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Head-dominant mix, heady 진성 고음을 낼 때 쓰이는 창법 중 하나로 밸런스드(Balanced mix), [[체스티]]와 함께 진성고음(mix)의 3가지 기법 중 하나다. 체스티의 정반대의 케이스로, 두성의 비율이 흉성의 비율보다 높은 경우를 의미한다. == 원리 == 사람의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으로는 두 가지가 있는데 중 갑상피열근(Thyroartenoid muscle, 줄여서 TA 근육)과 윤상갑상근(Cricothyroid muscle, 줄여서 CA 근육)이 있다. 전자가 성대에 직접적인 텐션을 넣음으로써 성대의 두께를 컨트롤하여 저음과 흉성에 관여한다면, 후자는 수축하여 성대를 당김으로써 고음과 두성에 관여한다. 이 두 근육들의 사용량의 비율을 어떻게 조절하는냐에 따라서 진성 고음의 컬러가 달라진다. 그런데 여기서 헤디한 고음을 내면 CA 근육이 좀 더 우세하게 작용한다. == 특징 ==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헤디한 고음을 내는 사람들은 같은 음을 내더라도 체스티한 고음에 비해 좀 더 가벼운 느낌을 준다. 이는 CA 근육으로 인해 목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기 때문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목소리의 톤이 밝는 이유만으로 헤디라고 바로 단정지으면 안 된다. 목소리의 톤이 밝은 이유는 체스티/헤디보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위치가 높아서 그럴 수 있다. === 장점 === 헤디한 고음에 비해 목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으므로 같은 음을 내더라도 힘을 적게 들이고 더 쉽게 고음을 낼 수 있고 더 넓은 음역대를 가질 수 있다. 오랜 시간 고음을 내더라도 덜 지치기 때문에 피지컬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주로 락커들이 많이 애용하는 창법이다. === 단점 === 체스티에 비해 흉성을 덜 쓰기 때문에 같은 음을 내더라도 성량이나 공명감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지지음역 밖의 음을 낼 경우, 딕션이 불분명해지거나 혹 너무 시끄럽게 들릴 수 있다. === 헤디한 창법을 쓰는 사람 === * [[김민석(가수)|김민석]] * [[김소현(1975)|김소현]] * [[김윤아]] - 자우림 2집까지는 흉성으로 내질렀다. 이후 이 창법이 목에 무리가는 창법으로 판단 자우림 3집 이후로는 두성 위주의 창법으로 바꿨다. 이후 8집까지는 어느 정도 흉성을 섞어서 썼지만 9집부터는 두성 비중이 더 늘었다. * [[다나(가수)|다나]] * [[리즈(IVE)|리즈]] * [[바다(가수)|바다]] * [[박기영]] * [[박규리]] * [[서현]] * [[이지혜(가수)|이지혜]] * [[이혁]] * [[최강창민]] * [[하현우]] [[분류:음악]][[분류:창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