 소리가 전해왔다. 그러자 그는 감미로운듯 가늘게 눈을 뜨고 키스를 되보내는 것이었다. >---- >월간문학 21권 7-9호 P.155, 1988 >허바허바(hubba-hubba)라는 단어를 예로 들어 보자. 한국전쟁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지게꾼에서부터 초등학교 아이와 구두닦이에 이르기까지 ''''허바허바'라는 영어 단어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어서어서'나 '빨리빨리'라는 뜻의 그 말을... >---- >[[안정효]]의 영어 길들이기, 영작편 1997 === 한국 내 사전 수록예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포함한 한국어 사전에 허버허버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몇몇 영한사전과 일한사전에서 수록예를 찾을 수 있는데, 영어 어휘(hubba-hubba)로서는 [[https://en.dict.naver.com/#/search?query=hubba-hubba|동아출판의 프라임 영한사전과 YBM의 올인원 영한사전]]에, 일어 어휘(ハバ·ハバ)로서는 [[https://ja.dict.naver.com/#/entry/jako/9dfbcdb6792c49cca0cb570ee8005d4f|민중서림 엣센스 일한사전]]과 [[https://dic.daum.net/word/view.do?wordid=jkw000064743&q=%E3%83%8F%E3%83%90%E3%83%8F%E3%83%90&suptype=KUMSUNG_JK|뉴에이스 사전, 고지엔 사전]]에 수록되어 있으며, 뉴에이스와 고지엔 사전은 어원까지 기술하고 있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답변 ===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허버허버'에 대한 어원 정보가 없어 안내가 어렵습니다. 방언의 쓰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말샘과 지역어 종합 정보에서 '허버'를 찾아보았으나, 그 쓰임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문의하여 주셨는데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08129|#]]--[* 현재는 삭제되었다. 작성자가 실수로 지웠다고 한다. 삭제된 글 당시 작성자가 남긴 답변만 사진으로 남아있다.[[https://www.dogdrip.net/321873074|#]]] 2021년 2월 16일, 한 네티즌이 '허버허버'의 어원이나 뜻에 대한 문의를 요청했으나, 온라인가나다에서는 방언의 쓰임새 정도만 찾아보고 정보가 없다는 답을 주었다. 질문자가 영단어 'hubba-hubba'를 제시했으나 답변에는 외래어 데이터 관련 언급이 없었다. 질문자의 마지막 질문 문장이 '방언' 등의 용례를 물었기에 해당 답변을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답변으로 인해 온라인가나다가 많은 이들이 외래어 허버허버마저 "[[래디컬 페미니스트|일부 집단]]에 의해 '''날조되어 생성된 단어'''"로 오인하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하기도 했다. 종합하자면 방언에 대한 답변은 있으나 외래어에 대한 답변은 없는 상태이다. == 관련문서 == * [[허버허버]]: 2021년, 성별 혐오 단어로 쓰이고 있다. 문서 참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허버허버, version=391)] [[분류:외래어]][[분류:영어 단어]][[분류:일본어 단어]][[분류:속어 유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