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태종의 후궁[br]{{{+1 혜순궁주 이씨 | 惠順宮主 李氏}}}'''}}} || || '''{{{#gold 출생}}}''' ||미상 || || '''{{{#gold 사망}}}''' ||[[1438년]] [[4월 8일]]^^([[음력]] [[3월 5일]])^^ || || '''[[본관|{{{#gold 본관}}}]]''' ||[[고성 이씨]] 도촌공파 || || '''{{{#gold 부모}}}''' ||부친 - 이운로(李云老)[br]모친 - [[경주 이씨]] 이전(李竱)의 딸 || || '''{{{#gold 부군}}}''' ||[[태종(조선)|태종]] || || '''{{{#gold 자녀}}}'''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태종(조선)|태종]]의 후궁. 태종이 왕위에서 물러나 상왕으로 있을 때 맞이하였다. 아버지는 가선대부[* 종2품의 하계(下階) 문관의 품계이다. ] 종성군 이운로(李云老)[*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적개공신에 녹훈되었다.]이며, 어머니는 이전(李竱)의 딸 [[경주 이씨]]이다. 또한, 그녀의 증조부는 [[고려]] [[우왕]]의 제1비 [[근비 이씨]]의 아버지이자 [[문하시중]]을 지낸 이림이다. == 생애 == 1422년(세종 4) [[신순궁주]]와 함께 입궁하여 후궁이 되었다. 당시의 기록에는 "또 홀로 된 여자 이씨를 맞아들였으니, 이운로(李云老)의 딸이었다"고 썼는데, 혜순궁주 역시 한 번 혼인한 적이 있는 과부였다.[* 세종실록 15권, 세종 4년 1월 6일 갑자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401006_002|#]] ] 1438년(세종 20)에 세상을 떠나자 세종이 쌀과 콩을 합쳐 70석을 부의하였다. [[분류:조선의 후궁]][[분류:1438년 사망]][[분류:고성 이씨 도촌공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