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허영거영'''|| || 일어판 명칭 ||'''[ruby(虚栄巨影, ruby=きょえいきょえい)]'''|| || 영어판 명칭 ||'''Ego Boost'''|| ||<-2> 속공 마법 || ||<-2>자신의 공격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데미지 스텝시에만 1000 포인트 올린다. 공격 몬스터 1장과 전투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이 된다.|| [[유희왕 ZEXAL]] 9화에서 [[츠쿠모 유마]]가 [[캐시(유희왕)|캐시]]와의 듀얼 중 사용. [[베이비 트래곤]]을 강화시키고 공격력이 2800까지 강화된 [[캐시(유희왕)#트윈 테일 캣 레이디|트윈 테일 캣 레이디]]의 공격력을 원래대로 되돌려서 전투로 파괴시켰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23_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EgoBoost-ST14-KR-C-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허영거영, 일어판 명칭=虚栄巨影(きょえいきょえい), 영어판 명칭=Ego Boost, 효과1=①: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1000 올린다.)] [[돌진(유희왕)|돌진]]에서 발동 타이밍을 고정시킨 대신 강화 수치를 상향시킨 버전. 성능은 좀 난감하여 공격력 +300에 현혹되지 말고 그냥 돌진을 쓰는게 낫다. 제대로 먹혀 들어가기만 하면 돌진보다 좋긴 하지만 데미지 스텝 중에 발동해서 비교적 확실히 상대를 엿먹일 수 있는 장점이 사라져 버렸다. 기껏 발동했다가 상대의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 등에 몬스터가 파괴되어 제대로 엿먹을 수도 있고 아예 배틀 페이즈에 들어가기도 전에 [[싸이크론]] 등의 제거 카드를 먼저 맞으면 돌진처럼 체인해서 써버릴 수도 없는 등 리스크가 더 크다. 공격 선언 전에 미리 공격력을 올려놓을 수 없다는 것도 답답한 점. 이 효과를 받는 대상은 전투를 실행하는 몬스터가 아니라도 상관 없다. 또한 상대 몬스터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대 몬스터를 배틀 페이즈 중에 강화시키는 카드로 치자면 상승치는 탑급이라 할 수 있다. [[헬 템피스트]]를 발동하는 순간에 방해받을 우려를 덜어주니 고려해봐도 좋을 듯. 일러스트는 거인의 형상 비슷한 것을 보고 쫄고 있는 [[바바리안(유희왕)|바바리안 1호]]가 그려져 있다. 해외판에선 형상의 하반신이 사라지고 바바리안의 위치가 살짝 변했는데, 원판의 일러스트가 [[펠라치오]]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수정된 것. == 관련 카드 == === [[돌진(유희왕)|돌진]] === === [[버서크 스케일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돌진(유희왕),version=68)] [[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