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ff '''허청즈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우승 선수)]}}}}}}}}} || ---- ||<-2> '''{{{#000 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AL Molly 2022.png|width=100%]]}}} || ||<-2> '''{{{+1 Molly}}}'''[br]'''何诚智 (허청즈/하성지/He Chengzhi)''' || || '''출생''' ||[[2001년]] [[11월 10일]] ([age(2001-11-10)]세) || ||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중국]] || || '''아이디''' ||'''Molly''' [br] K3LLY [br] 请勿赌球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UPPORT || || '''주 영웅''' ||[[젠야타|[[파일:젠야타 초상화.png|width=30]]]] [[아나(오버워치)|[[파일:아나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LGE.Huya|[[파일:LGE_Logo_2018.png|width=23]] LGE.Huya]]'''[br]'''(2017.11.?? ~ 2020.01.14)''' [[청두 헌터즈|[[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width=20]] 청두 헌터즈]][br](2020.01.14 ~2020.11.25) '''[[상하이 드래곤즈|[[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width=20]] 상하이 드래곤즈]]'''[br]'''(2020.11.25 ~ 2022.01.20)''' [[광저우 차지|[[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width=20]] 광저우 차지]][br](2022.01.20 ~ 2022.06.06)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width=25]] LA 발리언트]][br](2022.06.17 ~ 2022.01.31) || || '''은퇴일''' ||[[2023년]] [[1월 31일]] || ||<-2> [[http://weibo.com/6210841478|[[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https://www.huya.com/17793011|[[파일:후야 아이콘.pn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前 [[광저우 차지]]의 서브 힐러. == 주요 경력 == ||<-5> '''{{{#fff 우승 경력}}}'''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1 우승[br]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2 우승''' || || [[The One Winner]] || → || '''LGE.Huya''' || → || [[Team CC]] || ||<-5> '''[[2021 오버워치 리그/6월 토너먼트|2021 오버워치 리그 6월 토너먼트]] 우승''' [br]'''[[2021 오버워치 리그/썸머 쇼다운|2021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우승 ''' || || [[댈러스 퓨얼]] || → || '''상하이 드래곤즈''' || → || [[LA 글래디에이터즈]] || ||<-5> '''[[2021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미정 || ||<-5> '''[[2021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1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댈러스 퓨얼]] || ||<-5> '''{{{#white 준우승 경력}}}''' || ||<-5> '''LanStory Cup 2018 - Guangzhou 준우승''' || || [[LGD Gaming]] || → || '''LinGan e-Sports''' || → || [[Flag Gaming]] || ||<-5> '''[[2021 오버워치 리그/5월 토너먼트|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댈러스 퓨얼]] || == 선수 경력 == === [[2020 오버워치 리그]] === 생존력이 나름대로 좋고 힐러 포지션이지만 킬을 잘 낸다는 평. 킬을 잘 올리며 생존력이 좋은 젠야타, 힐밴을 잘 던지는 아나의 평이 좋다. 특히나 이벨탈이 죽은 상황에서 홀로 팀을 케어하거나 딜러가 없을 때 본인이 킬을 내는 등 물이 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청두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파트너 이벨탈이 정말 못하는 루시우를 픽했을 때는 힘겨워하는것이 눈에 띈다. 그러나 이벨탈의 루시우 기량이 개선되고 렝사와 합을 맞추자 엄청난 파괴력을 갖추고 있다. 5월 토너먼트 뉴욕전에서도 쪼낙에 밀리지 않는 아나를 선보이는 등 불안한 청두를 캐리하고 있다. === [[2021 오버워치 리그]] === 2020 시즌이 끝난 뒤의 오프시즌에 충격적이게도 상하이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이미 한국인 중심의 튼튼한 로스터를 구축하고 있는 상하이였기에 중국인인 몰리의 영입은 꽤 의아하단 평. [* 심지어 상하이에는 현재 리그에서 최정점급 기량에 위치한 서브힐러인 이자야키가 있기 때문에 더더욱 의아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다만, 루피 선수가 팀을 나가게 되면서 2020시즌에 있었던 메타중에 2섭힐 메타가 존재했기 때문에, 이자야키 선수의 컨디션 조절과 함께 2섭힐 메타를 대비한거라고 한다면 설명이 가능해진다.]게다가 2020 시즌에 투웨이로 있던 디야 또한 상하이를 떠난 상황에서 팀 내 유일한 중국인으로서 어떻게 적응해나가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그러나 상하이 드래곤즈 문병철 감독의 Q&A에 따르면 한국어로 어느정도 수준의 브리핑이 가능하고 기존 한국인 팀원들과 큰 문제없이 소통하며 게임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보아 차근차근 한국인 팀원들 사이에서 적응해나가는 모양이다. 기존 청두에서도 훌륭한 실력을 보여주던 서브힐러였기 때문에, 상하이 코치진의 지도를 받으며 좋은 팀원들과 함께한다면 훌륭한 팀자원이 될 잠재력도 갖춘 선수다. 2021시즌 6월 토너먼트 2주차 경기에서 LA발리언트를 상대로 첫 출전했다. 상하이 소속으로 첫 리그경기 출전임에도 불구하고 무난한 경기력으로 POTM을 가져갔다. 13주차 상하이 드래곤즈의 홈스탠드 [[LA 발리언트]]전에 선발출전했으나 많은 킬을 따이며 좋지 않은 경기력이었다. 1세트가 끝나자마자 이자야키와 교체되었다. [[항저우 스파크]]전에서도 1세트에 출전해서 발리언트전과는 다르게 무난한 경기력을 보여줬다. 17주차 [[광저우 차지]]전에 교체투입됐다. 3세트 하나무라에서 완막을 당하며 안좋게 출발했지만 4세트 눔바니에서 괜찮은 아나 경기력으로 승리했다. === [[2022 오버워치 리그]] === 시즌 시작 전 [[광저우 차지]]로 이적하였다. 다만 시즌 시작 직전 영입된 [[차오자러|Farway1987]]에 밀려 한 경기도 출전하지 않다가 6월 6일 계약 종료되었다. 그러다가 [[LA 발리언트]]와의 영입 링크가 떴다. 보여주는 실력에 비해 출전 횟수가 많이 적지만[* 20시즌 청두에서는 Kyo, 21시즌 상하이에서는 IZaYaKI, 직전 팀 광저우에서는 Farway1987이 주전이었다.], 이번에 들어간 발리언트엔 백업 멤버가 없어서 시즌 종료 때까지 풀 주전으로 출전할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파트너 힐러인 Lengsa와는 20시즌 청두에서 같이 영입되어 활동한 적이 있다. 영입 후 첫 경기인 필라델피아 퓨전전에서 3:2로 리버스 스윕에 성공했는데, 이 때 Molly의 전 세트 젠야타 '''55킬 23702딜 33510힐'''이라는 경이로운 수치를 보여주었다. 상술했듯 실력에 비해 출전 횟수가 적었던 감이 있는 선수였는데, 발리언트에서 풀 주전이 보장되면서 더욱 좋은 기량을 보여줘 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22년 1월 31일 은퇴를 선언하였다. 은퇴사유는 광저우 내부 불화설 때문에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것 같다. == 여담 == * 2020시즌 15주차 경기에서 청두 팀 선수들이 퍼즈를 요청했음에도 옵저버 등 운영 측이 뒤늦게 반응하자 물음표 ? 채팅을 치며 어리둥절해하는 반응이 소소하게 웃음을 줬다(...) 이름 탓인지 캐리를 할 때마다 '홀리 몰리'라는 채팅이 도배된다. * 2021시즌 한국인 중심 로스터의 팀에 소속됨에 따라 한국어 레슨을 받아서 한국어를 나름 구사할 줄 안다고 한다. 반말과 욕을 많이 한다고 한다(...). * 리그에 입성한 후 매년 소속팀이 바뀌는데 청두, 상하이, 광저우 모두 중국팀이라 2023시즌에는 항저우로 가냐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22시즌엔 광저우에서 발리언트로 이적하면서 모두 중국팀은 아니게 되긴 했다.[* 다만 21시즌부터는 발리언트가 이름만 LA 발리언트지 사실상 중국팀으로 리빌딩이 되어서...] * 2022년 9월 11일, 방송으로 [[광저우 차지]] 내에서의 불화를 폭로하였다. 오프시즌 때 진작 영입해놓고 출전하지 못했던 이유가 이것으로 보인다.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