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외국어 단어 == * '''Hair''': [[영어]]로 [[머리카락]]을 지칭한다. * '''Heir''': 영어로 [[상속자]]를 뜻하는 단어. 발음이 헤어가 아니라 에어(/eə(r)/)이므로 이 문서에 포함되면 안 되지만, 철자만 보고 헤어로 오독하는 이들이 많아 주의하자는 의미로 포함하였다. * '''Hare''': 영어로 [[산토끼]]를 뜻하는 단어. * '''Herr[hɛr]''': 영어의 [[미스터]]에 해당하는 [[독일어]] 단어이다. [[한국어]]로는 ~[[씨]]. 또한 [[신사]], ~[[님]]이라는 의미도 지닌다.[* 일례로 Meine Damen und Herren(Herr의 복수형)이라고 하면 신사 숙녀 여러분 이라는 뜻이다.] 영어에서도 이 Herr를 그대로 따와서 독일 남성을 지칭할 때 쓰기도 한다. 이외에도 영어의 Lord에 대응되기도 하는데, 역사적으로 쓰면 [[주군]], 종교적으로 쓰이면 [[하느님]]이라는 뜻을 갖는다. * '''Heer[heːɐ]''': 독일어로 [[육군]] 혹은 무리라는 뜻을 지닌다. 한국어 표기로만 보면 위의 Herr와 발음이 같아 보이지만 Herr의 e는 짧게([ɛ]), Heer의 ee는 '이'에 가까운 '에([eː])'를 길게 발음한다. [[독일 육군]]을 가리키는 단어로도 쓰이는데 현대의 독일 연방군의 육군과 나치 독일 시절 [[독일 육군(나치 독일)|독일 국방군의 육군]] 모두 해당된다.[* 비슷한 예시로 [[독일 공군]]([[독일 공군(나치 독일)|나치 독일 공군]] 포함)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이지만 사실 독일어에서 '공군'을 뜻하는 보통명사인 [[루프트바페]]가 있다.] * '''her[heːɐ]''': '이쪽으로'를 뜻하는 독일어 부사. 위 Heer와 발음이 같다. Herkunft(유래), herkommen(이쪽으로 오다, 유래하다), heraus(밖으로), herein(안으로) 같은 단어에서 쓰인다. == [[뮤지컬]] ==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0-08DF4240000005DC-479_468x631.jpg|width=280]] [[1960년대]]의 [[히피]] 운동과 성혁명을 주제로 한 제임스 라도 원작의 락 뮤지컬로 [[1968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되었다. 히피 집단 '트라이브'의 구성원들이 주인공이다. 많은 곡들이 [[베트남 전쟁]]을 반대하는 평화시위를 주제로 하고 있다. [[마약]] 합법화 주장, 성해방, 국기 모독, 전라 장면 등 당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뮤지컬로, 1960년대 히피 운동의 동시대적인 정신을 담고 있다. 락 음악과 뮤지컬을 접목시켜 성공한 최초의 사례로도 잘 알려져 있다. === 넘버 === * 1막 1. Aquarius 2. Donna 3. Hashish 4. Sodomy 5. I'm Black/Colored Spade 6. Manchester England 7. Ain't Got No 8. I Believe in Love 9. Air 10. Initials 11. I Got Life 12. Going Down 13. Hair[* 참고로 이 노래는 영화 [[미니언즈]]의 뚜찌빠찌송(?)의 원곡이다.] 14. My Conviction 15. East to Be Hard 16. Don't Put It Down 17. Frank Mills 18. Be-In (Hare Krishna) 19. Where Do I Go? * 2막 1. Electric Blues 2. Black Boys 3. White Boys 4. Walking in Space 5. Yes, I's Finished/Abie Baby 6. Three-Five-Zero-Zero 7. What a Piece of Work Is Man 8. Good Morning Starshine 9. The Bed 10. Aquarius (Reprise) 11. Manchester England (Reprise) 12. Eyes Look Your Last 13. The Flesh Failures (Let the Sunshine In) == 2를 원작으로 한 영화 == [include(틀:밀로스 포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파일:external/547aa8d3a2cc960b175585c505701780eddfcf841be39c0130766716170e66bf.jpg|width=280]] [youtube(VN5zup3b7fw)]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013&cid=42621&categoryId=44447|헤어: 네이버 지식백과]] 1979년에 개봉한 영화. [[밀로스 포먼]]이 연출을 맡았다. 존 세비지, [[트리트 윌리엄스]], 비버리 단젤로, 애니 골든, 도시 라이트 등이 출연했다. 몇 가지 곡이 누락되었고, 원작과는 줄거리 차이가 있다.[* 한국 dvd 자막은 거의 재앙 수준에 가깝다(...) 노래의 주제의식까지 바꿔버리는 발번역을 볼 수 있다. 가사는 영어로 보는 것을 추천.] === 줄거리 === [[오클라호마]] 시골 출신인 클로드 부코우스키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군입대를 앞두고 [[뉴욕]]으로 향한다. 클로드는 그 곳에서 조지 버거가 이끄는 히피 무리와 만나 우연찮게 친구가 된다. 입대하기 전까지 짧은 시간을 히피들과 함께 보내게 된 클로드는, 그들의 자유로움을 낮설어하면서도 점점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뜬다. 클로드는 우연히 만난 부잣집 아가씨 쉴라 프랭클린과도 사랑에 빠지지만, 결국 군입대를 하게 된다. [include(틀:스포일러)] 편지를 받고 클로드가 어느 부대에 있는지 알게 된 버거 일행은 그를 만나러 가지만, 당연히 부대에 들어갈 수 없었다. 꾀를 써서 장교의 군복을 훔친 버거는 [[히피]]의 상징이던 긴 머리를 자르고 장교로 변장해 부대로 들어가는 데 성공한다. 버거는 클로드에게 자신이 잠시 대신 있어 줄 테니 옷을 바꿔 입고 나가서 쉴라와 친구들을 만나라고 말한다. 클로드가 밖에서 친구들을 만나는 사이, 갑작스레 클로드의 부대가 [[베트남]]으로 전출되고, 버거는 클로드 대신 전쟁터로 끌려가 죽는다. === 원작과의 차이점 === 여러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주인공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진다. 주인공 클로드 부코우스키는 원작 [[뮤지컬]]에서는 히피 집단 '트라이브'의 리더이지만, 영화에서는 [[오클라호마]] 출신 촌놈으로 등장한다. 주인공을 관찰자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후대의 관객들은 이질적인 [[히피]] 문화에 대한 보다 수월한 이입이 가능하다. 또한 원작 뮤지컬은 히피 리더이면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해 사망하는 클로드의 내면 갈등에 초점이 맞춰진 반면, 영화에서는 버거가 클로드를 대신해 잘못 참전하는 바람에 사망한다. 이러한 플롯의 변화는 어딘지 유머러스하면서도, 무고한 젊은이들을 잘못된 전쟁으로 내몰아 죽이는 베트남 전쟁의 비극을 더욱 강조한다. 상징, 유머, 주제의식을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낸 [[밀로스 포먼]]의 역량이 잘 발현된 영화이다. == [[Ty Segall]]의 음반 == [[타이 시걸]] 항목 참조. [[분류:뮤지컬]][[분류:1968년 극작품]][[분류:1979년 영화]][[분류:뮤지컬 원작 영화]][[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