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무림의 세력)] 衡山派 [목차] == 개요 == [[무협물]]에 나오는 [[문파]]. [[중국]]의 [[오악]](五岳)의 하나인 남악(南岳) [[형산]]에 위치한 문파이다. 대체로 [[구파일방]]의 일문으로 명문이기는 하지만, 그중에서는 말석에 꼽힐 때가 많다. 형산은 그 산색이 수려하여 오악독수(五岳獨秀)라 불리우며 청나라 문인 위원은 '항산여행(恒山如行), 태산여좌(泰山如坐), 화산여립(華山如立), 숭산여와(嵩山如臥), 유유남악독여비(唯有南岳獨如飛)'라는 문구로 형산의 수려함을 칭송했다. 오악문파의 일원 중 [[화산파]]를 제외한 오악검파 가운데에서는 그나마 문파 자체가 거의 나오지도 않는 ~~[[듣보잡]]~~ [[숭산파]], [[태산파]], [[항산파]]보다는 비중이 제일 높다. 그러나 작중에서는 주로 [[조역]], [[단역]]급 비중이거나 혹은 [[악역]] 중소문파로 등장한다. 대부분의 문파들이 그러하듯 도가의 문파로 설정되어 있으나 형산은 불교와 도교의 공동 성지이며 [[주희]]의 [[주자학]] 이전 유학의 큰 흐름 중 하나였던 [[호상학파]](湖湘學派)의 발상지이며 중국 사대 서원으로 꼽히는 악록서원이 소재한 악록산(岳麓山)이 형산 72개 봉우리 중 하나이기 때문에 때때로 불가(佛家)나 유가(儒家)의 문파일 때도 가령 있으며 혼합되기도 한다. 형산은 남악에 꼽히는데 남방은 화(火)를 상징하고 형산제일봉의 이름이 불의 신, [[축융]]의 이름을 딴 축융봉이며 아예 축융씨가 죽어 형산에 묻혔다는 전설에 더해 강남제일묘라 불리는 남악대묘와 축융전이 존재함으로 형산파의 주신은 축융이며 따라서 형산파의 공력은 온후하고 양강한 경우가 잦다. 따라서 형산파가 등장히지 않을 땐 세외의 축융신궁(祝融神宮)이 형산에 소재하기도 한다. 형산은 수산(壽山), 수악(壽岳)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축융이 인간의 목숨(壽)와 인연, 복락을 관장하는 신이기 때문이로고 이러한 연유로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해마다 많은 사람들이 형산의 도관과 사찰을 찾는다. 수악형산이라 적혀있는 만수대정(萬壽大鼎)이 있다. 남악팔경을 대표적인 명승으로 꼽으며 근처에 [[동정호]]가 있다. == [[무공]] == *칠십이식 회풍낙안검(七十二式 廻風落雁劍)[* 북에서 날아오던 기러기가 여기에 이르러 되돌아간다하여 회안봉(回雁峰)이라 하는 형산의 봉우리에서 착안한 듯 싶다.] *백변천환 형산운무십삼검(白變千幻 衡山雲霧十三劍)[* 상수강에 의해 형산 자락에는 운무가 자욱하게 걸치는데 이를 형산 연운(煙雲)이라 부른다.] *오로검법(五路劍法) *대로검법(大路劍法) *원공검법(猿公劍法), 원공장법(猿公掌法) *축융검법(祝融劍法) *유혼검법(幽魂劍法) *선학검법(仙鶴劍法) == 등장 작품 == * [[군림천하]] - [[형산파(군림천하)]] * [[풍종호]] 월드 - [[형산파(풍종호)]] * [[김용 월드]] - [[소오강호]]에서 등장하며, [[소오강호#s-3.5|소오강호의 형산파]] 문서 참조. * [[무협을 모르는 천마님]]에서 흑막에게 이용당해 신맹을 설립한다. 장문인은 천무지체인 천룡 서백호로 마공을 익혀버린다. 야차는 마공이 없었다면 더높은 경지에 이를수 있었을거라고 안타까워한다. * [[반만년 수련한 창병]] - 초기에는 오온이란 캐릭터가 나오며 무림편에도 주인공의 태산파와 함계 명문으로 나와 참전한다. * [[비뢰도]] - [[백무영]]이 등장한다. * [[천마신교 낙양지부]]에서 마교의 부교주(입신)이 된 파문제자 한명에게 멸문했다고 한다. * [[한백무림서]] - [[형동]]과 남악연화검 [[주개]]가 등장한다. * 아! 형산파 [[분류:정파]][[분류:문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