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서에 관한 죄]] ||'''제227조(허위공문서작성등)''' 공무원이 행사할 목적으로 그 직무에 관하여 문서 또는 도화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변개한 때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전문개정 1995. 12. 29.] || [목차] == 개요 == 작성권한 __'''있는'''__ 공무원이 허위의 공문서를 작성한 경우 성립하는 범죄. == 구성요건요소 == 여기서 '허위'는 진실에 반하거나 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공무원으로 하여금 공문서에 거짓된 기재를 하면 처벌한다는 의미로 [[거짓말 범죄]]의 일종이다. == 보호법익 == 공공의 신용을 보호법익으로 한다. 즉, 법리적으로 따지자면 개인이 피해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 판례 및 관련 사건 ==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재판/김기춘·김장수·김관진·윤전추]] ===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김기춘이 세월호 관련 국회 질의에 대한 답변서를 작성하였는데, 그 중 내용 일부가 허위라는 취지로 기소되었다. * 국회에 대한 답변서는 공문서이고, 김기춘은 작성권한자이므로 그러한 구성요건요소는 충족한다. * 답변내용 중 사실관계(‘비서실에서는 20~30분 단위로 간단없이 유·무선으로 보고를 하였기 때문에’)를 밝힌 부분은 실제 대통령비서실과 청와대 국가안보실에서 부속비서관이나 관저에 발송한 총 보고횟수, 시간, 방식 등 객관적 보고내역에 부합하여 사실에 반하는 허위가 아니었다고 하여 무죄취지로 파기환송 되었다.. * 답변내용 중 의견 부분은 주관적 의견을 표명한 것이지, 이것으로 공공의 신용이 위태롭게 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이 부분 역시 무죄취지로 파기환송 되었다. === 그 외 사건사고 === *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논란/문재인 정부의 월북 여부 조작 혐의]]에서, 문재인 정부 공무원들이 본 건은 월북이 아님에도 월북했다고 표현했다는 취지의 공문서를 작성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 [[한상혁의 TV조선 재승인 심사점수 조작 의혹 사건]]에서 한상혁이 TV조선의 점수를 고의적으로 낮추는 형태로 공문서를 작성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 [[정순신 국가수사본부장 낙마 사태]]에서 [[정순신 아들 학교폭력 가해 사건]]을 숨긴 채 인사검증 서류를 작성한 것이 허위공문서작성인지 문제되었다. 하지만 정순신은 인사검증서류에 "아니오"라고 기재했을 당시 공무원이 아닌 [[변호사]] 신분이었다. 조문에서 보듯이 사인은 이 죄를 범할 수 없다. 이에 불송치로 가닥을 잡았다는 보도가 있었다. [[https://www.naeil.com/news_view/?id_art=458671|#]] == 문서죄 다른 죄책과의 비교 == 참고로 허위사문서작성죄는 없고, 허위진단서만 처벌한다. 만약 허위사문서작성죄가 존재한다면, 개인과 개인간에 나눈 편지, 대학교 동아리 지원 원서에 거짓말을 썼다가는 처벌되는 세상이 온다. 현실적으로 형법이 그런 영역까지 개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허위사문서작성죄를 두지 않는 것이다. 반면, 의사의 진단서는 사문서이지만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권위를 부여받으므로 반진실의 기재를 처벌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