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angyongcha.co.kr/3132_4530_391.jpg|width=100%]]}}}|| || [[현대 쏠라티|쏠라티]]용 A2 엔진 || [[현대자동차그룹]]의 [[배기량]] 2.5L 직렬 [[4기통]] [[디젤 엔진]]. 형식명은 D4CB.[* 2.9L E 엔진은 D4CC이다.] == 상세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엔진의 변천 및 유지보수, rd1=현대 A 엔진/여담)] * 블록 구조 : 주철, 클로즈드 데크 * 실린더 스페이싱 (mm) : 105 * 밸브트레인 : 체인 구동 DOHC 16밸브 * 엔진제어시스템 : [[현대 A 엔진/여담|하위 문서 참조]] * 연료 분사 : [[CRDi|커먼레일]] 직분사 * 인젝터 최고분사압 (bar) : [[현대 A 엔진/여담|하위 문서 참조]] 주로 포터, 봉고 등 대한민국 소상공인이 사용하는 생계형 차종부터 가장 고가인 유럽식 [[LCV]] 차종 [[현대 쏠라티|쏠라티]] 및 마이티 내로우캡까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전신인 [[미쓰비시 4D5 엔진|T 엔진]]까지 합하면 국내 최다 판매 소형 디젤 엔진이다. [[미쓰비시 4D5 엔진|D4BH]]의 레이아웃을 큰 틀에서 유용하되, 사양은 전혀 다르다. 특히 실린더 스페이싱 값이 달라, 같은 계열이 아니다. 전사양 캠캐리어 위에 캠샤프트가 위치되게 설계됐으며, [[전자 제어 스로틀|ETC]] 적용됐다. 또한 진공펌프가 캠샤프트에 체결되는 방식이다. 날이 갈수록 강화되는 배출가스 규제 및 시장에서 요구하는 더 높은 출력을 만족시키기 위해 개발됐다. 운전석이 엔진 앞에 있는 포터, 봉고 등의 전방 조종차종은 큰 냉각팬과 큰 미션을 달기 불리해 내구성 확보가 우선이라 캘리브레이션을 달리해 장착된다. 참고로 포터는 낮은 출력의 엔진이 탑재됐지만, 액셀을 밟는 족족 튀어나가며 그런 제한이 없는 쏘렌토 1세대, 스타렉스, 리베로는 그야말로 날아다닌다. 전장이 긴 편이라, 탑재차종들 모두 [[FR(자동차)|후륜구동]] 차종이다. === A === 2002년 2월, [[기아 쏘렌토/1세대|쏘렌토]][* 승용 모델로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A 엔진이 장착된 차종.]로 첫 출시됐다. 두 달 뒤 스타렉스에 적용됐다. 2004년 1월, 포터와 리베로에 탑재됐다. 2005년 2월 말에 [[VGT]] 사양이 시판됐다. 이후로 [[DPF]] 등 거듭된 설계변경을 거쳤다. 유로 3부터 2012년 유로 4까지 연료분사압을 높이고 VGT 적용, DPF, EGR을 장착했다. [[기아 쏘렌토/1세대|쏘렌토]] 장착분의 구동음은 우렁찰 정도로 큰 편이다. 이후 [[현대 포터/4세대|포터Ⅱ]],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그랜드 스타렉스]] 탑재분은 설계변경을 통해 조용해졌다. ---- '''자동변속기''' 쏘렌토(~2003년), 스타렉스 1세대, 리베로에 [[AW 30 변속기|아이신 4단]], 포터Ⅱ(2012년형 이전)에 [[자트코 JR405E 변속기|자트코 4단]]이 탑재됐다. 쏘렌토(2004년형부터), 그랜드 스타렉스에 5단 [[현대 A5SR 변속기|A5SR1·2]]가 탑재됐다. === A2 === 2012년 1월에 시판됐던 유로 5 사양부터 A2로 명명됐다. 그랜드 스타렉스, 쏠라티, [[현대 마이티|마이티]] 2.5톤 내로우캡에 장착되었다. 기아의 [[기아 봉고/4세대|봉고Ⅲ]]도 마이너체인지 이전 [[기아 J 엔진|J3 엔진]]이 유로 5 규제를 충족하지 못해 단종됨과 동시에 이 엔진을 장착하게 됐다. 2016년 [[SCR]]을 장착[* 화물차는 [[LNT]]가 장착되다가 2019년 강화 유로 6 대응으로 SCR이 장착되기 시작했다.]해 유로 6 규제를 충족시켰다. 스타렉스용 VGT 사양은 전동모터로 베인 구동하는 eVGT로 변경됐다. 2021년 12월 이후, 유로 6d까지 대응하고 있다. 이후 전사양 e[[VGT]] 적용. ---- '''수동변속기''' [[6단 수동변속기]]([[현대 M6AR 변속기|M6AR]] 및 [[현대 M6VR 변속기|M6VR]] 계열)를 조합한 차량에는 [[현대 M5SR 변속기|M5SR]] · [[현대 M5TR 변속기|M5TR]] 계열 등 5단 수동 차량보다 1단 출발을 자주 하는 모습이 보인다. ---- '''자동변속기''' 포터Ⅱ 및 봉고Ⅲ(2012년 이후)에도 5단 [[현대 A5SR 변속기|A5SR1]]이 탑재된다. 쏠라티에 8단 [[현대 A8xR 변속기|A8TR1]]이 적용된다. === E === 현대 내부명 'E 엔진'이란 명명 하에 2.9L 사양이 출시됐다. 형식명은 D4CC. 내수형에는 일절 탑재되지 않고 마이티 수출형, 산업용으로 쓰인다. == 형식 == || 형식명 || 배기량(cc) || 보어 × 스트로크(mm) || 사양 || ||<|2> D4CB ||<|2> 2,497 ||<|2> 91 × 96 ||2.5 WGT || ||2.5 VGT || || D4CC || 2,891 || 95 × 102 ||2.9 || == 적용차종 == * [[기아 쏘렌토/1세대|기아 쏘렌토]] 1세대(2002~2009) * [[현대 스타렉스]] 1세대(2002~2007), 2세대(2007~2021) * [[현대 리베로]](2003~2007) * [[현대 포터/4세대|현대 포터Ⅱ]](2004~2023) * [[기아 봉고/4세대|기아 봉고Ⅲ]](2012~2023)[* 2011년 이전에는 [[기아 J 엔진#s-2.6|J3 엔진]]이 적용됐다.] * [[현대 마이티|현대 마이티 내로우캡]](2015~2023) * [[현대 쏠라티]](2015~현재)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의 엔진)] [[분류:현대자동차그룹/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