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일상 용어 == 일상적으로 '''현상'''([[現]][[象]])은 '자연이나 사회의 어떤 상태'라는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런 용례는 '고령화 현상'이라거나 '푄 현상' 등의 예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진을 현상하다'라고 할 때의 '현상'(現像)과는 다른 한자를 쓴다. 달리, 직접 지각할 수가 있는, 자연계 혹은 인간계에서 일어나는 일과 모양, 그리고 시간과 공간 중에 나타나 있는 대상, 본체의 물에 대한 이름(본질), [[인간]]이 알아서 깨달을 수가 있는 사물의 모양과 상태, 본질(혹은 눈앞에 나타나 보이는 사물의 형상)와 눈으로 볼 수 있고 느낄 수가 있는 것, [[사물]]의 [[발전]] 그리고 [[변화]] 중에 나타나는 외부의 형태와 연계를 뜻하기도 하고 현상(現狀)인 경우 나타나 보이는 현재의 상태를 뜻한다고 한다. 지각되거나 관찰되는 어떠한 대상과 [[사실]] 그리고 [[사건]]을 가리키는 철학용어로 감각의 대상을 말한다. [[위키백과]]에서는 실제로 드러나 있는 것, 볼 수도 있고 느낄 수도 있는 것을 말하고 [[자연]] 또한 이와 마찬가지인데, 집이나 거리나 마으이나 들판이나 산이나 나무도 그러하지만 개개의 하나하나라기보다 그것들 전체의 변전하는 그대로의 모습이라고 한다. == 철학 용어 == [[철학]] 용어로서의 '''현상'''([[現]][[象]], phenomenon)은 일반적으로 ''''[[실재|실재(reality)]]''''와 대비되어 쓰이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외부 세계에 보라색 공 하나가 객관적으로 [[존재]]한다', 즉 '보라색 공이 실재한다'고 가정해보자. 다음은 해당 사례에 대한 직관적인 분석의 예시다. * '''실체''': 보라색 공 * '''현상''': * (좁게 볼 경우): [[시각]]을 통해 관측할 수 있는 공의 보라색,[* 보라색을 구성하는 전자기파의 파장이 실재하는가 아닌가를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이 실재한다고 답할 것이다. 그러나 보라색이라는 감각이 실재하는지를 묻는다면 반대로 다수가 고개를 저을 것이다. 보라색은 인간의 의식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고 보라색이란 하나의 현상이다. 이에 대해서, 보라색이라는 감각도 뇌의 물리화학적 작용으로 환원될 수 있다는 환원주의적 반론이 제기된 바 있으나, 일단 근대철학적 용어로서의 현상에 대한 비판으로는 맥락이 어긋나는 지점이 있다.] 공의 둥그런 모양, 후각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보라색 공의 냄새, [[촉각]]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보라색 공의 질감 등등. * (넓게 볼 경우): 각종 관측·실험 기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보라색 공에 대한 [[데이터]] 일체. [[철학사]]에 걸쳐서 '현상' 개념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고 각 견해마다 '현상'이라는 말의 의미 또한 미묘하게 쓰이고는 했다. 이를테면 [[신유학]] 전통에서의 '체(體)'와 '용(用)' 개념은 흔히 서양 철학사에서의 '실재'와 '현상' 개념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종종 해석되고는 하나 그 실제 여부는 논쟁거리다. === 소박 실재론 === Naive Realism 사람이 감각하는 현상은 곧 고스란히 실재한다는 견해. 진지하게 주장하는 철학자가 있다기 보다는 현상 및 실재에 관한 [[일반인]]들의 [[상식]]적인 견해를 가리킬 때 쓰이고는 하는 명칭이다. 따라서 철학적으로 약점이 많은 견해다. 단적으로 [[굴절|젓가락을 물 속에 담가서 젓가락이 구부러진 것으로 보일 경우]], 위에서 정의한 소박 실재론에 따르면 젓가락은 물에 담그면 구부러진다는 것이 실재라는 귀결이 따라나온다. 하지만 이러한 귀결은 부조리해 보인다. === [[철학사/서양#s-4|서양 고대철학]] === [[국가론|『국가』]]로 대표되는 [[플라톤]] 중기 철학은 감각을 넘어선 실재가 있음을 옹호하고자 한 대표적인 입장이다. "[[이데아]]"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플라톤의 [[에이도스|형상(είδος)]] 개념이 대표적. 플라톤의 '모상(ἰκών, φάντασμα)' 개념은 근대 철학사의 '[[관념]]' 개념으로 느슨하게 이어지고 곧 '현상' 개념과도 느슨하게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서양 고대 철학에 대한 일반인들의 통설 한 가지는[* 즉 학계에서는 더 이상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가설이다.] [[합리주의|합리주의자]]인 플라톤은 현상이 실재를 규명하는데 소용이 없다고 본 반면, [[경험주의|경험주의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상이 실재를 규명하는데 핵심적이라고 봤다는 것이다. === [[철학사/서양#s-5|서양 근대철학]] === 어떤 역사적 해석에 따르면 [[르네 데카르트]]에 의한 '철학의 인식론적 전회'가 이루어지고, 의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심해보는 회의주의가 철학의 방법으로 대두된 이후에야, 인간에게 지각되는 세계가 정말로 현실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이 유의미한 정도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일의성의 철학을 내세우는 [[바뤼흐 스피노자]]와 같은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근대 철학자들은 실재를 담보하기 위해 [[신]]의 존재를 요청했다. 데카르트는 선하며 완전한 신이 세계의 실재성을 보장한다 주장했고 일반적으로 관념론자(idealist)[* 만약 관념론을 유물론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본다면 버클리는 관념론자지만, 일반적인 맥락에서 관념론에 대비되는 것은 유물론이 아니라 실재론이다.]로 잘 알려진 [[조지 버클리]]는 사실 유심론자(mentalist)일 뿐 관념론자는 아니었다. 버클리 역시 세계의 실재성을 담보하는 것이 신이라 주장했고[* 그러나 버클리는 소박 실재론을 옹호하고 근대적 실재/현상 이원론을 비판했다. 그에 따르면 신은 인간이 그의 능력을 발휘하면 충분히 알 수 있는 형태로 자연을 창조했다는 것이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 또한 본질적으로는 대동소이했다. 실재론에 대한 회의를 품은 대표적인 철학자는 [[데이비드 흄]]이며, [[임마누엘 칸트]]는 흄의 회의를 계승해 관념론을 정립했다. 인간의 의식은 [[물자체]]에 대해서는 알 수 없고 오성은 오직 현상에 대해서만 파악할 수 있다는 그의 사상은 근대적 실재론에 대한 결정적인 비판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예지계와 [[자유의지]]의 존재를 옹호했고, 인식의 근원을 신으로부터 분유되는 선험적 지식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온전한 관념론자는 아니었다. === [[현상학]] ===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에서 말하는 현상이란 전적으로 의식에 의해 지각된 현상을 뜻하는 것이다. == 카메라 [[필름]]의 가공 과정 == 카메라를 통해 셀룰로이드 필름에 기록된 이미지를 인간이 볼 수 있도록,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필름, 앵커=카메라용 필름)] == 소설 [[화산귀환]]의 등장인물 [[현상(화산귀환)|현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현상(화산귀환))] [각주] [[분류:철학]][[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