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동고트 국왕)] ||<-3><#383B40> '''{{{#FFF 동고트 왕국 7대 군주}}}''' [br] {{{+2 {{{#FFF '''Heldebadus | 헬데바두스'''}}}}}} || ||<|2><#383B40> '''{{{#FFF 제호}}}''' ||<#383B40> '''[[한국어|{{{#FFF 한국어}}}]]''' ||헬데바두스 || ||<#383B40> '''[[라틴어|{{{#FFF 라틴어}}}]]''' ||Heldebadus || ||<-2><#383B40> '''{{{#FFF 생몰 년도}}}''' ||미상 ~ 541년 || ||<|4><-2><#383B40> '''{{{#FFF 재위 기간}}}''' ||540년 ~ 54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고트 왕국]]의 7대 국왕. [[서로마 고토 수복 전쟁]] 시기 수도 라벤나가 함락당하고 [[비티게스]] 왕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끌려가자 새 왕으로 즉위하였다. 이후 포강 이북의 영역을 확보하여 반격의 실마리를 만들었지만 1년만에 살해당했다. == 생애 == 스페인 [[서고트 왕국]]의 국왕 테오도리쿠스 1세의 조카로, 일디바드(Ildibad)로도 불린다. 540년 동고트 왕국의 국왕 [[비티게스]]가 잡히고 라벤나가 함락되었을 때, 힐데바두스는 베로나를 다스렸다. 당시 그의 자식 2명이 라벤나에 억류되어 있었기에, 그는 [[벨리사리우스]]와 항복 협상을 벌였다. 한편 동고트 귀족들은 [[동로마 제국]]에 계속 맞서기로 결의하고, 비티게스의 조카이자 파비아 수비대장인 우라이아스를 새 국왕으로 추대하려 했다. 그러나 우라이아스는 이를 거절하고 헬데바두스를 새 왕으로 추대했다. 그렇게 왕이 된 헬데바두스는 수도를 파비아로 옮긴 뒤 협상을 이어갔다. 그러나 벨리사리우스가 비티게스 일가족과 일디바드의 두 아들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데려가자, 그는 협상을 중단하고 전쟁을 재개했다. 당시 동고트 왕국의 영토는 파비아와 베로나에 국한되었고, 군대는 수천 명 밖에 안 되었다. 하지만 벨리사리우스가 떠난 뒤 남아있는 장군들이 서로 협력하길 꺼렸고, 역병의 창궐로 정부의 재정이 악화되면서 군인들의 급료가 밀리자 이탈리아의 동로마군이 토착민에 대한 약탈을 자행하면서 민심마저 떠나버렸다. 그는 이 틈을 타 왕국 재건에 착수했다. 541년, 헬데바두스는 트레비소 외곽에서 비탈리우스의 동로마군과 헤룰리 족 연합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비탈리우스는 가까스로 탈출했고, 헤룰리 족은 지도자를 잃고 패주했다. 헬데바두스는 조카 [[토틸라]]를 트레비소의 군사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 후 동고트 왕국은 포 강 이북의 영토 대부분을 회복하여, 본격적인 반격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힐데바두스는 일찍이 왕으로 추대된 적이 있었고 포강 이북 평정에 큰 기여를 한 우라이아스를 경계하다가 우라리아스의 부인이 왕비와 다퉜다는 이유로 죽여버렸다. 이에 군대는 반감을 품었고, 541년 5월 게피드 족 출신의 경호원 벨라스에게 암살당했다. [[분류:동고트 국왕]][[분류:이탈리아 국왕]][[분류:54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