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현'''([[縣]])은 고대부터 있던 [[행정구역]] 명칭이다. 옛 지방행정 단위로 중국에서 기원했으며, 현재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에서 행정단위로 사용하며, [[한자 문화권]] 국가들 중에서 이러한 행정 구역이 필요가 없는 [[도시 국가]]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한국]]([[남한]]과 [[북한]] 둘 다)만 사용하지 않는다. == 각국 변천 및 현황 == === [[중화권]] === ==== 전근대 ==== 전근대 중국에서 지방 구획 중 아주 오래된 것이다. [[縣]]자는 원래 目 + 木 + 糸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사람의 잘린 머리를 실로 묶어 본보기로 나무에 매달아 놓는 형벌인 [[효수]]'''를 형상화했다. 훗날 주나라에서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천자]]에게 매여 있다'는 뜻에서 해당 글자가 지방 구획을 가리키는 글자가 되었고, 원래 縣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한자인 [[懸]]이 추가되었다. 춘추시대까지 군(郡)보다 컸으나 전국시대부터 군보다 작아졌다. [[진(통일왕조)|진]](秦)나라부터 주부군현(州府郡縣)이라 하여 상하 관계가 뚜렷해져, 현은 언제나 지방행정구역 가운데 최하단위가 되었다. [[전한]]시대부터 현에 여러 등급이 생겼다. [[전한|한]](漢)나라는 1만 호를 기준으로 그 이상인 현에 영(令)을, 그 이하에 장(長)을 두었으며, [[당(통일왕조)|당나라]]와 [[북송|송나라]]는 7등급으로 구분하여 모두 영을 두었다. [[몽골제국]]은 현을 상·중·하 3등급으로 나누어 모두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설치하였다. [[명나라]]는 3등급으로 구분하여 모두 지현(知縣)을 두었고, [[청나라]]도 아무런 구별 없이 지현을 두었다. ==== [[중화인민공화국]] ====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현은 지급 행정구역 가운데 맹(盟)을 제외한 지구(地区), [[지급시]](地级市), [[부성급시]](副省級市), 자치주(自治州)와 성급 행정구역인 직할시(直轄市)-규모가 성에서 분리독립한 지급시(몇 개)에 가깝다.-에 속한 행정구역이며, 이 가운데 소수민족이 모여사는 자치현도 있다. 지급 행정구역 산하 현이 도시화가 되(었다고 중앙정부가 판단하)면 [[시(행정구역)/중국|현급시(縣級市)]]가 되며 [[직할시]] 산하 현은 시할구(市轄區)가 된다. 영어명은 County를 쓴다. ==== [[중화민국]]([[대만]]) ==== [[중화민국|중화민국 대륙시기]] 중 [[북양정부]] 때에 [[도(행정구역)|도]]와 성급인 [[시캉성|천변(川邊)]]·[[러허성|열하]]·[[대만/영유권 주장 지역#차하르성|차하르]]·[[대만/영유권 주장 지역#수원성|수원(綏遠)]][[특별행정구#s-2.1]], [[베이징시|경조지방(京兆地方)]], [[칭하이성|청해지방(青海地方)]]과 [[일리 카자흐 자치주|알타이지구(地區), 일리지구(地區), 타르바가타이지구(地區)]]에 속했고 [[국민정부]] 때에 [[지급시|행정독찰구(行政督察區)]]와 [[해남특별행정구]]에 속했으며 지금 [[대만]]에서 [[성(행정구역)|성]]에 직속한 행정구역이다.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문서를 보면 [[동북9성#s-2|동북9성(東北九省)]]과 [[대만성]], [[해남특별행정구]]를 뺀 대부분 성이 관할하는 현이 최소 60개는 되며 100개가 넘는 곳도 흔하다. 그리고 성 대부분이 웬만한 나라 크기인, 그야말로 [[대륙의 기상]]인데 현은 한국의 [[도농복합시]], 군 정도 크기여서 한국으로 대입하면 도급 행정구역 없이 시와 군만 관할하는 셈이다. 때문에 행정상 과부하가 걸려 [[1914년]]에 중간단위인 [[부(행정구역)]]를 폐지하지 못하고 [[도(행정구역)]]으로 개편할 수밖에 없었고, [[출장소]] 관할구역 격인 행정독찰구를 두게 되었다. [[대만/행정구역|현행 대만 행정구역]]은 성 바로 아래가 현이지만 [[중국/행정구역|대륙 행정구역]]은 [[하이난성]]과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명목 행정구역인 타이완성]]을 제외한 모든 성에 성과 현 사이에 한 단계(지급)가 더 있어 성 바로 아래가 현이 아니다. [[하이난성]]과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명목 행정구역인 타이완성]]에 지급 행정구역이 있지만 지급 행정구역이 현급 행정구역을 관할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8년 이후 성이 실제 기능을 하지 않게 되어 사실상 최상급 행정구역이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헌을 하지 않아 [[중화민국 헌법]]에 규정된 성이 명목 행정구역으로 남아있다. 영어명은 County를 쓴다. === [[일본]] === [include(틀:일본의 행정구역)] [[일본]]에서 원래 쓰이지 않던 행정단위를 [[메이지 유신]] 당시에 도입되었다. 최초에 41개가 있었지만 [[무진전쟁]] 이후 [[폐번치현]]으로 302개로 늘었고 이후 몇번 통폐합되어 현재 43개로 줄어들었다. 일본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미국]] 행정구역 가운데 [[주(행정구역)|주]]와, 중국 [[중국/행정구역|행정구역]] 가운데 [[성(행정구역)|성]]과 [[자치구]]와, [[대한민국]] [[대한민국/행정구역|행정구역]] 가운데 [[도(행정구역)|도]]와 같은 최상위 행정구역이다. 총 43개가 존재한다. 현 목록은 [[도도부현]] 문서에 있다. 영어로 Prefecture(프리펙쳐)를 쓴다. 일본어로 けん(ken-켄)으로 읽는다. === [[베트남]] === [[베트남어]]로 huyện(후옌)이라고 쓰며, 영어로 District로 번역한다. 성(tỉnh, 틴) 아래 농촌 지역에 설치되는 기초 행정구역이란 점이 [[군(행정구역)/대한민국|한국 군]]과 같다. === [[한반도]] === [[후기 신라]]와 [[발해]] 때부터 [[조선]] 말기까지 있었던 가장 작은 규모인 행정구역이었다. 신라와 [[발해]] 모두 전국에서 인구가 많고 큰 고을을 각각 [[군(행정구역)]]과 [[주(행정구역)|주]]로 정하고 주, 군 하나에 주변 작은 현 0~4개(신라) 또는 1~6개 정도를 거느리는 형태였다. [[후기 신라]]는 모든 지방 행정단위에 지방관이 파견되었으나, [[나말여초]] 혼란기를 거쳐 [[고려/호족|지방 호족세력]]의 위상이 강화된 [[고려]]는 지방관이 있는 주현과 지방관 없이 주현 지방관의 통제를 받는 속현으로 나뉘었으며, 고려후기부터 새로 지방관을 파견하고 소규모 속현을 아예 통폐합하기 시작하여 조선초기부터 모든 현에 지방관을 파견했다. [[1895년]]([[고종(대한제국)|고종]] 32) 때 [[23부제]] 시행 및 관제개혁과 동시에 전국 모든 부,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이 '군'으로 통일되어 폐지되었으며 '부'는 새로 만들어진 광역 행정구역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때부터 쓰이지 않는다. [[1895년]]에 [[23부제]]가 시행되기 전까지 기초 행정구역으로 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이 있었는데 현이 수령 품계가 가장 낮았다. 지방관은 종6품인 현감(縣監)이었으며, 이 가운데 큰 현 또는 왕비를 배출하거나 왕자의 탯줄을 묻을 곳으로 선정된 현에 종5품인 현령(縣令)이 파견되었다. 인구와 전결(田結)을 따라 현령과 현감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기준이 알려져 있지 않다. 현의 인구가 많아지면 군으로 승격해주는 조항도 있었다[* 1995년 이후 특정 군의 읍이 인구 5만을 달성할 경우 읍을 분리독립시키는 게 아니라 군 전체를 시로 올리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그 이전에는 읍이 인구 5만을 달성하면 그 읍이 군에서 분리독립되었는데, 이는 군보다 읍면이 더 중요한 일본식인 [[시정촌]]제의 잔재였다.] 현의 면적규모를 현재 기준으로 따져 보면 좁은 현은 면 서너 개 정도, 넓은 현은 군 하나 정도에 해당한다. ==== 기록된 역대 현 목록 ==== 비정지, 구한말 기준이다. 승강년도가 없는 경우는 [[23부제]] 시행과 동시다. ===== 경기도 ===== * 가평(加平): 현 [[가평군]] * [[강화군|강화()]]: 년에 승격, 현 [[강화군]] ( * [[고양군|고양()]]: 1477년에 군으로 승격, 1510년에 현으로 격하, 1510년에 군으로 재승격, 현 [[고양시]]([[덕양구]] 신평동, 북한동 제외) 및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남부, [[마포구]] 상암동 일대 * 고봉(): 1413년에 덕양현 등과 고양현으로 통폐합, 현 [[고양시]] [[일산]] 일대 * 곡양(): 현 시흥 * [[과천군|과주()]]: * [[과천군|과천(果川)]]: 현 [[과천시]], [[안양시]]·[[군포시]] 대부분,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부분, [[동작구]] 동부, [[관악구]] [[남현동(관악구)|남현동]] 일대 * [[교동군|교동(喬桐)]]: 16 년에 로 승격, 현 [[강화군]] [[교동도|교동면]], 서도면, 삼산면 리 * [[교하군|교하(交河)]]: 현 [[파주시]] 금촌 시내, 교하([[운정신도시|운정]]) 등 * [[시흥군|금천(衿川)]]: 1795년에 시흥(始興)으로 개칭, 현 [[서울특별시]] [[금천구]] 및 [[영등포구]] 대부분, [[구로구]] 동부, [[동작구]] 서남부, [[관악구]] 대부분, [[광명시]]([[옥길동(광명시)|옥길동]] 제외), [[안양시]] 박달동, 석수동 일대며 지금 '''시흥시와 관련 없는 구역이다'''. * 덕양(): 현 [[고양시]] [[덕양구]] 일부 * 마련(): * [[마전군|마전()]]: 1477년에 군으로 승격, 현 [[연천군]] [[왕징면(연천군)|왕징면]], [[미산면(연천군)|미산면]], [[백학면]] 일대 * 미원(): 16 년에 [[양근군]]에 편입, 현 [[가평군]] [[설악면]] * 분진() * 사천(): 년에 양주목에 편입, 현 [[동두천시]], [[양주시]] 은현면 일대 * 수안() * [[시흥군|시흥(始興)]]: 현 [[서울특별시]] [[금천구]] 및 [[영등포구]] 대부분, [[구로구]] 동부, [[동작구]] 서남부, [[관악구]] 대부분, [[광명시]]([[옥길동(광명시)|옥길동]] 제외), [[안양시]] 박달동, 석수동 일대며 지금 '''시흥시와 관련 없는 구역이다'''. * [[안산군|안산()]]: 1308년에 군으로 승격(실상 재승격), 년에 현으로 격하, 년에 군으로 재승격, 현 [[안산시]] 단원구 * [[양근군|양근()]]: 현 [[양평군]] 서부, [[가평군]] * [[양성#s-6|양성(陽城)]]: 현 [[안성시]] 서부, [[평택시]] [[포승읍]] 일부 * 양지(陽智): 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등 * [[양천군|양천(陽川)]]: 현 [[서울특별시]] [[양천구]],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일대, [[구로구]] 개봉동 천기리 마을 및 [[영ㅇ등포구]] 양평동 일부도 포함 * [[연천군|연천(漣川)]]: 현 [[연천군]] 연천읍, 군남면, 중면 일대 * [[영평군|영평(永平)]]: 1836년에 군으로 승격, 현 [[포천시]] 영중면, [[일동면(포천시)|일동면]], [[이동면(포천시)|이동면]], [[창수면]], 영북면 * 용성() * [[용인군|용인(龍仁)]]: 현 [[용인시]] 구 * [[음죽군|음죽(陰竹)]]: 현 [[이천시]] 장호원읍, 율면, 설성면 일대 * 일신(): 현 [[평택시]] [[평택시청| 평택시청 본청]] 관할 동지역 * [[적성군|적성(積城)]]: 현 [[파주시]] [[적성면(파주시)|적성면]], [[양주시]] [[남면(양주시)|남면]], [[연천군]] [[백학면]] 남부 * [[죽산군|죽산(竹山)]]: 1 년에 으로 승격, 현 [[안성시]] 일죽면, [[죽산면(안성)|죽산면]], 삼죽면 및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일대 * [[지평군|지평(砥平)]]: 현 [[양평군]] 동부 * 진위(振威) : 현 [[평택시]] 대부분 * 천녕(川寧): 1469년에 여주목에 편입, 현 [[여주시]] 일부 * [[통진군|통진(通津)]]: 현 [[김포시]] 북부 * 포천(抱川) : 현 [[포천시]] * 풍양(豊壤): 1427년 양주목에 편입, 현 [[남양주시]] 진접읍 및 그 부근 일부 ===== 충청도 ===== * 결성(結城) : 현 [[홍성군]] 일부 * 경양(): 1906년에 평택군으로 이관되고 1914년에 평택군이 경기도 진위군에 통폐합되어 현 [[평택시]] [[팽성읍]] 도두리, 대추리, 계양리 일대 * 남포(藍浦) : 현 [[보령시]] 일부 * 노성(魯城) : 현 [[논산시]] 일부 * 당진(唐津) : [[당진시]] * [[대흥군|대흥(大興)]]: 현 [[예산군]] 일부 * [[덕산군|덕산(德山)]]: 1847년에 군으로 승격, 현 [[예산군]] 덕산면 등 * 목천(木川) : 현 [[천안시]] 일부 * 문의(文義) : 현 [[청주시]] 일부 * 보령(保寧) : [[보령시]] * [[보은군|보은]](報恩): 1810년 군으로 승격 * 부여(扶餘) : [[부여군]] * 비인(庇仁) : 현 [[서천군]] 일부 * 석성(石城): 현 [[부여군]] 석성면 및 [[논산시]] 성동면 * 신창(新昌): 현 [[아산시]] 서부 * [[아산군|아산(牙山)]]: 현 [[아산시]] 배방읍, 둔포면 전부 및 둔포면 일부 * [[연기군|연기(燕岐)]]: 2012년 이전 [[연기군]] 조치원읍, 동면, 서면, 남면, 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연기면, 연동면, 연서면, 한솔동 등 * 연산(連山) : 현 [[논산시]] 일부, [[계룡시]] * 연풍(延豊) : 현 [[괴산군]] 일부 * 영동(永同) : [[영동군]] * 영춘(永春) : 현 [[단양군]] 일부 * 예산(禮山) : [[예산군]] * 은진(恩津) : 현 [[논산시]] 상당 부분 * 음성(陰城) : [[음성군]] * 전의(全義) : 구 [[연기군]] 일부 * 정산(定山) : 현 [[청양군]] 일부 * 제천(堤川) : [[제천시]] * 직산(稷山) : 현 [[천안시]] 일부 * 진잠(鎭岑) : 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진잠동]] * 진천(鎭川) : [[진천군]] * 청산(靑山) : 현 [[옥천군]] 일부 * 청안(淸安) : 현 [[증평군]] 전역, [[괴산군]] 일부 * 청양(靑陽) : [[청양군]] * 평택(平澤) : 현 [[평택시]] 팽성읍 * 합덕(): 현 [[당진시]] [[합덕읍]] * [[해미군|해미(海美)]]: 현 [[서산시]] 동부 및 [[당진시]] 정미면, 대호지면 * 홍산(鴻山) : 현 [[부여군]] 일부 * 황간(黃澗) : 현 [[영동군]] 일부 * 회덕(懷德) : 현 [[대전광역시]] 대부분. [[대덕구]] 곳곳에 해당 지명의 흔적이 남아있다. * 회인(懷仁) : 현 [[보은군]] 일부 ===== 전라도 ===== * [[강진군|강진(康津)]]: [[강진군]] * 구례(求禮) : [[구례군]] * 광양(光陽) : [[광양시]] * 남평(南平) : [[나주시]] 동부 * [[돌산군|돌산(突山)]]: [[여수시]] 여수반도 화양면(추정)과 도서지역(현 삼산면 제외)으로 1414년에 폐현되어 여수현 폐지 17년만에 순천도호부에 편입되었다.[* 1896년에 설군(단 화양면은 제외.)되었으나 이후 18년만인 1914년에 여수군(현 여수시)로 재병합되어 여수시의 도서지역으로 남아 있다.] * 능성(): 현 [[화순군]] 면, 16 년에 [[인조]]가 자기 어머니 [[인헌왕후]] [[능성 구씨]]의 [[고향]]([[본관]])이라면서 '''군을 생략하고 바로 목으로 승격하는''' 특례를 주어 등급이 뻥튀기되었다. * 동복(同福) : [[화순군]] 동복면, 남면, 북면, 이서면 * 무안(務安) : [[목포시]], [[무안군]][* 현 무안군의 일부 지역들은 영광, 함평, 나주 등에서 사이좋게 월경지까지 만들어가면서 땅따먹기를 하고 있었다.] * [[여수군|여수(麗水)]]: [[여수시]] 여수반도 대부분으로 1397년 오흔인 현령이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거절했다는 이유로 폐현되어 순천도호부에 편입되었다. [* 그후 17세기말부터 삼복삼파를 거쳐 1897년 용두면을 잃은체 여수군 설군.부활되어 지금 도농복합 여수시로 현존중.] * 옥과(玉果): [[곡성군]] 서부 * 장성(長城) : [[장성군]] * [[창평군|창평(昌平)]]: 현 [[담양군]] 남부 * 함평(咸平) : [[함평군]] * 해남(海南) : [[해남군]] * 화순(和順) : [[화순군]] 화순읍, 동면 * 흥양(興陽) : [[고흥군]] ====== 제주도 ====== * 금녕(): 금녕리 일대 * [[대정군|대정(大靜)]]: [[서귀포시]] 서부[* 정의현, 대정현은 일단 제주목과 통합하여 제주군이 되었다가 1946년에 두 곳을 다시 떼어 남제주군이 되었다. 이후 서귀포 부분이 서귀포시로 분리승격했고, [[제주특별자치도]] 발족과 동시에 남제주군과 서귀포시가 통합하여 통합 서귀포시가 된다.] * 동도() * 서도() * 애월(): [[애월면]] 애월리 일대 * [[정의군|정의(旌義)]]: [[서귀포시]] 동부 ===== 경상도 ===== * 개령(開寧) : 현 [[김천시]] 북부 * 거제(巨濟) : [[거제시]] * 경산(慶山) : [[경산시]]. 여기에 수성구 고산까지 관할했었다. * 고령(高靈) : [[고령군]] * 고성(固城) :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 구산(): 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일대 * 군위(軍威) : [[군위군]] * 기장(機張) : [[기장군]] * 남해(南海) : [[남해군]] * 단성(丹城) : 현 [[산청군]] 일부 * 동진(東津): 757년에 율포현(栗浦縣)에서 개칭, 940년에 흥례부로 통폐합, 현 [[북구(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 북구]] [[강동동(울산)|강동동]]([[행정동]]) 일대 * 동평(東平): 현 [[부산광역시]] 원부산권 * 봉화(奉化) : [[봉화군]]. 봉화읍은 안동 소속. * 비안(比安) : 현 [[의성군]] 서부 * 비옥(肥沃): 1421년에 안비현()으로 통폐합, 1423년에 비안현으로 개칭, 현 [[의성군]] * 사천(泗川) : [[사천시]] * [[산청군|산음()]]: 현 [[산청군 일부 * [[산청군|산청(山淸)]]: 현 산청군 일부 * 삼가(三嘉) : 현 [[합천군]] 남부 * 신녕(新寧) : 현 [[영천시]] 일부 * 안음(): 현 * 안의(安義) : 현 [[함양군]] 일부 * [[언양군|언양(彦陽)]]: 현 [[울주군]] [[언양읍]], [[삼남]], [[삼동면(울주)|삼동면]], [[상북면(울주)|상북면]] 일대읍 * 연일(延日): 현 [[포항시]] 중남부. 남구 시내가 여기 소속이었다. * [[영덕군|영덕(盈德)]]: 현 [[영덕군]] 남부 * 영산(靈山) : 현 [[창녕군]] 남부 * 영양(英陽) : [[영양군]] * 예안(禮安) : 현 [[안동시]] 동부 * 용궁(龍宮) : 현 [[예천군]] 일부 * 웅신(): 14 년에 웅천현으로 통폐합 * [[웅천군|웅천(熊川)]]: 1510년에 도호부로 승격, 1512년에 격하, 현 [[창원시]] [[진해구]], [[성산구]] 웅남동([[행정동]]) 및 [[강서구(부산광역시)|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 의령(宜寧) : [[의령군]] * 의성(義城) : 의성군 * 의흥(義興) : 현 군위군 동부 * 자인(慈仁) : 현 경산시 남부 * 장기(長鬐) : 현 포항시 남부 * 지례(知禮) : 현 김천시 남부 * 진보(眞寶) : 1914년 [[청송군]]과 [[영양군]]에 분할 편입 * [[진해군|진해(鎭海)]]: 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일대 * 창녕(昌寧) : 창녕군 * 청하(淸河) : 현 포항시 북부 * [[칠원군|칠원(漆原)]]: 현 [[함안군]] 동부 * 하양(河陽) : 현 경산시 북부[* 이외에도 대구 동구 안심동도 관할하고 있었다.] * 함창(咸昌) : 현 [[상주시]] 일부 * 현풍(玄風) : 현 [[달성군]] 남부 ===== 강원도 ===== * [[금성군|금성(金城)]]: 현 [[철원군]]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 (이상 실효지배) 및 [[창도군]], [[김화군]] 일대, 해방 당시 [[김화군]] 금성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 [[금화군(행정구역)|금화(金化)]]: 1962년말까지 [[금화군(행정구역)|금화군]]인 [[철원군]] 김화읍, 근동면, 서면, 근남면, 근북면, 1950년대까지 '금화'라고 읽었다. * 기린(): 현 [[인제군]] 기린면 * 기성(): [[창도군]] 일부, 해방 당시 [[금화군(행정구역)|금화군]] 창도면 일부 * 낭천(狼川) : 1902년에 [[화천군|화천]]으로 개칭 * 서화(): 현 [[인제군]] 서화면 * 안협(安峽) : 현 [[철원군(북한)|이북 철원군]] 동부, 해방 당시 이천군 안협면, 동면, 서면 * [[양구(楊口)]]: [[양구군]] * [[울진군|울진]](蔚珍) : 1963년 [[경상북도]]로 이관 * [[이천군|이천(伊川)]]: [[이천군]][* [[이천시]]와는 다르므로 주의.] * [[인제군|인제(麟蹄)]]: [[인제군]] * [[평강(平康)]]: [[평강군]] * 해안(亥安): 현 [[양구군]] [[해안면]], 일명 펀치볼 * [[홍천군|홍천(洪川)]]: 현 [[홍천군]], [[내면(홍천군)|내면]] 제외 * [[횡성군|횡성(橫城)]]: [[횡성군]] * 흡곡(翕谷) : 현 [[통천군]] 일부 ===== 황해도 ===== * [[강령군|강령(康翎)]]: 14 년에 [[백령도|백령진()]]과 통합하며 영강현에서 개칭, 현 [[강령군]] 대부분, 해방 당시 [[옹진군(황해남도)|옹진군]] 동부 4개면 * 강음(江陰): [[금천군]] 중부 * 문화(文化): [[신천군]] 서부 * [[송화군|송화(松禾)]]: [[송화군]] * 신계(新溪) : [[신계군]] * 신음() * 옹진(甕津) : [[옹진군(황해남도)|옹진군]] * 우봉(牛峰) : [[금천군]] 중부 * 은율(殷栗) : [[은율군]] * 장련(長連): [[은율군]] 동부 * [[장연군|장연(長淵)]]: [[장연군]] * [[태천군|태천()]]: * [[토산군|토산(土山)]]: 현 [[토산군]] 일대, 해방당시 [[금천군]] 동부 * 해안(): 현 [[룡연군]] 중서부, 해방 당시 [[장연군]] 해안면 * 협계(): [[신계]]로 통폐합 ===== 평안도[*A 절반 이상이 군으로 승격함.] ===== * [[강동군|강동()]]: * [[강서군|강서()]]: * [[맹산군|맹산()]]: * 삼등() * 삼화(): 현 [[남포시]] 일부, 해방당시 [[진남포시]] 및 [[용강군]] * [[순안구역|순안()]]: * 양덕 * 영유(): 현 [[평원군(평안남도)]] * 용강 * 운산 * [[증산군|증산()]]: 1 년에 삼화현으로 통폐합, 13 년에 분리, 현 [[증산군]], 해방 당시 [[강서군]] 증산면 * 태천 * 함종 ===== 함경도[*A 절반 이상이 군으로 승격함.] ===== * 길성(吉城): 1410년에 길주목이 격하되며 명천현과 분리 * [[명천군|명천(明川)]]: 현 [[명천군]], [[명간군]], 군, 해방당시 [[명천군]] * 이성 - 정조의 휘를 피하기 위해 정조 대에 이원으로 고쳤다. * [[홍원현|홍원]] === 외국 행정구역의 번역 === [[그리스]]의 주(州, Region, περιφέρειες)의 하위 행정구역인 '현('νομός, Prefecture)도 있었다. 2010년 행정구역체계 변경으로 지역단위(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지만 현 시절과 별로 달라진 게 없다. [[독일]]도 주의 하위 행정구역을 현으로 번역한다. 일본어를 사이에 끼고 중역한 것이므로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중국어권에서는 이 행정단위를 행정구(行政區)로 번역한다. [[이탈리아]] 또한 흔히 주(州)에 해당되는 레조네(Regione)의 하위 행정구역 프로빈차(Provincia)를 현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프로빈차의 공식 번역명칭은 [[도(행정구역)|도(道)]]이다. 스페인어권의 행정구역 Município도 현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으나, Município는 자치권을 가진 하위 행정구역을 모두 포괄하는 단위라 사실 어떻게 번역해도 적절하지 않다. 최근에 시로 번역하는 경우가 다수다. 다만 [[동티모르]] 행정구역인 Município는 현으로 번역한다. [[튀르키예]] 행정구역인 il도 영어로 Prefecture로 번역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튀르키예측에서 번역한 서류들에서 prefecture 번역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주(il, region)의 하위단위로 il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나무위키에서는 도로 표기한다. 한국에서 [[군(행정구역)|군]]으로 번역하는 [[몽골/행정구역|몽골 행정구역]]인 솜을 중국어권에서 현으로 번역한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자치구]]에 있는 것은 소목(蘇木)으로 음역한다. == 관련 문서 == * [[만주국/행정구역]] * [[부군면 통폐합]] * [[행정구역 개편]]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현,version=65)] [[분류:대만의 역사]][[분류:대만의 행정구역]][[분류:베트남의 역사]][[분류:베트남의 행정구역]][[분류:일본의 역사]][[분류:일본의 행정구역]][[분류:중국의 역사]][[분류:중국의 행정구역]][[분류:행정구역]][[분류:한국의 옛 행정구역]][[분류:향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