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width=15%&theme=light]][[파일:현대자동차 심볼 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yundai_Pavise.jpg|width=100%]]}}} || || {{{#ffffff '''PAVISE'''}}} || [목차] '''HYUNDAI PAVISE''' [[https://www.hyundai.com/kr/ko/c/products/truck/pavise|현대 파비스 홈페이지]] == 개요 == [[현대자동차]]에서 2019년 8월 29일에 공개한 적재중량 5.5~13.5톤급[* 차량총중량(GVW) 기준으로는 15.5~17톤.] 중형 트럭이다. 최초 공개 당시에는 [[현대 메가트럭|메가트럭]]과 [[현대 뉴파워트럭|뉴파워트럭]]의 통합 후속 모델로 발표됐으나 출시 전 계획이 변경되어[* 아래 문단에서 후술하다시피 원래 기획됐던 순정 6x2 섀시 옵션이 삭제되면서 뉴파워트럭의 영역을 그대로 남겨두게 됐다.] 메가트럭의 직접적인 후속 모델로만 남고 뉴파워트럭은 현재도 생산하는 중이다.[* 이와 같은 경우가 또 있는데, 바로 [[쌍용 무쏘|무쏘]] 및 [[KGM 렉스턴|렉스턴]]과의 관계와 [[타타대우 노부스|노부스]] 및 [[타타대우 프리마|프리마]]와의 관계이다. 렉스턴의 경우 원래는 무쏘의 후속 모델로 개발됐지만 중간에 계획이 변경되어 무쏘의 상위 모델로 출시되어 한동안 무쏘와 병행생산했고, 프리마의 경우 원래는 노부스의 후속모델로 개발됐지만 중간에 계획이 변경되어 노부스의 상위 모델로 출시되어 병행생산한다.] 차량의 세부 모델 구분은 캡 측면 사물함에 작은 양각 이니셜로 표기되는데 앞의 세자리는 엔진출력(단위/[[마력]]), 뒤의 세자리는 적재 or 차량총중량(단위/100 kg)을 뜻한다.[* 공장에서 순정으로 화물칸이 달려 출고되는(= 완제품) 모델들은 적재중량이 표기되고, 특장 개조를 위해 섀시캡으로 출고되는 모델들은 차량총중량이 표기된다.] (ex: '''QV 325 170''' → 325마력, 차량총중량 17톤 모델, '''QV 300 055''' → 300마력, 적재중량 5.5톤 모델.) 명칭은 중세시대 군인들이 사용했던 1.5m에 달하는 크기의 대형 방패인 파비스에서 따왔다고 현대 트럭 앤 버스 비지니스 페어에서 밝혔다.[[https://www.youtube.com/watch?v=zq3s2SX3-jg|출처(유튜브)]] 그동안 현대자동차가 도시 이름에서 따오는 작명법을 보고 일각에서는 [[이탈리아]] [[밀라노]] 남부의 위치한 소도시인 '파비아'[* 이 이름을 차명에 적용한 회사가 있는데 체코의 [[스코다]]가 자사의 [[스코다 파비아|소형차]]에 사용했다.]에서 따왔다고 추측했으나, 공식 입장으로 방패에서 따왔다고 확인사살. 차량의 방패 모양 그릴을 통해 어느 정도 반영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019년 4월 3일에 [[뉴질랜드]] 특허청에 신청했고, 이를 보고 새로운 SUV나 최초의 픽업트럭의 이름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던 사람들이 있었지만, 비즈니스 페어에서 공개된 모델은 준대형 트럭 모델이었다. 현대자동차에서는 '실용적인('''P'''ractical), 개조하기 쉬운('''A'''daptable), 넓은('''V'''olume),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I'''nformation), 안전한('''S'''afety), 경제적인('''E'''conomical)' 자동차라는 의미에서 앞글자를 따온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방패에서 가져왔다고 했으니, 사실상 [[역두문자어]]라고 볼 수 있다. == 상세 == === 1세대 (QV, 2019~현재) === || [[파일:WVV5d537222e05d0.jpg|width=100%]] || [[파일:현대 파비스.png|width=100%]] || |||| 티저 이미지 || [[파일:파비스.png|width=700]] 2019년 8월에 티저 이미지가 공개된 후 최초 공개는 2019년 8월 29일에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트럭&버스 비즈니스 페어에서 이루어졌으며, 10대의 특장차가 전시됐다. 이름은 8월 21일에 확정됐으며, 출시는 9월에 이루어졌다. 일반형(적재중량 5.5톤, 차량총중량 15.5톤[* 적재중량에 비해 차량의 한계중량(차량총중량 - 차량공중량) 마진이 거의 두 배에 달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축|축 개조]]에 대비한 것으로 추정된다.])과 고하중형(적재중량 8.5톤 이상, 차량총중량 17톤) 플랫폼 2종에 구동방식은 4×2와 6×2 두 가지로 국내 시장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차급인 5.5톤을 비롯하여 8톤, 8.5톤(이하 4×2), 11톤, 13.5톤급(이하 6×2)으로 나왔으나, 경쟁 차량은 주로 4.5~13.5톤 트럭[* 현대자동차에서 준대형트럭이라는 용어를 쓴 점에서 직접적인 경쟁상대는 5~9.5톤급 준대형 트럭인 [[볼보 FE]]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며, 개별화물로 등록이 가능한 기준이 4.5톤이었지만 2019년 7월에 법이 개정되면서 16톤까지 등록이 가능하니 이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이 될 것으로 보이며, 법 개편으로 최대 16톤까지 증톤이 가능해진 개별화물 시장이나 윙바디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보인다. 덤프트럭은 출시 이전까지만 해도 뉴파워트럭의 15톤 체급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15톤급 미만 모델만 판매하고 있으며 15톤 모델은 뉴파워트럭과 엑시언트가 판매 중인 것으로 보아 고려대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믹서트럭]] 역시 뉴파워트럭과 엑시언트를 판매하는 것으로 유지한다. 당초 6×2 및 4×2 모델 두 가지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했었는데, 6×2 모델은 [[가변축]] 업체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4×2 모델의 카고트럭 및 섀시캡 위주로 공급하기로 결정되면서 6×2 사양은 라인업에서 제외됐다. 현대가 완성차로 6×2 모델을 출시할 경우 다른 수입업체들도 6×2 모델을 들여올 가능성이 높고 [[가변축]] 업체들의 수요 대부분이 중형트럭에서 나오는지라 기존 가변축 특장업체 시장들이 완전히 무너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63|#]] 한편 특장차 업체인 [[http://www.koreatomy.com/|한국토미]]에서는 2022년부터 최대 GVW 24톤 6×4, 8×4 개조 모델을 '''파비스 밸류 플러스'''라는 명칭으로 판매중이다. [[http://www.koreatomy.com/html/m01_product_ver2_06.asp|#]] [[파일:FB_IMG_1680787788581.jpg|width=100%]] 2023년 3월 31일 개최된 [[제14회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메탈릭 그레이로 변경된 전면 그릴, ZF 8단 [[ZF 8AP 변속기|파워라인]] 전자동변속기, 6×2 카고/섀시캡 라인업, 적재함 개폐 보조장치, 풀 LED 테일램프[* [[파일:FB_IMG_1680787913148.jpg|width=100%]] 5발짜리 미등/브레이크, '''시퀀셜 타입 방향지시등''', 후진등 모두 LED로 점등된다. 아랫쪽의 하얀 줄 같이 생긴 것이 방향지시등, 후진등 위치이다.], 급제동 후방 경보장치를 추가해 상품성을 강화한 연식변경 모델인 '''더 뉴 파비스'''를 전시했으며, 동년 5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프레임에 구멍이 많이 뚫려있는데 이는 특장업체에서 제작한 적재함을 브라켓으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볼트 구멍이다. 특장차는 주문제작이라 프레임에 고정하는 브라켓 위치도 달라서 많은 구멍을 뚫어놓아 입맛에 맞게 쓰라는 것이다. ==== 파워트레인 ==== *'''엔진''' ||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유럽 배출가스 기준|유로규제]]''' || ||<|3> '''D6GB ([[현대 G 엔진|G]])''' ||<|3> [[6기통|직렬 6기통]] ||<|3> 6.8[[리터]] || 280[[마력]] || 95 kgf·m ||<|3> 유로6D || || 300마력 || 110 kgf·m || || 325마력 || 120 kgf·m || *'''변속기''' || '''변속기''' || '''공중량''' || '''최대 입력토크''' || '''탑기어 유형''' || '''기어 단수''' || '''기어비'''[* 기어비가 높을수록 강한 견인력을, 낮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 || '''ZF 9 S 1310 TO''' || 190 kg || 133 kgf·m ||<|2> 오버 드라이브 || 전진 9단 / 후진 1단 수동 || 9.48 - 0.75 || || '''ZF 12 AS 1210 TO''' || 183 kg || 122 kgf·m || 전진 12단 / 후진 2단 자동 || 10.37 - 0.81 || == 기타 == * 파비스의 카탈로그는 지금까지의 현대상용차 카탈로그와는 다르게 세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이며 배경색은 군청색이다. * 도어 금형은 [[현대 메가트럭|메가트럭]], [[현대 뉴파워트럭|뉴파워트럭]]과 공용한다. * [[스마트키]]는 [[현대 그랜저/6세대|그랜저 IG]]와 같은 디자인을 공유한다. 그랜저 IG의 스마트키에서 트렁크 열림버튼만 빠진 형태라서 그랜저 IG가 4버튼이면 파비스는 3버튼이다. 당연히 스마트키의 품번도 다른데 그랜저 IG는 95440-G80004X이고 파비스는 95810-6D700이다. * 파비스의 출시를 기반으로 [[기아]]에서는 [[K-511]]과 [[K-711]]의 후속 모델인 [[중형표준차량]]을 개발하는 중이다. 기본형의 경우 파비스의 외형을 유지하고 프레임 보강을 실시하며 방탄킷 버전은 미군이 운용하는 [[FMTV]]과 비슷한 외형으로 설계한다. || [[파일:항만소방파비스.jpg|width=100%]] || || [[부산광역시 소방재난본부]]의 소형 물탱크 차량. || * [[소방차]]로 투입될 것이 확정됐으나 펌프차는 2020년에도 [[현대 메가트럭|메가트럭]]으로 배치되어 어느 형태로 투입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후 [[부산광역시 소방재난본부]]가 소형 물탱크 차량으로 파비스를 처음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빠른 속도로 파비스를 도입하는 중이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소화용수 지원목적인 소형 물탱크 차량이나 준대형 구조공작차량 위주로 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사다리차는 [[현대 엑시언트|엑시언트]] 수준의 차급이어야 도입이 가능하지만 엑시언트 소방차는 [[경주시]]에 1대 뿐이다. 대형 소방차는 대부분 [[볼보트럭]]이나 [[스카니아]]를 사용하고 국산 모델을 투입하는 경우 [[타타대우 노부스|노부스]]를 사용한다. 물론 엑시언트 소방차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포스코]], [[LG화학]],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현대오일뱅크]] 자체소방대에서 화학소방차로 엑시언트를 사용한다. * 2021년부터 모든 라인업에 [[크루즈 컨트롤]]이 기본으로 적용된다. 하지만 [[수동변속기]] 사양에서는 감속만 자동으로 하고 클러치 제어에는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감속하는 경우 운전자가 클러치를 직접 밟아서 조작해야 한다. * [[쿠팡]]이 간선차량으로 대량 운용중인 모델이다. 파비스가 출시되기 전에는 [[현대 메가트럭|메가트럭]] 5톤이 다수이고 [[현대 엑시언트|엑시언트]] 11.5톤을 소수 운용했는데, 지금은 파비스 8.5톤으로 단일화되는 추세이다. 쿠팡에서 운용하는 파비스는 325마력 고하중 극초장축 플러스 9.3 모델로 전장이 12.57m, 휠베이스 7m인 최장신 트림 + 적재함도 엑시언트 11.5톤과 동일한 크기라 부피 적재량이 최대 18파렛트로 동일하고, 경량짐만 취급하는 쿠팡의 특성 덕분에 기존에 5톤과 11.5톤으로 이원화된 간선차량들이 파비스로 단일화되는 중이다. * 2022년부터 모든 라인업에 전륜과 후륜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으로 적용된다. == 문제점 == 파비스는 [[화물차 기사]]들에게 평가가 좋은 트럭은 아니다. [[과적]]에 매우 강한 것으로 정평이 난 일반적인 국산 트럭으로 생각했다가 '''[[삼성 야무진|적재중량에 딱 맞게 적재해도 프레임이 휘어져서]]''' 큰 코 다친 기사들이 매우 많다. 프레임이 잘 휘어지는 이유는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서 고장력강을 사용하고 프레임은 이전 모델인 메가트럭과 다르지 않은데 길이는 길어지고 중량은 늘어났기 때문이다. 파비스 오너들이 많이 지적하는 부분은 적재함 중앙인데 그 부분이 제일 약하기 때문에 항시 조심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윙바디]]의 경우 [[카고트럭|카고]]보다 길이가 더 길어서 안 그래도 약한 프레임이 더 잘 휘어버린다. 그래서 기사들은 파비스를 구매하고 차량을 인도받으면 제일 먼저 특장회사를 찾아가서 파비스의 프레임을 보강한다. 현대자동차도 뒤늦게 오너들의 지적을 인지하고 2022년부터 ㄷ자 형태의 내부 보강재를 추가했지만 오너들 사이에서는 그래도 약하니까 별도로 보강을 하라고 조언한다. == 경쟁 차량 == * [[타타대우상용차]] - [[타타대우 더쎈|더쎈]](5톤 모델), [[타타대우 구쎈|구쎈]], [[타타대우 노부스|노부스]](중형 및 준대형 모델) * [[메르세데스-벤츠]] - [[메르세데스-벤츠 아테고|아테고]], [[메르세데스-벤츠 아록스|아록스]](중형 및 준대형 모델) * [[이베코]] - [[이베코|유로카고]](중형 및 준대형 모델) * [[볼보트럭]] - [[볼보 FE|FE]], [[볼보 FL|FL]] * [[MAN]] - [[MAN TGM|TGM]] * [[스카니아]] - [[스카니아 PRT-레인지|P시리즈]] * [[이스즈자동차]] - [[이스즈 포워드|포워드]], [[이스즈 기가|기가]] * [[히노자동차]] - [[히노 레인저|레인저]], [[히노 프로피아|프로피아]] * [[미쓰비시 후소]] - [[미쓰비시 후소 파이터|파이터]], [[미쓰비시 후소 슈퍼 그레이트|슈퍼 그레이트]] * [[UD트럭]] - [[UD 콘도르|콘도르]], [[UD 큐온|큐온]]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국내 시판 차량)]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 관련 문서 == * [[현대 메가트럭]] * [[현대 뉴파워트럭]] * [[중형표준차량]] [[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대한민국 국군/차량]][[분류:트럭]][[분류:201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