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한 말의 반역자, rd1=허소(후한 반역자), other2=후한 말의 자객, rd2=허소(후한), other3=대한민국의 정치인, rd3=허소(정치인))] [include(틀:후한서)] 許劭 (150년 ~ 195년)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의 인물이며 자는 자장(子將)으로 예주 여남군 평예현[* 現 [[허난성]] [[주마뎬시]]의 일부. 후한서 허소전의 주석에 따라 평여의 여는 발음이 예(預)라고 한다.] 출신. 허건의 동생이자 [[허정(삼국지)|허정]]의 사촌동생이다. 정사나 창작물에서는 [[최주평]]이나 [[장중경]]처럼 이름이 아니라 성과 자를 합친 허자장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주로 허자장으로 알려져 있다. 형인 허건과 함께 평예이룡(平與二龍)이라 불렸다. == 생애 == 매달 초하룻날마다 향리의 인물을 골라 비평해 여남의 '''월단평'''(月旦評)[[https://blog.naver.com/jonghah1/222975414061|출전(出典)]]이라 해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허소의 월단평으로 등용된 사람들이 매우 높은 관직에 오른 사람들도 많고 뛰어난 인물들도 많아서 사람들은 어떻게든 허소의 월단평을 받아보려고 애썼다. 허소가 여남태수 [[서구(삼국지)|서구]]에게 기용되어 군의 공조가 되었을 때 허정을 배척해 봉록을 얻을 수 없게 해 허정은 혼자 힘으로 살아야했다고 한다. [[교현]]이 [[조조]]에게 허소를 만나볼 것을 권해서 조조와 만나게 되었다가 허소는 조조가 난폭한 자로 소문난 지라 두려워 입을 열지 못하다가 재촉하자 마지못해 대답하는데, >'''[[조조/평가|그대는 태평세월의 간적(奸賊)이요, 난세의 영웅(英雄)]]이라''' 이 말을 들은 조조는 크게 웃었다고 한다[* 서술하는 역사서에 영웅과 간웅이 계속 뒤바뀌는데, '''치세의 능신이요, 난세의 간웅이라'''라고 쓰여진 책도 일부 있지만, 후한서 허소전에는 "태평세월의 간적, 난세의 영웅"으로 되어있다. '삼국지가 울고 있네'의 저자인 리동혁은 조조의 삶을 볼 때 후한서의 표현이 더 사실에 부합할 거라고 저서에 적었다. 어차피 장차 천하에 난세가 도래할 것이 뻔했기에, '간적'이라는 평은 빈말에 불과하였고, 따라서 남아있는 '영웅'이라는 평이 조조의 맘에 들었던 것이다. [[카츠마타 토모하루 삼국지]]에서 허소가 조조를 "치세의 간적, 난세의 영웅"이라고 평가하는 걸로 묘사되었다. 연의에서는 정사 무제기의 문구를 차용해 난세의 간웅이라 하자 조조는 그것도 좋다며 크게 웃었는데, 이 일화를 통해 아무리 악인일지언정 평범한 범인이 아니라 천하를 떨게 만들 인물이 된다면 만족한다는 조조의 '''야망과 그릇'''을 보여주는 서술적 장치로 사용되었다.] 조조와 [[양표]] 등 여러 사람이 초빙하려고 했지만 모두 거절했으며, 중원에서 일어난 전란을 피해 양주 땅으로 피신했다가 [[유엽]]을 보고 세상을 보좌할 만한 인재라고 평했다. 자신은 [[유요]]에게 몸을 의탁했으나 [[손책]]이 공격해 유요가 패하자 같이 달아났는데, 회계로 도망가려고 하는 유요에게 회계는 부유하고 실한 곳이라 손책이 곧 탐낼 것이기 때문에 예장으로 피할 것을 제안했다. 유요와 함께 예장으로 피난하지만 46세에 허소는 곧 풍토병으로 사망한다. 어떤 사람이 [[유요]]에게 [[태사자]]를 써보라고 권하자 유요는 "내가 그를 썼다가는 허자장이 나를 비웃을 것이오"라고 말했을 정도로 인물의 평에 대해서는 이름있는 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허소는 태사자가 배신을 할 상이 보인다고 평했는데 유요는 그 말을 듣고 태사자를 기용하지 않고 홀대해서 배신당한다.[* 정확히는 태사자가 손씨네 가문을 죽을 때까지 섬긴 것으로 보아 허소가 평가한 태사자는 '유요에게 부적합한 인물'이지 '배신의 달인'이 아니다. 태사자의 성향이나 행적을 생각하면, 어지간한 인물 밑으로는 들어가지 않고 차라리 본인이 군벌의 수장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 것일 수도 있다.] 예장기엔 허소의 귀신 이야기가 기록되어있다. [[심계]]가 예장태수로 있을 때 대낮 대청에 어떤 사람이 나타났는데, 무사복을 입고 노란 두건을 쓰고 있었다. 그 사람은 스스로 여남 평여현 사람인 허소 자장이라 밝히며 장례를 다시 해달라고 한 뒤 사라졌다. 심계는 그의 무덤의 위치를 알 수 없어서 초혼제를 지내 주었다. == 관상'쟁이'? == 후한 말기의 [[향거리선제]]를 잘 모르는 현대 작가들은[* 사실 현대만이 아니고 무려 삼국지연의가 쓰여지던 시기에도(명나라 초) 그랬는지 황건적의 난을 일으킨 장각은 연의에서는 과거 시험에서 떨어진 적이 있다고 나오지만 이 시기는 과거제가 없었다.] 허소의 월단평도 이해하지 못해서 그저 '''관상쟁이'''로 왜곡되어 나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것은 당시의 사회 제도를 이해하지 못해서 나타난 오해이다. 당시에도 [[관상]]은 존재했는데 [[종요]]의 기록에 이런 사람이 인상견(人相見)이라고 나오지만 허소에는 해당된다고 볼 수 없다. 위에서 나온 월단평을 관상이라고 보면 크나큰 착각이다. [[과거 제도]]가 완성될 때까지 관직에 오르는 것은 세습과 [[매관매직|구매]], [[천거]]로 크게 나뉘었다. 특히 후한 말기에는 천거에 의한 관직임용이 만연했고 그 중에서도 '''효렴은 100% [[태수]] 천거'''로만 등용되는 관직이었던 데다가 환관에 대항하는 청류파가 강조되면서 평판이 대단히 중요해졌다.[* 천거의 요소에 효렴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효렴의 경우는 정말로 평판이 중요했다.] 그 과정에서 외부에 드러나지 않은 인물들에 대한 평판을 하는 이들이 늘어나는데, 허소와 허정이 특히 유명해진 것이다. 그러니까 허소와 허정에게 평판을 훌륭하게 받으면 천거가 잘되고 천거가 잘되면 관직에 쉽게 오르는 것이다.[* 덤으로 군웅할거의 시기가 열리자 평판은 인재 등용과 군웅의 성장에도 영향을 준다. 평가가 좋은 인재나 군웅은 그만큼 출세가 쉽거나 세력을 모으기 쉬웠고 반대로 이렇다할 평판이 없으면 어려웠다.] 현대로 치자면 인기 높은 시사평론가가 대권후보나 유력한 정치주자라고 꼽아주는 것과 비슷하다. 이런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게 [[허정(삼국지)|허정]]의 사례로 그는 명성은 높았지만 유비의 입촉 당시에 유비군이 성도까지 오자 도망치고 항복하려다 붙잡히는 명성에 걸맞지 않은 추태를 보인 까닭에 유비는 그를 등용하지 않으려고 했다. 그렇지만 세상 사람들이 그의 명성에 미혹되므로 등용해야 한다고 법정이 설득하여 허정은 등용될 수 있었다. 실속이 부족한 사람이더라도 명성이 높다면 사회적인 영향력 정도는 끼칠 수 있다는 얘기. 아무튼 이 오해 때문에 [[http://2007.hani.co.kr/arti/culture/book/585838.html|신문 기사]]에도 흔히 허소를 관상쟁이로 나타내고 있으며, 관상학계에서는 허소를 오래 전의 관상 명인으로 보고 있다. 어찌 됐든 잘못 알려져서 한 분야의 전설급 인물로 기억되고 있으니 소가 뒷걸음치다 쥐 밟은 셈이다. == 미디어 믹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허소/기타 창작물)]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150년 출생]][[분류:195년 사망]][[분류:주마뎬시 출신 인물]][[분류:여남 허씨]] [include(틀:포크됨2, title=허소, d=2023-01-24 03: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