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현병초}}}'''[br]'''玄炳初'''}}}}}} || || '''이명''' ||현창희(玄昌凞) || || '''본관''' ||[[연주 현씨]][* 부윤공파 28세 병(炳) 항렬.] || ||<|2> '''출생''' ||[[1882년]] [[6월 22일]] || ||[[평안도]] [[박천군|가산군]] 남면 영미리 역 앞[br](현 [[평안북도]] [[운전군]] 운전읍) || || '''사망''' ||미상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82년 6월 22일 평안도 가산군 남면 영미리(현 평안북도 운전군 운전읍) 역 앞에서 아버지 현술근(玄述根)과 어머니 [[수원 백씨]] 백상필(白尙弼)의 딸 사이의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20년 2월 [[평안북도]] [[박천군]]에서 대한독립단 단원으로서 단장 [[조맹선]]의 명령을 받고 국내에 잠입한 [[현건주]]를 만났다. 그는 이때 현건주의 권유로 대한독립단 결사대에 입대하게 되었고, [[충청남도]] 지방에서 군자금을 모집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 뒤 박천군을 떠나 그해 3월 12일 충청남도 [[천안시|천안군]] [[성환읍|성환면]](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도착하여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던 중 천안경찰서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에 1920년 4월 30일 소위 강도 및 정치범죄 처벌령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형을 선고받고 공소하여 그해 6월 16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원심 판결이 일부 취소되고 정치범죄 처벌령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 판결을 얻어냈으나, 형기는 그대로 유지되어 옥고를 치렀다.[[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73&evntId=0034972289&evntdowngbn=Y&indpnId=0000004636&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출옥 후에는 [[만주]]로 망명하여 [[봉천성]] 유하현(柳河縣)[* 현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퉁화시(通化市) 류허현(柳河縣).]에 거주했다는 것 이외의 행적은 알 수 없으며, 사망년도에 대해서도 자료가 미비하여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박천군 출신 인물]][[분류:연주 현씨]][[분류:1882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