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혜산청년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혜산청년역, 너비=100%, 높이=250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Hyesan Chŏngnyŏn || || [[한자]] ||<-2> 惠山靑年 || || [[간체자]] ||<-2> 惠山青年 || || [[일본어]] ||<-2> ヘサンチョンニョン || ||<-3> '''주소''' || ||<-3> [[량강도]] [[혜산시]] 춘동[* 광복 당시 [[함경남도]] [[혜산군]] 혜산읍 춘동리] || ||<-3> '''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북부내륙선]] ||<-2><|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 [[백두산청년선]] || ||<-3> '''개업일''' || || [[혜산선]] ||<-2> 1937년 11월 1일 || || {{{-1 [[혜산만포청년선]]}}} ||<-2> 1987년 11월 27일 || ||<-3> '''철도거리표''' || || [[길주청년역|{{{#585858 {{{#!html
길주청년 방면
}}}}}}]][[위연청년역|위연청년]][br]← 4.3 ㎞ || '''[[백두산청년선]]'''[br]혜산청년 ||<|2> {{{#585858 {{{#!html
종점
}}}}}} || || [[만포청년역|{{{#585858 {{{#!html
만포청년 방면
}}}}}}]][[강구역(북부내륙선)|강 구]][br]← 4.1 ㎞ || '''[[북부내륙선]]'''[br]혜산청년 || {{{+1 惠山靑年驛 / Hyesan Chŏngnyŏn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YxomIUckr0)]|| || [[갈렙선교회]]의 영상 || [[량강도]]의 [[철도역]]으로 [[량강도]] [[혜산시]] 소재, [[백두산청년선]]과 [[북부내륙선]]의 종점이다. 승강장은 1면만 있고 선로는 7~8개 가량 있는 걸로 보이며, 량강도에서 제일 큰 도시인 [[혜산시]]의 특성상[* 량강도 전체에서 시는 삼지연군이 시가 되기 전 까지 '''혜산''' 하나뿐이었다.] 그 역할도 나름 중요하다. == 역 주변 정보 == [[압록강]] 강안까지의 직선거리는 불과 '''500미터'''. 하지만 [[위연역]]에 비해서 탈북하기는 더 힘든데, '''50미터'''마다 [[초병]]이 대기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압록강에서 수영하는 것까지는 초병도 별말 하지 않는 듯. [[구글 어스]] 등에 보이는 사진에 의하면 압록강에서 빨래나 수영 등을 하는 북한 주민이 '''매우 많이''' 나온다. 물론 중국쪽에서 찍힌 사진들이다. 그리고 사실 압록강까지의 거리는 위연역이 더 짧다. 약 400m. 굳이 탈북하는 방법이 없지는 않은데 초병들과 친분을 쌓고 초병을 관리하는 [[정치장교]]에게 500만원 정도를 뇌물로 쥐어주면 탈북에 성공할 수도 있다. [[북부내륙선]]과 [[백두산청년선]] 둘은 이 역에서 직결된다. 북부내륙선은 [[자강도]]와 [[량강도]]를, 백두산청년선은 [[량강도]]와 함경북도를 지나간다. 역 고도는 687m로 남한에서는 [[자미원역]] 수준의 높이가 나오지만 북한에서는 [[버로우|명함도 못 내민다]]. [[백무선]]이나 [[신흥선]], [[장진선]] 등에 이 역보다 '''훨씬 더 높은''' 역들이 수두룩하다. 당장에 [[백두산청년선]]과 [[백무선]]이 만나는 [[백암청년역]]만 해도 이 역보다 '''두 배 이상''' 높은 해발 1440m이다. == 기타 == 북부내륙선 기준 만포청년역에서 249.2km, 백두산청년선 기준 [[길주청년역]]에서 141.6km 지점에 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의하면 [[광복]] 직후 선형개량을 하고 [[위연역]]까지는 복선화가 되었다고 나와 있지만 위성영상을 봐서는 도저히 복선화되었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상태가 [[막장]]수준. 조선총독부 관보에 적힌 영업 거리는 길주 기점 141.7km 이지만 조선향토대백과에 나온 노선 거리는 141.6km 로 나와 있어 정확히 100m 정도 차이가 나는데 만일 복선화와 선형개량이 이루어졌다면 역간 거리가 약간 줄어들었거나 아님 역 위치가 이전되었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여기서의 오점이 하나 있는데, 구글 어스상으로 재기에는 하필이면 [[심포리역(백두산청년선)|심포리역]]과 [[대오천역]] 사이에 스케일 큰 터널이 하나 있어서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분류:백두산청년선]][[분류:193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