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허위안니아아과]] ||<-2><#F60> '''{{{#FFF {{{+1 허위안니아}}}[br]Heyuannia}}}''' || ||<#F93> '''학명''' || ''' ''Heyuannia'' '''[br]Lü, 2002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오비랍토르과^^Oviraptor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허위안니아아과^^Heyuann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허위안니아속^^''Heyuannia''^^'''||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허위안니아 후앙기^^{{{-1 [[모식종]]}}}^^[br]Lü, 2002 * †허위안니아 얀시니[br]Funston ''et al'', 2018||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후기]] 아시아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허위안시|허위안]]의 것'. == 상세 == 모식종의 몸길이는 1.5m에 20kg 정도로 추정되며, 두개골을 포함한 일부 골격이 수천 개의 알 화석과 함께 발굴되었다. 이빨이 없고 주둥이가 짧고 가파르며, 앞다리는 짧고 뭉툭한 편이었고 첫 번째 발가락이 퇴화한 상태였다. 허위안니아의 알껍질 화석에 남아 있는 담록소(biliverdin)와 프로토포르피린(protoporphyrin) 성분은 허위안니아의 알이 오늘날의 [[에뮤]]처럼 청록색이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Wiemann, J.; Yang, T.-R.; Sander, P.N.; Schneider, M.; Engeser, M.; Kath-Schorr, S.; Müller, C.E.; Sander, P.M. (2017). "Dinosaur origin of egg color: oviraptors laid blue-green eggs". PeerJ. 5: e3706. doi:10.7717/peerj.3706. PMC 5580385. PMID 28875070.] 얀시니종은 본래 인게니아(Ingenia)라는 별개의 속이었지만 이게 어느 [[선충]]에 이미 붙은 학명이었기에 2013년 아얀킨게니아(Ajancingenia)라는 속명이 다시 붙었다. 하지만 2018년, 이 학명에 윤리적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였고,[* 아얀킨게니아는 '인젠의 여행자'라는 뜻인데 앞발가락의 모양을 보고 [[히치하이킹]]을 위해 엄지 손가락을 내미는 것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이 속을 허위안니아속의 두 번째 종으로 다시 재명명하고, 논문에서도 이 학명이 인정받게 되었다.[* Lee, Sungjin; Lee, Yuong-Nam; Chinsamy, Anusuya; Lü, Junchang; Barsbold, Rinchen; Tsogtbaatar, Khishigjav (2019). "A new baby oviraptorid dinosaur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Nemegt Formation of Mongolia". PLOS ONE. 14 (2): e0210867. Bibcode:2019PLoSO..1410867L. doi:10.1371/journal.pone.0210867. PMC 6364893. PMID 30726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