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험비)] [목차] == 개요 == [[험비]] 계열 차량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114_usmc 1.jpg|width=100%]]}}} || || '''미합중국 육군 소속 험비''' || 개발국. 도합 230,000대를 미 육군 및 미 해병대가 운용했고, 일부는 민간에 판매되어 법 집행 기관에서 사용한다. ==== 캐나다 ==== JTF-2(Joint Task Force 2) 및 CSOR(Special Operations Regiment)에서 M1113 및 M1117을 소수 운용한다. ==== 멕시코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을 통해 도입하여 3,000대를 운용 중이다. === 남아메리카 ===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군이 400대 이상 운용 중이다. ==== 파라과이 ==== 2016년 30대 이상 대만에 기부. ==== 페루 ==== 차량 34대(UN 평화유지군 소속으로 아이티에 배치된 M-1151A1 12대, 제19코만도대대가 운용하는 M-1165A1 특수작전대 22대). 향후 100대의 추가 차량을 구매할 가능성이 있다. ==== 칠레 ==== 칠레 육군에서 565대, 칠레 해병대에서 100대를 운용 중이다. ==== 볼리비아 ==== ==== 에콰도르 ==== ==== 온두라스 ==== 미국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을 통해 도입했다. ==== 콜롬비아 ==== 800대를 운용 중이다. ==== 도미니카 공화국 ==== 102대를 운용 중이다. == 유럽 == === 중부유럽 === ==== 폴란드 ==== ==== 체코 ==== 주로 601 특수부대에서 운용하고 있다.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군은 이라크에서 6대의 차량을 사용했다. === 동유럽 === ==== 우크라이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krainian_Humvee.jpg|width=100%]]}}} || ||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험비''' || 2001년 이후 M1097A2/M1114/M998/M1152/M1116/M1025/HMMWV 등의 파생형을 342대 운용하고 있다. 약 110대의 차량을 제95항공기동여단이 운용하고 있으며, 10대는 폴란드-우크라이나 평화군 대대(POLUKRBAT)에 기증되었다. [[돈바스 전쟁]] 시기부터 다수를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았다. 보도에 따르면 Debaltseve 전투 이후 반군이 '험비와 같은' 차량을 타고 돌아다니는 것이 목격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수백 대"의 차량이 우크라이나에 기증되기로 약속되었다. 2022년 10월에 200대 이상의 차량이 우크라이나로 보내졌다. 2023년에는 미국이 138대를 더 인도할 예정이었고, 2023년 3월에 2,000대 이상의 차량이 우크라이나로 보내졌다. ==== 몰도바 ==== 90대를 운용하고 있다. === 남유럽 === ==== 스페인 ==== 123대의 차량을 해군 보병대에서 운용 중이다. ==== 포르투갈 ==== 포르투갈 육군이 47대, 포르투갈 공군이 3대를 운용했다. ==== 루마니아 ==== M1113/M1114/M1165/M1151 등의 다양한 파생형을 322대 운용하고 있다. ==== 그리스 ==== M1114GR ~ M1119GR이라는 명칭으로 그리스 업체 ELVO에서 681대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276대를 운용 중이다. ==== 몬테네그로 ==== ==== 북마케도니아 ==== 10~90대를 운용하고 있다. Eurokompozit에서 개조하여 PK 7.62 x 54R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 알바니아 ==== 248대를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았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10년에 25대, 2017년에 44대, 2021년 30대를 공여받아 총 99대를 운용하고 있다. ==== 불가리아 ==== 52대를 운용하고 있다. 50대는 장갑이 강화된 M1114 변형이고 2대는 구급차다. ==== 세르비아 ==== 세르비아 육군에서 106대를 운용 중이며 42대를 추가 도입하고 있다. 세르비아 헌병대에서도 30대를 운용하고 있다.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군이 순찰 차량으로 사용한다. ==== 조지아 ==== ==== 코소보 ==== 200대 이상 운용하고 있다. ==== 크로아티아 ==== 112대를 운용하고 있다. === 북유럽 === ==== 노르웨이 ==== [[NASAMS]]을 위한 미사일 지원 플랫폼으로 사용 중이다. ==== 덴마크 ==== 30대를 운용했다. ==== 스웨덴 ==== 1989년 육군 평가를 위해 1대를 도입하여 시범 운용했다. ==== 리투아니아 ==== 200대를 운용 중이다. ==== 라트비아 ==== == 아시아 == === 동아시아 === ==== 대만 ==== 미국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을 통해 도입한 험비를 포함하여 9,000대 이상을 운용하고 있다. === 동남아시아 === ==== 태국 ==== 태국 왕립 육군에서 다양한 종류의 파생형[* M998, M1038A1, M1097A1, M1037, M1042, M1025, M1026A1, M966, M997, M997A2]를 운용하고 있다. ==== 필리핀 ==== 300대 이상 운용하고 있다. === 중앙아시아 === ==== 카자흐스탄 ==== ==== 타지키스탄 ==== 알 수 없는 수의 M1152A1 HMMWV "건 트럭"이 탈레반이 재설립된 후 타지크 국경 수비대가 도망친 아프가니스탄군 병사들로부터 획득했다. === 서아시아 === ==== 바레인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했다. ==== 아랍에미리트 ==== ==== 예멘 ==== M1123 및 M1151을 운용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 ==== 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은 2010년과 2011년에 경찰, 국군 및 기타 군대를 위해 3,334대를 주문했다. 2012년 11월까지 950대의 M1114 차량이 군대에 인도되었다. 다른 차량은 저항 전선에 합류한 살아남은 아프가니스탄 군대가 가져갔다. ==== 시리아 ==== ISIS로부터 노획. 시리아 국군 함자 사단이 운용했다. ==== 사우디아라비아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했다. ==== 오만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했다. ==== 이라크 ==== 이라크 전쟁 중에 비축된 미군 험비가 이라크 육군, 이라크 보안군에 공여되었다. 이라크군은 10,000대 이상의 험비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는 2014년에 ISIS에 의해 노획되었다가 노획 차량 대부분이 2017년 IS가 패배한 후 이라크군 등에 의해 탈환되었다. 나머지는 전투로 인해 손실되었다. ==== 쿠르디스탄 ==== 미국에서 1,500대 이상 지원받은 것을 포함하여 총 5,150대를 운용하고 있다. ==== 이스라엘 ==== ==== 사우디아라비아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했다. ==== 레바논 ==== 1,300대 이상 운용하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군대와 평화유지군이 100대 이상 운용하고 있다.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평화유지군이 10대를 운용하고 있다. == 아프리카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 알제리 ==== 알제리 특수부대 및 낙하산 특공대 연대에서 M1097A2, M1116, M1097A2 등의 파생형을 100대 이상 운용 중이다. ==== 모로코 ==== 모로코 왕립군에 4,000대 이상의 험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BGM-71 TOW ATGM이 탑재되어있다. ==== 튀니지 ==== 2015년 5월 미국에서 차량 52대를 공여받았으며, 일부는 미국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을 통해 구매했다. ==== 리비아 ==== 2013년 7월, 미국에서 200대를 공여받았다. ==== 수단 공화국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했다. === 동아프리카 === ==== 지부티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했다. 1990년대 FRUD 반란 동안 전투에 참여했다. ==== 탄자니아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했다. ==== 케냐 ==== 케냐 보안군이 운용 중이다. ==== 우간다 ==== === 서아프리카 === ==== 세네갈 ==== 2017년까지 미국이 기증한 23대의 차량을 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앙아프리카 === ==== 차드 ==== 미국의 대외군사판매 프로그램으로 도입하여 운용 중이다. == 오세아니아 == === 오스트랄라시아 === ==== 뉴질랜드 ==== 뉴질랜드 육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의 험비를 소수 대여하여 운용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험비, version=654)] [[분류: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