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누우엔진.png|align=center&width=50%]] [목차] == 개요 ==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배기량]] 1.8, 2.0L의 직렬 [[4기통]] 알루미늄 합금 블록 [[가솔린 엔진]]. 형식명은 G4N계. 이름의 유래는 이전의 현대자동차의 가솔린 엔진들처럼 [[그리스 문자]] [[Ν|뉴(Ν/ν)]]이다. == 상세 == * 블록 구조 : 알루미늄 합금, 오픈 데크 * 실린더 스페이싱 (mm) : 불명 * 밸브트레인 : 체인 구동 DOHC 16밸브 * 11mm 오프셋 크랭크샤프트 * 엔진제어시스템 : 컨티넨탈 SIM2K → [[SIMK|SIM3K]], 보쉬^^G4NC 한정^^ [[현대 베타 엔진|베타 엔진]]의 후속격 엔진으로 1.8/2.0L [[현대 세타 엔진|세타 엔진]][* [[실용영역드립]]의 가장 큰 희생양이었다. 주력차종에 구조상 스트로크가 길어서 저/중속 영역의 출력 특성이 뛰어난 누우 엔진을 올려주는 것이 서로에게 훨씬 현명한 선택이 될 것이다.]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했다. 왜냐하면 세타 엔진은 베타 엔진 대비 단가가 비싸며, 숏스트로크/스퀘어 타입이라 주력차종에 탑재하기에 부적합했었다. === 누우 === 2011년 1월부터 저율 생산을 시작해 점차 증산했다. [[가변 밸브 타이밍|CVVT]](전 사양 공용) 1.8L(해외 수출용), 2.0L 및 2.0L [[GDI 엔진|GDi]], 2,0L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모델에 장착되는 엔진은 연비 효율을 위해 150PS로 디튠해 장착된다.], 2.0L 하이브리드 GDi, 2.0L CVVL, 2.0L LPi 엔진이 생산되고 있다. 2012년 2월, 2.0 CVVL 사양인 G4ND가 출시됐다. 최고출력은 2.0L CVVT(앳킨슨 사이클)가 149PS, 2.0L CVVL이 172PS, 2.0L GDi가 178PS, 2.0L LPi는 157PS이다. 2016년, 2.0L 하이브리드 GDi 엔진이 워즈오토 선정 세계 10대 엔진으로 선정됐다. === 누우 개선 === 캠 캐리어 식으로 설계변경됐다. ---- '''G4NN''' [[중국]] 전용 2.0L T-GDi 엔진으로써, [[산둥성]]에 위치한 [[현대위아]] 공장에서 제조된다. 중국형 카니발, K5, 쏘나타, 쿠스토에 탑재된다. 이 사양은 GPF가 장착된다. ---- '''수소 엔진''' 2023년 9월 현대차와 [[한국기계연구원]] 공동으로 누우 하이브리드 엔진을 기반으로 수소 엔진을 연구해 100% 수소로만 가는 내연기관 엔진을 개발했다. 기존 엔진 대비 30배 이상 고압의 [[GDI 엔진|직접분사]] 방식에, 과급기를 사용해 40%의 높은 열효율을 달성했다. 또한 '''후처리 장치가 없이''' 질소산화물을 15ppm 이하로 배출하며 가솔린 대비 [[이산화 탄소]] 배출은 99%, [[미세먼지]] 배출은 90% 가령 줄었다. 유럽 무공해차 기준을 충족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076006?sid=102|#]] == 형식 == || 형식명 || 배기량(cc) || 보어 × 스트로크(mm) || 사양 || || G4NA || 1,999 || 81 × 97 ||2.0 MPI || || G4NB || 1,797 || 81 × 87.2 ||1.8 MPI || || G4NC ||<|9> 1,999 ||<|9> 81 × 97 ||2.0 GDI || || G4ND ||2.0 CVVL || || G4NE ||2.0 HEV-MPI || || L4NA ||2.0 LPI || || G4NG ||2.0 HEV-GDI || || G4NH ||2.0 AKS-MPI || || G4NM ||개선 2.0 CVVL || || G4NR ||개선 2.0 HEV-GDI || || L4NB ||개선 2.0 LPI || || G4NN || 1,975 || 80.5 × 97 ||개선 2.0 T-GDI || || G4NS ||<|2> 1,999 ||<|2> 81 × 97 ||개선 2.0 AKS-MPI || || G4NJ ||개선 2.0 MPI || ||<-4> 제원(가솔린) || || 엔진형식 ||<-3> I4 DOHC - 누우 || || 배기량(cc) || 1,797 ||<-2> 1,999 || || 보어 x 스트로크(mm) || 81 x 87.2 ||<-2> 81 x 97 || || 압축비 || 10.3:1 ||<-2> 11.5:1 || || 최고출력(PS/rpm) || 150 / 6,500 || 172 / 6,500 → 163 / 6,500 || 176 / 6,500 || || 건조중량(kg) || 112 || || || 연료분사방식 ||<-2> MPI || GDi || || 비고 || D/CVVT || [[가변 밸브 리프트|CVVL]], VIS || D/CVVT || == 적용차종 == === [[현대자동차]] === * [[현대 아반떼/5세대#s-4|아반떼 쿠페]] * [[현대 아반떼|아반떼]][* 수출사양 MD부터, 내수사양 AD 한정 앳킨슨 사이클 사양] * [[현대 i30#s-2.2|i30(GD)]][*북미 북미사양] * [[현대 쏘나타|쏘나타]][* YF 브릴리언트 이후 2.0NA 가솔린 모델] * [[현대 i40|i40]] * [[현대 코나|코나]][* 북미형에 우선 적용했으며, 내수에는 2021년 1월 14일에 출시했다.] * [[현대 투싼|투싼]][*북미] === [[기아]] === * [[기아 카렌스#s-2.3|카렌스(RP)]] * [[기아 K4(2014)|K4(2014)]] * [[기아 K5|K5]] * [[기아 셀토스|셀토스]][* 북미형과 호주형에 우선 적용했으며, 내수에는 2022년 7월 22일에 출시했다.] * [[기아 스포티지|스포티지]](3세대(중국시장), 4세대, 5세대 LPi) == 리콜 == 2021년 5월부터, 피스톤 오일 링의 열처리 공정상 문제로 인해 해외형 앳킨슨 사이클 2.0L 개선 MPI(G4NH)가 북미 및 유럽 등지에서 리콜된다. 엔진오일 감소, 주행 중 시동 꺼짐, 장기적으로는 엔진 고장 등의 위험이 있다. 적용 차종은 2013∼2015년 [[현대 투싼|투싼]], 2019∼2020년 [[현대 아반떼|엘란트라]], 2019∼2021년 [[현대 코나|코나]] 및 [[현대 벨로스터|벨로스터]], 2021년 [[기아 셀토스|셀토스]] 및 [[기아 쏘울|쏘울]]이다. 한국에 탑재되는 2.0 개선 CVVL(G4NM) 사양은 해당되지 않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의 엔진)] [[분류:현대자동차그룹/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