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 [include(틀:대한민국 상위 30대 건설사)] ||<-2> {{{#ffffff '''{{{+2 현대엔지니어링}}}'''[br]現代엔지니어링[br]Hyundai Engineering}}}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로고.svg|width=300]]}}}[b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본사.jp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 ||[[1974년]] [[2월 11일]]^^([age(1974-02-11)]주년)^^ || || '''업종명''' ||건물 및 토목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 '''기업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75 ([[계동]])[* [[현대건설]]이 위치하고 있는 현대빌딩 본관 바로 뒤에 있는 별관빌딩으로, 8층 건물이다.] || || '''대표이사''' ||홍현성 || || '''아파트 브랜드''' ||[[힐스테이트]], [[디에이치]] || || '''상장 유무''' ||[[비상장 기업]][* 2022년 1월 28일, 상장을 철회했다. 흥행 부진이 큰 원인이었다고 한다. 공모 경쟁률이 2021년 최악의 흥행 참패였던 [[크래프톤]] 상장 당시 경쟁률의 절반이었다고 한다.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2/01/28/YA5XVZMVKFGDHJJZVLD2EYJSRE/|#]]] || || '''도급 순위''' ||4위^^(2023)^^[* 2023년 토건 시공능력평가순위 4위(2022년 7위)를 기록했다. [[https://www.worker.co.kr/link/2002R100.asp|#]]] || || '''웹 사이트''' ||[[http://www.hec.co.kr|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종합 엔지니어링 업체. == 역사 == 1973년 12월 현대건설이 과학기술처로부터 플랜트전문기술용역업 인가를 받아 '기술사업부'를 신설했고, [[1974년]] 2월 현대건설 기술사업부를 확대 재편하여 '현대종합기술개발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세웠다. 동년 12월 아시아개발은행, 국제통화기금, 세계보건기구, 미국 국제개발처 등지 국제 기구에 업체 등록을 마친 뒤 1976년 측량업 허가를 받았다. 1977년 평택화력발전소 1~2호기를 시초로 우리 힘으로 발전소 설계를 맡았고, 1979년 국내 최초의 국산화 발전소 '삼천포화력발전소' 설계까지 맡았다. 1980년 한라엔지니어링을 합병하고 1982년 '현대엔지니어링'으로 사명을 변경한 후 리비아 미수라타발전소를 시초로 해외건설 턴키공사를 맡은 후, 1985년 네팔 제5차 전력사업 수주를 맡으며 국내 최초로 해외 컨설팅프로젝트를 진행했다. 1987년 1월 중간관리자 제도(JC, 현 NLB) 제도를 도입하고 1988년 남극 세종과학기지를 세우는 데 기여했다. 같은 해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엔지니어링센터를 넘겨받은 뒤 '해양플랜트사업본부'로, 1989년 현대건설로부터 해외건축설계팀을 넘겨받아 '건축사업본부'로 각각 개편시켰다. 1990년 '엔지니어링아카데미'를 열고 이듬해 전산실 'VAX' 시스템을 가동시킨 뒤, 1992년에 환경기술연구소를 세웠다. 1994년에 첫 기술논문집을 내고 ISO9001 인증을 받았으며, 1996년 미국 건설전문지 지가 선정한 '세계 엔지니어링 업체 50위'에 등재했다. 1998년 국내 최초로 HSC(하수슬러지 퇴비화 장치)를 개발하고 [[1999년]] 현대그룹의 구조조정으로 [[현대건설]]과 합병한 후 인도 타니르 바비 복합 화력발전소 설계를 맡음으로써 세계 최초로 바지선 위에 발전소를 건설시키기도 했다. 2000년에 세계 최대의 가스플랜트인 이란 사우스파스 가스처리시설 2~3단계 공사 설계도 맡았으나, 같은 해 불거진 [[왕자의 난]]으로 현대건설은 산업은행 관리를 받기 시작했고, 2001년 재분사 후 기술연구소를 세웠으며 당사가 개발한 HANT(Hyundai Advanced Nutrients Treatment, 막일체형 하폐수고도처리공법) 공법이 국내 막분리공법으로서 최초로 환경 신기술 인증까지 받았다. 2005년 적도 기니 몽고모 상하수도시설 설계를 시초로 아프리카 진출의 길을 마련하고 2010년 아랍에미리트 윤활기유 생산설비플랜트도 맡아 세계 플랜트 시장 최전방까지 도달했다. 2011년 현대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의 인수경쟁 당시 현대그룹에 의하여 해외투자자에게 매각될 뻔하는 등의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으나, 현대자동차그룹이 현대건설 인수전에서 승리하면서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되었고, 2014년 4월 1일부로 [[현대엠코]]를 합병해서 종합건설사까지 거듭났다. 2016년 국내 대규모 건설업체로서 유일하게 고용노동부로부터 '2015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 지배구조 == 2019년 7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현대건설]] || 38.62%||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정의선]] || 11.72%||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현대글로비스]] || 11.67%||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기아]] || 9.3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현대모비스]] || 9.3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정몽구]] || 4.68%||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자사주]] || 4.59%|| ||우리사주조합 || 1.02%|| == 역대 임원 == === 구 현대엔지니어링 법인 === * 대표이사 회장 * [[이명박]] (1985~1992) * 박재면 (1993~1996) * [[정몽헌]] (1997~1999) * 대표이사 사장 * 임봉건 (1974~1978) * 장우주 (1976~1977) * 이봉표 (1978~1982) * 이춘림 (1978~1979) * [[이명박]] (1982~1985) * 정훈목 (1985~1988) * 정하오 (1990~1996) * 심옥진 (1997~1998) * 대표이사 부사장 * 정하오 (1988~1990) * 이임택 (1999) === 현대건설 엔지니어링사업본부 === * 이임택 부사장 (1999~2000) * 방정섭 부사장 (2000~2001) === 신 현대엔지니어링 법인 === * 회장 * 심현영 (2002~2003) * 방정섭 (2005~2006) * 부회장 * 이종화 (2007) * 대표이사 사장 * 방정섭 (2002~2005) * 이종화 (2005~2006) * 김중겸 (2007~2009) * 김동욱 (2009~2011) * 김위철 (2011~2017) * 성상록 (2017~2019) * 김창학 (2019~2022) * 대표이사 부사장 * 방정섭 (2001~2002) * 홍현성 (2022~) == 사업내용 == || [[파일:1. 현대엠코합병.jpg|width=100%]] || 1974년 창립 당시에는 [[현대건설]]이 100% 출자한 자회사로 [[현대건설]]과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하며 설계업무를 메인으로 하는 회사였다. 하지만 점차 성장하여 2000년대엔 EPC기업 즉 설계(Engineering), 조달(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까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역량을 가진 회사로 성장했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에서 발주하는 그룹 공사물량을 모두 전담해왔다. 2014년 주택 및 일반 토목공사에 강한 현대엠코와 합병하며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각화되고, 더욱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2015년 이후 개별 기준 매출액 5조원대, 영업이익 4천억원대에 안착했다. 2023년 기준 현대건설은 토목/건축/주택/플랜트/에너지 쪽이라면,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건축/인프라/자산관리''' 4개 본부 중심의 사업을 영위하며 수소와 같은 신재생분야에 진출하며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 플랜트 === 화공, 전력 플랜트 부문에서의 설계 실력과 노하우는 국내 최고 수준이다. 더욱이 전력플랜트 부문은 [[한국전력기술]](KEPCO E&C)과 함께 발전소 기본 설계가 가능한 몇 안 되는 회사이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루마니아, 인도, 불가리아 등 40개국에서 378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태국 열병합발전소 ==== || [[파일:열병합발전.jpg|width=100%]] || 2008년 8월, 태국 방콕에서 동남쪽으로 약 100km에 있는 맙따풋 공업단지에, 기존 화학 플랜트에 전력 및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발전소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 2012년 3월 완공했다. 천연가스를 이용해 3 GTs + 3 HRSGs로 114MW의 발전 및 증기를 생산한다. ==== 이라크 정유단지 ==== || [[파일:화공플랜트.jpg|width=100%]] || 2014년 2월, 현대엔지니어링, 현대건설, GS건설, SK건설의 컨소시엄 'HDGSK'가 단일 플랜트 중 역대 최대 규모인 카르발라 정유단지를 수주했다. 총 6.4조원 규모다. 이라크 공사 경험이 풍부한 현대2사는 정제고도화시설을 맡았다. ==== 투르크메니스탄 석유화학단지 ==== || [[파일:2. 화공.jpg|width=100%]] || 투르크메니스탄 에탄크래커 및 PE/PP 생산설비 사업 수주는 투르크메니스탄 최초의 석유화학단지 건설 사업이자, 5조원 규모로 현대엔지니어링 최대 규모의 단일 프로젝트로 손꼽힌다. 예정보다 준공을 5개월 앞당겨 현대엔지니어링의 우수한 기술력을 입증한 사례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09년 14억불 규모 갈키니쉬 가스탈황설비 프로젝트 수주를 시작으로, 2012년 5억 3,000만불 규모 투르크멘바시 정유공장, 2014년 2억 4,000만불 규모 키얀리 원유처리 플랜트, 34억 4,000만불 규모 석유화학 플랜트를 연이어 수주했다. ==== 쿠웨이트 LNG수입터미널 ==== || [[파일:4. 쿠웨이트.jpg|width=100%]] || 2021년 11월 17일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건설, 한국가스공사와 함께 세계 최대규모(단일공사 기준)의 LNG 터미널인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 터미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준공하고 본격적인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2016년 3월을 시작으로 약 5년에 걸쳐 준공된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 터미널 프로젝트」는 총 29억 3,200만불(원화 3조 6,000억원) 규모이며, 쿠웨이트 수도 쿠웨이트시티에서 남쪽으로 90km 떨어진 알주르 지역에 하루 130,000m²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재가스화 시설과 225,000m² 규모의 LNG 저장탱크 8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이다. ==== 사우디아라비아 가스처리시설 ==== || [[파일:5. 사우디.jpg|width=100%]] || 2021년 12월 현대엔지니어링JV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로부터 약 2조원 규모의 초대형 가스플랜트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번 수주는 현대엔지니어링 55%, 현대건설 45%로 JV(합작법인)를 이뤄 참여했으며 수주금액은 원화로 약 2조원 규모이다. 이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쿠웨이트, 인도, 말레이시아 등 36개국에서 272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말레이시아 복합화력발전소 ==== || [[파일:6. 전력.jpg|width=100%]] ||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동남쪽으로 90km 떨어진 멜라카 지역에 발전용량 2,240MW급의 복합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단일 발전소는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로 공사 기간은 2018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였다. === 건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현대아파트)] [[현대아파트]](~1998)가 이후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의 브랜드가 각각 분리되었다. 분리과정은 해당 문서 참고.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건설과 같은 [[현대자동차그룹]]이므로, 현대건설의 브랜드아파트인 [[힐스테이트]], [[THE H]]를 공유한다. 2023년 10월 기준 현대엔지니어링은 27개 단지를 분양, 40 단지를 공사중이며, 23개 단지에 입주가 완료되었다. 건설한 아파트 목록은 해당 브랜드 문서 참고. === 인프라 === [[파나마]], [[베트남]], [[캄보디아]], [[솔로몬 제도]], [[인도네시아]] 등 24개국에서 697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현대 테라타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현대 테라타워)] [[현대 테라타워]]는 2014년부터 현대엔지니어링이 만든 [[지식산업센터]] 브랜드다. 해당 문서 참고. ==== [[서울 경전철 동북선]] ==== 2015년 6월, [[서울 경전철 동북선]]을 진행하던 [[경남기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2순위가 [[현대엠코]]였으나 2014년에 현대엔지니어링이 이를 인수했으므로, [[서울특별시]]가 현대엔지니어링에게 사업 재추진을 요청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50623174500004|#]] ==== 베트남 안동교 ==== || [[파일:9. 인프라.jpg|width=100%]] || [[호치민시|호치민]] 북동쪽 400km에 위치한 닌투안성, 판랑캅참시 해안도로 중 판랑강 하구를 횡단하는 엑스트라도즈 교량(extradosed bridge) 형식으로 건설되었다. [[베트남]] 지방 정부가 외국기업과 최초로 계약한 관급 건설공사로서, 베트남 건설 시장에 교두보를 마련한 의미 있는 사업이다. 공사기간은 2011년 5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였다. === 자산관리 === 독일, 슬로바키아, 러시아, 체코, 인도, 멕시코 등 10개국에서 132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현대자동차 양재사옥 ==== || [[파일:10. 현대.jpg|width=100%]] || 현대자동차 양재사옥[* 건설은 1996~1999년 [[농협]]이 했다. IMF로 매물로 나와, 2000년 11월 현대자동차가 구매했다. 2005년 5월 [[현대엠코]](현 현대엔지니어링)가 똑같이 생긴 건물을 동쪽에 하나 더 지었다.]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현대엔지니어링이 2000년 12월부터 기계, 전기, 소방 외 다양한 시설 관리와 미화, 보안, 조경, 통근 등까지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현대 모터스튜디오]] ==== || [[파일:11. 모터스튜디오.jpg|width=100%]] ||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시공은 [[현대건설]]이 했고, 이후 현대엔지니어링이 자산관리를 맡았다.]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체험형 자동차 테마파크로서,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수단인 자동차를 관람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탄생 과정 및 기능들을 보다 풍부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편의시설 및 정비 서비스 센터도 운영되고 있다. 많은 전시 관람객이 방문하는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공간이 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내에는 서울과 하남, 해외에는 베이징과 모스크바에 위치하고 있다. == 수상내역 == * 2017년 11월 27일, 한국생태복원협회 및 한국자연환경보전협회로부터 '자연환경대상'을 2년 연속 최우수상인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3856717|#]] * 2017년 12월 19일, 중소기업중앙회로부터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의 단체(민간기업) 부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3995504|#]] [[분류:현대엔지니어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