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헤르손주]][[분류:우크라이나의 영웅 도시]][[분류:러시아의 도시]][[분류:헤르손주(러시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도시를 주도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주, rd1=헤르손주, other2=이 도시를 명목상의 주도로 하는 러시아의 주, rd2=헤르손주(러시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도시를 흐르는 강과 그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투, rd1=드니프로강 공방전)] [include(틀:헤르손주의 행정구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3> {{{#abccff '''[[헤르손주|{{{#abccff 헤르손주}}}]]의 주도'''}}}[br]{{{#abccff {{{+1 '''헤르손'''}}}[br]{{{#abccff '''Херсон'''}}}}}} || ||<-2> [[파일:헤르손 시기.svg|width=55%]] || [[파일:헤르손 시장.svg|width=55%]] || ||<-2> '''시기''' || '''시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Херсон, 너비=100%, 높이=100%)]}}} || ||<-3> '''{{{#000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부터 2022년 11월 러시아군이 드네프르강 서안에서 철수할 때까지 [[헤르손주(러시아)|헤르손주]]의 주도로 기능했다. 현재에도 헤르손이 [[헤르손주(러시아)|헤르손주]]의 법적 주도이다.] || || '''행정구역''' ||[[우크라이나]] [[헤르손주]] 헤르손[br][[러시아]] [[헤르손주(러시아)|헤르손주]] 헤르손 || || '''시간대''' ||UTC+2[br]UTC+3 {{{-2 ([[서머타임]])}}} ||}}}}}}}}} || ||<-3> '''{{{#000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279,131명^^[[2022년|(2022년)]]^^ || || '''인구 밀도''' ||<-2>1,925명/㎢ || || '''면적''' ||<-2>145㎢ || || '''공용어''' ||<-2>[[우크라이나어]] ||}}}}}}}}} || ||<-3> '''{{{#000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시장''' ||<-2>공석[* 러시아군의 철수와 함께 헤르손을 떠난 러시아 측 시장인 알렉산드르 코베츠(Александр Кобец)와 러시아군에 의해 체포된 이후 행방이 묘연해진 우크라이나 측 시장인 이호르 콜리하예프(Ігор Колихаєв) 두 명 모두 시장 직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2022년 9월 21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 의해 기존 행정부가 해산되고 [[군정]]이 신설되었다. [[https://kyivindependent.com/zelensky-appoints-new-head-of-kherson/|#]]] || || '''군정장관'''[* 2022년 9월 21일 기존의 행정부가 해산되고 군정이 신설되었다. 군정장관은 기존 행정부의 시장 업무를 대행한다. [[https://kyivindependent.com/zelensky-appoints-new-head-of-kherson/|#]]] ||<-2>로만 므로치코[* Роман Мрочко] || }}}}}}}}} || || '''설립''' ||<-2> 1778년 || || '''홈페이지''' ||<-2> [[https://miskrada.kherson.ua/|[[파일:헤르손 시장.svg|width=25]] (신)]] [[http://www.city.kherson.ua/|[[파일:헤르손 시장.svg|width=25]] (구)]][br][[https://kherson.khogov.ru/|[[파일:헤르손 시장.svg|width=25]]]] {{{-2 (러시아)}}} || || '''SNS''' ||<-2> [[https://www.facebook.com/khersoncounci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city.kherson.u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t.me/citykhersonua|[[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XmwvQgOPxCIZJIRifIx6e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vk.com/kherson_adm|[[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width=25]]]] [[https://t.me/kherson_adm|[[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2 (러시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NdlhSDAuBqs)] [youtube(sobOoNr3ba0)] '''헤르손'''은 [[우크라이나]]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우크라이나]] [[헤르손주]]의 주도이다. [[러시아]]는 이곳을 자국령 [[헤르손주(러시아)|헤르손주]]의 주도로 선언하였으나 2022년 11월 10일 헤르손시에서 철수하면서 실효 지배를 포기했다. [[흑해]]와 [[드니프로 강]]의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수보로프|수보로우]]구, 드니프로구, 코라벨니구[* 2016년 이전에는 콤소몰구] 등 3개 구(Raion)로 구성되어 있다. == 특징 == [[크림 반도]]에서 90km 정도 떨어져 있다. 대략 [[서울특별시|서울]] ~ [[천안시|천안]] 거리 정도. 도시의 이름은 [[오데사]]나 [[세바스토폴]]을 비롯한 다른 [[우크라이나]]의 도시들처럼 [[예카테리나 2세]] 때 [[러시아 제국]]이 [[https://en.wikipedia.org/wiki/Greek_Plan|그리스 계획]]을 표방하여 [[제3의 로마]]라는 주장을 적극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동로마 제국]]의 영토이기도 했던 그리스 식민도시의 이름이나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이름을 붙였는데 '반도'를 의미하는 '헤르소니소스(Χερσόνησος, Херсонисос)'에서 '''헤르손'''을 따왔다.[* 사실 고대 헤르소니소스의 위치는 [[세바스토폴]]인데 헤르손은 전혀 다른 곳에 이름이 붙여졌다.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게 이미 수백년 전 까마득한 일이니 지명비정이 엉망이 된것이다. 그래도 [[크림 반도]]와 그리 멀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동떨어진 위치는 아니다.] 특산물로 [[수박]]이 있다. [[https://ru.wikipedia.org/wiki/%D0%A5%D0%B5%D1%80%D1%81%D0%BE%D0%BD%D1%81%D0%BA%D0%B8%D0%B9_%D0%B0%D1%80%D0%B1%D1%83%D0%B7|#]]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2014년에 크림 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되면서]] 갑자기 국경 인근의 도시가 되어버렸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헤르손 전투)]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전쟁 개시 [[2월 26일|사흘 만]]에 [[크림 반도]]에서 밀고 올라온 [[러시아군]]에 의해 도시의 일부분이 점령당했다. 또한 3월 1일 들어서는 도시가 완전히 포위되어 이대로는 우크라이나의 주도들 중 제일 먼저 러시아에 점령될 것으로 보인다. 3월 2일 점령되었다. [[https://www.bbc.com/news/live/world-europe-60582327?ns_mchannel=social&ns_source=twitter&ns_campaign=bbc_live&ns_linkname=621ed0e8ec502b53cd480567%26Southern%20city%20Kherson%20reportedly%20falls%20to%20Russia%262022-03-02T02%3A12%3A41.364Z&ns_fee=0&pinned_post_locator=urn:asset:7063d1de-b066-4c9a-ad8e-36b9d19f7367&pinned_post_asset_id=621ed0e8ec502b53cd480567&pinned_post_type=share|BBC]][* 사실 이 정도만 해도 상당히 오래 버틴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전초 군 전문가들은 헤르손보다 인구가 '''5배'''나 많은 [[하르키우]]가 하루 만에 함락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무리 우크라이나군이 과소평가되었을 지라도 '''포위당해 보급이 현저히 부족한 상태'''+'''장기전으로 인한 시민들과 군의 피로감'''+'''수적, 질적으로 압도적 우세인 러시아군의 화력 집중'''이라는 삼중고에서 6일이나 버텨낸 것이다.][* 헤르손이 버텨준 덕분에 러시아군은 요충지 마리우폴에 병력을 집중하지 못했고, 마리우폴 방어군은 러시아군의 공세를 그 뒤 20여일 더 버텨낼 수 있었다. 헤르손이 바로 무너졌다면 마리우폴도 조기 함락을 피할 수 없었고 그렇게 되면 우크라이나 동남부 전체가 러시아에 점령됐을 것이므로 방어군이 큰 공을 세운 셈이다.] 헤르손 전투가 끝난 뒤, 러시아군은 헤르손에 [[헤르손 군민정청]]을 설치했다. 3월 12일 헤르손 주의회의 세르히 흘란 부의장은 러시아군이 [[헤르손 인민공화국]]을 만들기 위한 준비에 착수 중이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047534|#]] 그러나 설립이 무산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059295|#]] 2022년 3월 20일 기준, 우크라이나가 이 도시를 탈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3월 26일 [[뉴욕 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확실하진 않으나) 러시아는 밤이 되면 헤르손의 통제권을 잃고 우크라이나군과 일진일퇴 중이라고 한다. [[https://www.nytimes.com/live/2022/03/25/world/ukraine-russia-war#russia-kherson|#]] 다만 우크라이나 현지 언론사는 이를 부정했다. 러시아는 4월 27일에 [[헤르손 인민공화국]] 건국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다 정작 당일이 되자 5월 1일로 연기했고, 5월 15일로 한 번 더 연기했다. 헤르손시에서 [[러시아 루블]] 사용이 강제됐지만, 주민들은 [[우크라이나 흐리우냐]]를 사용하는 등 저항을 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269922|#]] 러시아는 헤르손을 병합할 계획을 세웠다고 스푸트니크 통신이 보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162485|#]] 헤르손에서 시민 600명 가량이 러시아 측에 구금돼 고문당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234358|#]] 우크라이나의 헤르손 탈환 시도와 함께 6월 현재 점령지 통제력이 약화된 상태다. 러시아에게 도움을 준 부역자가 차량테러를 당해 사망한 게 대표적이다. [[부차 학살|부차처럼 학살이 이루어진 것]]으로 유력한 곳이며 실제 학살이 발견될 경우 전쟁 장기화로 흔들리는 우크라이나 지원 여론을 다시 불태울 수 있을 것이다. 2022년 6월 28일, 이호르 콜리하예프 헤르손시 민선 시장이 러시아군에게 체포당했다. 이후 올렉산드르 코베츠[* 냉전시기에는 [[KGB]]에서 일했고 이후에는[[우크라이나 보안국]] 소속이었다고 한다.]에게 시장 권력이 넘어갔다. 2022년 9월 기준, 헤르손주 외곽 지역부터 우크라이나가 영토를 회복 중이며 러시아군이 항복하고 있다는 미검증 소식도 들려오고 있다. 현재 러시아군은 [[드니프로 강]] 동쪽으로 이어주는 다리가 끊겨 보급이 사실상 막혀 고립된 상황이며 동부 지역에서 빠르게 우크라이나가 영토를 회복하며 진격하고 있어 포위될 위험도 생겼다. 단, 러시아군 병력이 많으므로 단기적으로는 탈환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추측된다. 2022년 9월 30일 [[주민투표]]를 통해 러시아에 병합되어 러시아의 도시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2022년 10월 22일경 전황이 악화되어 러시아는 모든 헤르손 주민들에게 즉각 대피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1007722|#]] '''결국 2022년 11월 10일, 러시아가 헤르손에서 철수를 결정했고 이튿날인 11일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을 탈환했다.''' 2022년 12월에 우크라이나군 국경수비대가 참호를 파던 중 고대 로마 시절의 유물을 발견했다. [[https://twitter.com/KyivPost/status/1605194850907062273?s=20&t=mtEqimN844lpq1_rnXBWYA|#]] 12월 25일, 헤르손시 시민들이 첩보, 군수 물자 운반 등 스파이 활동을 하며 우크라이나군의 헤르손시 탈환에 기여한 사실이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95276?sid=104|#]] 2023년 1월 12일, 헤르손시의 여성이 러시아의 점령기간에 고문당한 사실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40726?sid=104|#]] 2023년 6월 6일,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으로 코라벨니구 지역이 침수되었다. == 매체에서의 등장 == * 리메이크작인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에서 교수가 일을 마치고 떠난 도피처로 등장한다. 드니프로강과 흑해가 만나는 지점의 아름다운 항구도시로 소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