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목차] == 개요 ==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의 미니 게임 일람. == 사냥터 == [[파일:사냥터.jpg]] 전작에 비해 난이도는 쉬워졌다. --대신 보상이 안 좋아졌다.-- 제로 던에서도 동일한 컨텐츠가 있었으나, 후술할 투기장의 존재 때문인지 수는 본작이 더 적다. 원래는 테낙스 사냥터 관리자에 따르면, 피의 습격 이후 테낙스의 사냥터를 본 카르자 사람들이 따라 만들었다고 한다.[* 단 전작의 DLC에서의 바누크 측에서도 카르자가 따라 만들었다고 하는 걸 보아 신빙성이 적다.] {{{#!folding [ 시험 목록 ] ||
사냥터 || 시험 || 목표 || 1/4 시간 || 1/2 시간 || 1/1 시간 || ||<^|3> 다운트 ||<^|1>파쇄 시험 ||스크라운저의 동력 전지를 쏴서 떨어뜨린 후 입수하십시오. (2개) || 10:00 || 02:30 || 01:30 || ||<^|1>감전 시험 ||스크라운저의 동력 전지를 감전 탄약으로 과부화시켜 주변 기계들을 감전시키십시오. (3마리) || 10:00 || 04:30 || 03:00 || ||<^|1>감전 및 함정 시험 ||사냥처에 존재하는 환경 함정을 이용해 감전 상태에 빠진 기계들을 처치하십시오. (3마리) || 10:00 || 05:00 || 03:00 || ||<^|3> 평야의 노래 ||<^|1>무음 입수 시험 ||기계에게 발각되거나 피해를 입히지 않고 보급품 보관함을 노획하십시오. (3개) || 10:00 || 04:30 || 03:30 || ||<^|1>무음 공격 시험 ||무음 공격 및 낙하 공격으로 기계를 처치해 발각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십시오. (3마리) || 10:00 || 02:30 || 01:30 || ||<^|1>무음 활강 시험 ||실드윙을 활용해 발각되지 않고 기계들의 위를 활강하며, 상공에서 기계를 처치하십시오. (2마리) || 10:00 || 02:00 || 01:00 || ||<^|3> 낭떠러지 절벽 ||<^|1>냉기 시험 ||벨로우백에게 냉기 탄약을 사용해 냉각 상태로 만든 후, 화물 정제 주머니를 파괴하십시오. (3마리) || 10:00 || 04:00 || 03:00 || ||<^|1>분쇄기 잡기 시험 ||분쇄기로 기계를 3번 명중시키십시오. 되돌아 올 때마다 붙잡는 데 성공하면 분쇄기가 충전됩니다. 완전히 충전된 후에 분쇄기로 기계를 명중시켜 막대한 대미지를 입히십시오. (2번) || 10:00 || 03:00 || 02:00 || ||<^|1>플라스마 폭발 시험 ||롤러백에게 플라스마 탄약을 사용해 플라스마가 축적되면 플라스마 폭발 상태가 발동하며, 타이머가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타이머가 끝났을 때 가장 강력한 폭발을 일으키려면, 기계에게 최대한의 대미지를 입히십시오. (2번) || 10:00 || 03:00 || 02:00 || ||<^|3> 비의 흔적 ||<^|1>감전 및 제거 시험 ||트레머터스크에게 감전 탄약을 사용해 감전 상태에 빠지게 만든 다음, 엄니를 쏴서 떨어뜨리십시오. (2개) || 10:00 || 03:00 || 02:00 || ||<^|1>탑승 상태의 전투 시험 ||클로스트라이더를 강제 전환시켜 탑승한 다음, 클로스트라이더로 다른 기계들을 처치하십시오. (2마리) || 10:00 || 03:00 || 02:30 || ||<^|1>중화기 시험 ||트레머터스크의 캐논 중 하나를 쏴서 떨어뜨린 후, 그 캐논으로 기계를 처치하십시오. (3마리) || 10:00 || 04:00 || 03:00 ||}}} ## == 근접전 전투장 == [[파일:근접전 전투장.jpg|width=400]] 이번에 추가된 전투장으로 특별한 보상은 없고 전사 스킬 중 콤보기술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만든 전투 장소이다. 3개의 전투장을 클리어하고 인내하는 자를 이기면 창을 업그레이드 해준다. 전투장을 하기 위해선 각 전투장에 맞는 스킬을 찍어야 한다. '''투기장과 마찬가지로 전투장의 마지막 도전이 엄청난 숙련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난이도를 낮춰서 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래도 어려운 건 기분 탓..?-- {{{#!folding [ 시험 내용 ] ||
'''전투장 이름'''||'''단계'''|| '''스킬 내용''' ||'''제한 시간'''|| '''보상''' || '''해금 조건'''[* 연습과 도전을 해금하려면 튜토리얼을 다 완료해야 한다.] || || 사슬갈이 || 튜토리얼 || || - || - || 각각에 맞는 스킬 해금 || || 사슬갈이 || 연습 || || || - || - || || 사슬갈이 || 연습 || || || - || - || || 사슬갈이 || 연습 || || || - || - || || 사슬갈이 || 연습 || || || - || 모든 연습 완료 || || 사슬갈이 || 도전 || || || - || - || || 사슬갈이 || 도전 || || || - || - || || 사슬갈이 || 도전 || || || - || - || || 사슬갈이 || 도전 || - || || - || 모든 도전 완료 || || 방어벽 || 튜토리얼 || || - || - || 각각에 맞는 스킬 해금 || || 방어벽 || 연습 || || || - || - || || 방어벽 || 연습 || || || - || - || || 방어벽 || 연습 || || || - || 모든 연습 완료 || || 방어벽 || 도전 || || || - || - || || 방어벽 || 도전 || || || - || - || || 방어벽 || 도전 || - || || 인증 표식[* 이걸 모아서 인내하는 자 한테 줘야 대적할 자격을 얻는다] || 모든 도전 완료 || || 가시늪|| 튜토리얼 || || - || - || 각각에 맞는 스킬 해금 || || 가시늪|| 연습 || || || - || - || || 가시늪 || 연습 || || || - || - || || 가시늪 || 연습 || || || - || 모든 연습 완료 || || 가시늪 || 도전 || || || - || - || || 가시늪 || 도전 || || || - || - || || 가시늪 || 도전 || - || || 인증 표식 || 모든 도전 완료 || || 달아오른 창 || 튜토리얼 || || - || - || 각각에 맞는 스킬 해금 || || 달아오른 창 || 연습 || || || - || - || || 달아오른 창 || 연습 || || || - || - || || 달아오른 창 || 연습 || || || - || 모든 연습 완료 || || 달아오른 창 || 도전 || || || - || - || || 달아오른 창 || 도전 || || || - || - || || 달아오른 창 || 도전 || - || || 인증 표식 || 모든 도전 완료 || || 인내하는 자 || - || - || - || 창 강화[* 일회성이다.] || 모든 인증 표식 수집 ||}}} ## == 기계 스트라이크 == [[파일:기계 스트라이크.jpg|width=400]] ## 개요, 피스 획득 테낙스 부족이 개발한 2인용 보드게임으로, 기계를 본 뜬 말(피스)을 사용한다. 피스는 총 40종류[* 채리오트 기계(커럽터)나 파 제니스의 기계는 당연히 없고, 비전투 기계인 톨넥과 사실상 플라우혼의 변종인 그림혼도 없다. 다만, 트래커 버로워나 원소 클로스크라이더는 변종임에도 피스가 존재한다.] 있으며, 각 스트라이크 플레이어를 3개의 준비된 판에서 모두 승리하여 보상으로 받거나, 각 사냥터에 있는 피스 장인이나 투기장 입구에 있는 마스터 플레이어 '레익타'에게서 각 기계의 서큘레이터와 교환하여 얻을 수 있다.[* 정해진 피스를 1개씩만 판매하는 장인들과 달리, 레익타에게서는 모든 종류의 피스를 피스별 보유 최대 수량인 4개가 될 때까지 구매가 가능하다. 단, 레익타와 스트라이크를 플레이하거나 피스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최상급 플레이어 '비칼로'의 모든 피스 세트를 다 이겨야하므로, 피스를 어느정도 갖출 필요가 있다.] 동일한 피스는 4개까지만 배치가능하기 때문에, 보유 수량도 이에 맞춰져 있다. {{{#!folding [ 피스 종류 ] ||
위치 || 구매 가능 피스 || || 다운트 ||{{{#BCB5AD 버로워}}}, {{{#BCB5AD 스크라운저}}}, {{{#67946D 브리슬백}}}, {{{#67946D 차저}}}, {{{#67946D 팽혼}}} || || 평야의 노래 ||{{{#BCB5AD 그레이저}}}, {{{#BCB5AD 리프래셔}}}, {{{#BCB5AD 스크래퍼}}}, {{{#67946D 글린트호크}}}, {{{#67946D 롱레그}}}, {{{#67946D 스카이드리프터}}}, {{{#67946D 와이드모}}}, {{{#67946D 클로스트라이더}}}, {{{#67946D 플라우혼}}} || || 낭떠러지 산맥 ||{{{#BCB5AD 스파이크스나웃}}}, {{{#BCB5AD 트래커 버로워}}}, {{{#67946D 래비저}}}, {{{#67946D 랜스혼}}}, {{{#67946D 셸-워커}}}, {{{#67946D 스냅모}}}, {{{#5782A4 록브레이커}}}, {{{#5782A4 롤러백}}}, {{{#5782A4 스코처}}}, {{{#5782A4 프로스트클로}}} || || 비의 흔적 ||{{{#67946D 벨로우백}}}, {{{#67946D 붉은 눈 와처}}}, {{{#67946D 선윙}}}, {{{#5782A4 베히모스}}}, {{{#5782A4 스토커}}}, {{{#5782A4 원소 클로스트라이더}}}, {{{#5782A4 클램버죠}}}, {{{#C57835 파이어클로}}} || || 투기장 입구 ||{{{#5782A4 드레드윙}}}, {{{#5782A4 타이드리퍼}}}, {{{#5782A4 셸스내퍼}}}, {{{#5782A4 스톰버드}}}, {{{#5782A4 썬더죠}}}, {{{#5782A4 슬리더팽}}}, {{{#5782A4 트레머터스크}}}, {{{#C57835 슬로터스파인}}} 포함 모든 피스 ||}}} ## ##플레이어 각 마을에는 스트라이크 플레이어가 1명씩 있으며, 서부 금역 전체에 초급, 중급, 중상급, 상급, 최상급 플레이어가 3명씩, 그리고 마스터가 1명 존재한다. 각 플레이어는 정해진 보드와 3개[* 스트라이크 튜토리얼을 맡은 사슬갈이의 '살마'는 4개의 세트를 갖고 있다.]의 피스 세트를 갖고 있으며, 모두 승리할 경우 보상으로 피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난이도별 플레이어 3명에게서 모두 승리하면 기술 포인트도 2포인트씩 받을 수 있다. 마스터는 피스 세트를 1개만 갖고 있으며, 해당 게임에서 승리할 경우 피스와 1 기술 포인트를 받을 수 있으며, 무작위 보드도 해금된다. 또한, 이들 말고도 기지에서 에렌드 합류 후부터 메인 퀘스트 "특이점" 진행 전까지 에렌드와도 무작위 보드로 스트라이크를 플레이할 수 있다. {{{#!folding [ 플레이어 목록 ] ||
난이도 || 위치 || 첫번째 보드 || 두번째 보드 || 세번째 보드 || 보상 || ||<^|3> 초급 ||<^|1>사슬갈이-살마[br](튜토리얼) ||<^|1>2×{{{#BCB5AD 버로워}}} ---- 2×{{{#BCB5AD 버로워}}}[br]2×{{{#67946D 랜스혼}}} ||<^|1>2×{{{#BCB5AD 버로워}}}[br]2×{{{#BCB5AD 스크라운저}}}[br]2×{{{#67946D 랜스혼}}} ||<^|1>2×{{{#BCB5AD 버로워}}}[br]2×{{{#BCB5AD 스크라운저}}}[br]2×{{{#67946D 랜스혼}}}[br]1×{{{#67946D 브리슬백}}} ||<^|1>{{{#67946D 브리슬백}}} || ||<^|1>황량한 빛 ||<^|1>2×{{{#BCB5AD 그레이저}}}[br]1×{{{#67946D 차저}}}[br]2×{{{#67946D 랜스혼}}}[br]1×{{{#67946D 롱레그}}} ||1×{{{#BCB5AD 그레이저}}}[br]1×{{{#BCB5AD 버로워}}}[br]1×{{{#67946D 스카이드리프터}}}[br]1×{{{#67946D 플라우혼}}}[br]1×{{{#67946D 차저}}}[br]1×{{{#67946D 브리슬백}}} ||<^|1>1×{{{#BCB5AD 스크라운저}}}[br]1×{{{#67946D 롱레그}}}[br]1×{{{#67946D 브리슬백}}}[br]1×{{{#67946D 팽혼}}}[br]1×{{{#67946D 와이드모}}} ||<^|1>{{{#67946D 차저}}} || ||<^|1>평야의 노래 ||<^|1>1×{{{#BCB5AD 스크래퍼}}}[br]2×{{{#67946D 차저}}}[br]1×{{{#67946D 롱레그}}}[br]1×{{{#67946D 팽혼}}} ||<^|1>2×{{{#BCB5AD 트래커 버로워}}}[br]1×{{{#BCB5AD 스크래퍼}}}[br]2×{{{#67946D 랜스혼}}} ||1×{{{#BCB5AD 스크래퍼}}}[br]2×{{{#BCB5AD 리프래셔}}}[br]1×{{{#67946D 스카이드리프터}}}[br]1×{{{#67946D 차저}}}[br]1×{{{#67946D 글린트호크}}} ||<^|1>{{{#67946D 플라우혼}}} || ||<^|3> 중급 ||<^|1>화살 쥔 손 ||1×{{{#BCB5AD 그레이저}}}[br]1×{{{#BCB5AD 스크래퍼}}}[br]1×{{{#67946D 팽혼}}}[br]1×{{{#67946D 글린트호크}}}[br]1×{{{#67946D 선윙}}} ||<^|1>1×{{{#BCB5AD 스크래퍼}}}[br]1×{{{#67946D 스카이드리프터}}}[br]1×{{{#67946D 팽혼}}}[br]1×{{{#67946D 래비저}}} ||1×{{{#BCB5AD 스크라운저}}}[br]1×{{{#67946D 랜스혼}}}[br]1×{{{#67946D 브리슬백}}}[br]1×{{{#67946D 팽혼}}}[br]1×{{{#67946D 클로스트라이더}}} ||<^|1>{{{#67946D 스카이드리프터}}} || ||<^|1>달아오른 창 ||1×{{{#BCB5AD 스크라운저}}}[br]1×{{{#67946D 롱레그}}}[br]1×{{{#67946D 와이드모}}}[br]1×{{{#5782A4 스토커}}} ||1×{{{#BCB5AD 스크라운저}}}[br]1×{{{#BCB5AD 스크래퍼}}}[br]1×{{{#67946D 셸-워커}}}[br]1×{{{#5782A4 스토커}}} ||1×{{{#BCB5AD 그레이저}}}[br]1×{{{#67946D 벨로우백}}}[br]1×{{{#67946D 글린트호크}}}[br]1×{{{#5782A4 클램버죠}}} ||<^|1>{{{#67946D 벨로우백}}} || ||<^|1>소금 상처 ||1×{{{#67946D 브리슬백}}}[br]1×{{{#67946D 붉은 눈 와처}}}[br]1×{{{#5782A4 베히모스}}} ||1×{{{#67946D 플라우혼}}}[br]1×{{{#67946D 차저}}}[br]1×{{{#5782A4 셸스내퍼}}} ||1×{{{#67946D 롱레그}}}[br]1×{{{#67946D 브리슬백}}}[br]1×{{{#5782A4 록브레이커}}} ||<^|1>{{{#67946D 롱레그}}} || ||<^|3> 중상급 ||<^|1>돌마루 ||2×{{{#67946D 랜스혼}}}[br]1×{{{#67946D 브리슬백}}}[br]1×{{{#5782A4 클램버죠}}} ||<^|1>1×{{{#BCB5AD 리프래셔}}}[br]1×{{{#5782A4 슬리더팽}}} ||2×{{{#BCB5AD 그레이저}}}[br]1×{{{#67946D 와이드모}}}[br]1×{{{#5782A4 트레머터스크}}} ||<^|1>{{{#67946D 와이드모}}} || ||<^|1>방어벽 ||1×{{{#BCB5AD 버로워}}}[br]1×{{{#BCB5AD 스크래퍼}}}[br]1×{{{#67946D 래비저}}}[br]1×{{{#67946D 스냅모}}} ||<^|1>1×{{{#BCB5AD 스크래퍼}}}[br]1×{{{#67946D 랜스혼}}}[br]1×{{{#5782A4 셸스내퍼}}} ||<^|1>1×{{{#67946D 차저}}}[br]1×{{{#67946D 브리슬백}}}[br]1×{{{#5782A4 록브레이커}}} ||<^|1>{{{#67946D 래비저}}} || ||<^|1>망보는 절벽 ||1×{{{#BCB5AD 리프래셔}}}[br]1×{{{#67946D 와이드모}}}[br]1×{{{#5782A4 셸스내퍼}}} ||1×{{{#BCB5AD 버로워}}}[br]1×{{{#67946D 셸-워커}}}[br]1×{{{#5782A4 셸스내퍼}}} ||1×{{{#67946D 클로스트라이더}}}[br]1×{{{#5782A4 스토커}}}[br]1×{{{#67946D 스냅모}}} ||<^|1>{{{#67946D 클로스트라이더}}} || ||<^|3> 상급 ||<^|1>숨은 잉걸불 ||1×{{{#BCB5AD 그레이저}}}[br]1×{{{#BCB5AD 리프래셔}}}[br]1×{{{#67946D 스카이드리프터}}}[br]1×{{{#5782A4 셸스내퍼}}} ||1×{{{#BCB5AD 트래커 버로워}}}[br]1×{{{#BCB5AD 스크라운저}}}[br]1×{{{#67946D 브리슬백}}}[br]1×{{{#5782A4 베히모스}}} ||1×{{{#BCB5AD 스크라운저}}}[br]1×{{{#67946D 브리슬백}}}[br]1×{{{#67946D 클로스트라이더}}}[br]1×{{{#5782A4 롤러백}}} ||<^|1>{{{#5782A4 롤러백}}} || ||<^|1>폭포의 끝 ||1×{{{#BCB5AD 버로워}}}[br]1×{{{#BCB5AD 스크라운저}}}[br]1×{{{#67946D 스카이드리프터}}}[br]1×{{{#67946D 벨로우백}}}[br]1×{{{#67946D 선윙}}} ||<^|1>1×{{{#67946D 벨로우백}}}[br]1×{{{#67946D 래비저}}}[br]1×{{{#67946D 스냅모}}} ||<^|1>1×{{{#BCB5AD 스크라운저}}}[br]1×{{{#5782A4 슬리더팽}}} ||<^|1>{{{#67946D 선윙}}} || ||<^|1>가시늪 ||1×{{{#67946D 플라우혼}}}[br]1×{{{#67946D 랜스혼}}}[br]1×{{{#67946D 클로스트라이더}}}[br]1×{{{#67946D 셸-워커}}} ||<^|1>1×{{{#BCB5AD 그레이저}}}[br]1×{{{#BCB5AD 트래커 버로워}}}[br]1×{{{#5782A4 프로스트클로}}} ||<^|1>1×{{{#BCB5AD 버로워}}}[br]1×{{{#67946D 선윙}}}[br]1×{{{#5782A4 셸스내퍼}}} ||<^|1>{{{#5782A4 셸스내퍼}}} || ||<^|3> 최상급 ||<^|1>파도의 손길 ||<^|1>1×{{{#BCB5AD 스크라운저}}}[br]1×{{{#BCB5AD 리프래셔}}}[br]1×{{{#5782A4 스코처}}} ||1×{{{#BCB5AD 리프래셔}}}[br]1×{{{#BCB5AD 스파이크스나웃}}}[br]1×{{{#67946D 팽혼}}}[br]1×{{{#5782A4 타이드리퍼}}} ||1×{{{#BCB5AD 리프래셔}}}[br]1×{{{#67946D 팽혼}}}[br]1×{{{#67946D 와이드모}}}[br]1×{{{#67946D 래비저}}} ||<^|1>{{{#5782A4 스코처}}} || ||<^|1>레거시의 상륙지 ||<^|1>1×{{{#67946D 롱레그}}}[br]1×{{{#67946D 래비저}}}[br]1×{{{#5782A4 클램버죠}}} ||1×{{{#67946D 랜스혼}}}[br]1×{{{#67946D 브리슬백}}}[br]1×{{{#67946D 와이드모}}}[br]1×{{{#67946D 붉은 눈 와처}}} ||<^|1>1×{{{#5782A4 스토커}}}[br]1×{{{#5782A4 록브레이커}}} ||<^|1>{{{#5782A4 록브레이커}}} || ||<^|1>방어벽 입구-비칼로 ||1×{{{#BCB5AD 스크라운저}}}[br]1×{{{#BCB5AD 스크래퍼}}}[br]1×{{{#67946D 와이드모}}}[br]1×{{{#5782A4 롤러백}}} ||1×{{{#BCB5AD 스크라운저}}}[br]1×{{{#67946D 플라우혼}}}[br]1×{{{#67946D 붉은 눈 와처}}}[br]1×{{{#5782A4 원소 클로스트라이더}}} ||1×{{{#67946D 스카이드리프터}}}[br]1×{{{#67946D 플라우혼}}}[br]1×{{{#67946D 롱레그}}}[br]1×{{{#5782A4 클램버죠}}} ||<^|1>{{{#5782A4 원소 클로스트라이더}}} || ||<^|1> 마스터 ||<^|1>방어벽 입구-레익타 ||1×{{{#BCB5AD 그레이저}}}[br]1×{{{#67946D 클로스트라이더}}}[br]1×{{{#5782A4 타이드리퍼}}} || || ||<^|1>{{{#5782A4 썬더죠}}} ||}}} ## ## 기계 종류, 장갑과 약점 기계는 공격 방식에 따라 타격, 사격, 충돌, 돌진, 급강하, 견인 6타입으로 구분된다. 수생 기계(셸스내퍼 포함)는 견인 타입, 비행 기계는 무조건 급강하 타입이다. 또, 돌진 패턴이 있는 기계 중 대형은 돌진 타입, 소형/중형은 충돌 타입이며, 그 외는 원거리 공격 위주면 사격, 근거리 공격 위주면 타격으로 분류되어 있다. * '''타격{{{#ffffff,#1f2023 류}}}''': 공격 범위 내 가장 가까운 기계만 공격 가능 * '''사격{{{#ffffff,#1f2023 류}}}''': 공격 범위 끝에 있는 기계만 공격 가능 * '''충돌{{{#ffffff,#1f2023 류}}}''': 타격+대상 기계를 뒤로 밀고, 그 기계가 있던 지형으로 이동 * '''돌진{{{#ffffff,#1f2023 류}}}''': 공격 범위 끝으로 이동하면서, 피아구분없이 경로상 모든 기계에게 대미지를 주고 강제 180도 회전 * '''급강하''': 타격+대상 기계 옆으로 이동; 모든 지형의 전투력 영향과 이동 패널티를 무시, 전투력 +1 * '''견인{{{#ffffff,#1f2023 류}}}''': 타격+대상 기계를 앞으로 당김; 습지 지형에서 전투력 +1, 이동 패널티 무시 [[파일:기계 스트라이크 타일&아머.jpg|width=400]] 또한, 피스의 정면, 측면[* 보통은 좌우가 동일하나, 유일하게 셸-워커만 실제 오른쪽에 방어막이 있는 것을 고증하여 우측만 장갑 보호 부위다.], 후면 4개 방향에 실제 기계처럼 장갑 보호 부위와 약점 부위가 존재하여, 파란색으로 표시된 장갑 보호 부위는 방어시 전투력 +1, 빨간색으로 표시된 약점은 방어시 전투력 -1이 된다. ## 보드(지형), 스킬 8×8의 격자 형태의 보드 각 칸은 협곡, 습지, 초원, 삼림, 언덕, 산악 6가지 중 하나의 지형으로 되어있으며,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대칭을 이룬다. 각 지형은 색과 높낮이로 구분이 가능하며, 높이에 따라 전투력(추가 공격력/방어력)에 영향을 준다.(초원을 기준(0)으로, 협곡은 -2, 산악은 +3) 또한, 협곡은 급강하 타입으로만 접근 가능하며, 습지는 이동 범위에 여력이 있어도 한 번 멈춰서게 한다. 그 외에도 기계의 스킬 대다수가 지형의 영향을 받거나, 역으로 지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특정 지형에서 전투력+1 * 가속(초원), 잠행(삼림), 고지(언덕), 등반(산악) * 특정 지치에 위치한 기계 공격시 다른 지형으로 변화 * 냉동(습지→초원), 성장(초원→삼림), 소각(삼림→초원) * 지형 변화 : 해당 기계 지형-1, 상대 기계 지형+1 * 지형과 관련 없는 스킬 * 분사 : 매턴 시작시, 공격 범위내 모든 기계 체력-1 * 강화 : 매턴 시작시, 공격 범위내 아군 기계 공격력+1, 중첩O, 유지X[* 정작 실제로 '증폭'(아군 기계 강화) 능력이 있는 스파이크스나웃과 트레머터스크 피스는 해당 스킬이 없고, 리프래셔와 롱레그가 강화 스킬을 갖고 있다. 이 둘은 공통적으로 2족 보행을 하며, 점프 공격 패턴이 있는데, 강화 스킬을 활용하려면 공격 범위내에 아군 기계들을 최대한 포함하도록 분주히 움직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운용측면에선 꽤 어울린다.] * 실명 : 매턴 시작시, 공격 범위내 적군 기계 공격력-1, 중첩O, 유지X[* 강화와 마찬가지로 '대미지 약화' 능력이 있는 스파이크스나웃과 드레드윙 피스는 해당 스킬이 없다. 대신 해당 스킬을 가진 유일한 기계, 붉은 눈 와처는 '실명' 상태이상을 사용하긴 한다.] * 채찍질 : 매턴 시작시, 공격 범위내 모든 기계 180도 회전 * 방어막 : 방어시 전투력+1 * 휩쓸기 공격 : 대상 기계 양옆의 기계도 공격 * 반격 : 공격당한 방향으로 회전, 공격한 기계가 공격 범위내 있을 경우 1대미지 부여 ## 플레이 방법 양 플레이어는 최소 7 최대 10 코스트 범위내에서 피스를 구성하고, 자신 앞 두 줄에 번갈아가며 배치한다. 배치와 게임 시작 후 턴을 누가 먼저 시작할지는 AI 플레이어가 선택한다. 매 턴마다 각 플레이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피스를 이동+공격시킬 수 있다. 이동과 공격의 순서는 상관없고, 공격을 안해도 무관하나, 이동은 반드시 해야 턴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가진 피스가 하나[* 처음부터 하나였거나, 다른 피스가 모두 파괴된 경우 무관.]인 경우는 해당 피스를 두 번 사용할 수 있다. 상대 플레이아의 기계가 파괴될 때 해당 기계의 코스트만큼을 승리 포인트(VP)로 얻으며, 먼저 7포인트 이상 획득하는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무승부는 없기 때문에 동시 달성하는 경우는 행동 중인 플레이어가 우승한다. 또한, 이하의 특수 규칙도 존재한다. * 질주: 공격을 포기하고 원래 이동 범위보다 한 칸 더 이동 * 과부하: 모든 행동 후 기계의 체력을 2 소모해 이동·공격 중 하나를 한 번 더 가능 * 방어 붕괴: 공격시 대상보다 전투력이 같거나 낮으면 양쪽 모두 체력이 1 감소 * 밀어내기: 밀어내거나 당기는 판정을 받을 때, 이동할 장소에 다른 기계가 있거나 보드의 끝 혹은 협곡이거나 하여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1대미지를 받는다. 이 때, 밀리는 방향에 기계가 (연속되어) 있다면 이 기계(들)도 같이 1대미지를 받는다.[* 때문에 견인 타입은 바로 앞에 붙어서 공격할 경우 자해 대미지를 받는다. 특히 방어 붕괴 판정인 경우 양측 모두 위치 변경 없이 체력이 -2되기 때문에 붙어서 공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folding [ 피스 목록 ] ||
이름 || VP || 종류 || 정면 || 측면 || 후면 || 기술 || 공격력 || 공격범위 || 이동범위 || 체력 || ||그레이저 || 1 || 충돌 || 강 || 약 || || 가속 || 1 || 1 || 2 || 4 || ||버로워 || 1 || 타격 || 강 || || 약 || || 2 || 1 || 2 || 4 || ||트래커 버로워 || 2 || 타격 || 강 || || 약 || 지형 변화 || 2 || 1 || 2 || 4 || ||스크라운저 || 1 || 타격 || 강 || || 약 || || 2 || 1 || 3 || 5 || ||스크래퍼 || 2 || 사격 || 강 || || 약 || || 3 || 2 || 2 || 5 || ||리프래셔 || 1 || 타격 || 강 || || 약 || 강화 || 1 || 1 || 4 || 3 || ||스파이크스나웃 || 1 || 타격 || 강 || || 약 || || 2 || 1 || 2 || 5 || ||스카이드리프터 || 2 || 급강하 || 강 || || 약 || || 2 || 3 || 2 || 6 || ||플라우혼 || 2 || 충돌 || 강 || || 약 || 성장 || 2 || 1 || 2 || 5 || ||차저 || 2 || 돌진 || 강 || || 약 || 가속 || 2 || 2 || 3 || 4 || ||랜스혼 || 2 || 충돌 || 강 || 약 || || 등반 || 2 || 2 || 2 || 5 || ||롱레그 || 2 || 사격 || 강 || || 약 || 강화 || 1 || 2 || 4 || 6 || ||브리슬백 || 2 || 충돌 || 강 || || 약 || 분사 || 2 || 1 || 3 || 4 || ||팽혼 || 2 || 충돌 || 강 || 약 || || 고지 || 2 || 2 || 2 || 5 || ||붉은 눈 와처 || 3 || 사격 || 약 || 강 || || 실명 || 2 || 2 || 2 || 5 || ||와이드모 || 3 || 견인 || 강 || || 약 || || 3 || 2 || 2 || 7 || ||클로스트라이더 || 3 || 타격 || 강 || || 약 || || 3 || 2 || 2 || 8 || ||원소 클로스트라이더 || 4 || 사격 || 강 || || 약 || 소각 || 3 || 2 || 2 || 8 || ||벨로우백 || 3 || 사격 || 강 || 약 || 약 || 분사 || 3 || 2 || 2 || 7 || ||글린트호크 || 2 || 급강하 || 약 || || 강 || || 2 || 3 || 3 || 5 || ||셸-워커 || 3 || 타격 || 강 || 우강 || 약 || 방어막 || 2 || 1 || 2 || 7 || ||스토커 || 4 || 타격 || 강 || || 약 || 잠행 || 4 || 2 || 3 || 5 || ||래비저 || 4 || 사격 || 강 || || 약 || 휩쓸기 공격 || 2 || 2 || 2 || 9 || ||스냅모 || 3 || 견인 || 강 || || 약 || || 3 || 3 || 2 || 7 || ||선윙 || 3 || 급강하 || 약 || || 강 || || 3 || 2 || 3 || 7 || ||클램버죠 || 4 || 타격 || 강 || || 약 || 잠행 || 3 || 1 || 3 || 8 || ||롤러백 || 4 || 타격 || 강 || 강 || 약 || 반격 || 3 || 2 || 3 || 5 || ||록브레이커 || 6 || 사격 || || 강 || 약 || 지형 변화 || 3 || 2 || 3 || 9 || ||베히모스 || 5 || 사격 || 강 || 약 || || 방어막 || 3 || 2 || 2 || 10 || ||드레드윙 || 5 || 급강하 || 강 || || 약 || 채찍질 || 3 || 3 || 2 || 9 || ||타이드리퍼 || 6 || 견인 || || 강 || 약 || || 4 || 3 || 2 || 10 || ||셸스내퍼 || 6 || 견인 || 약 || 강 || 강 || || 3 || 3 || 2 || 10 || ||스톰버드 || 6 || 급강하 || 강 || || 약 || 휩쓸기 공격 || 3 || 3 || 3 || 9 || ||썬더죠 || 6 || 돌진 || 강 || 약 || 강 || 휩쓸기 공격 || 3 || 2 || 3 || 10 || ||프로스트클로 || 7 || 타격 || 약 || 강 || || 냉동 || 4 || 2 || 2 || 10 || ||스코처 || 8 || 돌진 || 강 || || 약 || 소각 || 4 || 2 || 2 || 12 || ||슬리더팽 || 9 || 돌진 || 강 || || 약 || 지형 변화 || 4 || 3 || 2 || 12 || ||트레머터스크 || 5 || 돌진 || 강 || || 약 || 휩쓸기 공격 || 3 || 2 || 2 || 10 || ||파이어클로 || 7 || 타격 || 강 || || 약 || 소각 || 4 || 2 || 3 || 10 || ||슬로터스파인 || 10 || 타격 || 강 || 약 || || 분사 || 4 || 1 || 2 || 15 ||}}} ## == 건틀렛 도전 == [[파일:건틀렛 도전.jpg|width=400]] 이름은 건틀렛이지만 사실 전사활을 들고 경주하는 레이싱이다. 차저를 타고 전사활을 가지고 시작하며 경기 중 얻는 화살을 통해 앞, 뒤의 적을 맞춰 적과의 격차를 벌거나 창을 근접에서 사용하여 적을 공격할 수도 있다. 경주로에서 일정 간격마다 화살, 함정, 부스터 아이템이 있는데 이를 활용해서 결승전까지 가면 된다. 아이템은 한 번에 한 종류만 사용가능하고 새로운 아이템을 얻으면 전 아이템은 사라진다. 전사활에 사용하는 화살류와 즉시 사용하는 아이템이 있다. {{{#!folding [ 아이템 ] ||
'''이름''' ||'''효과''' || '''개수''' || || 일반 화살 || 적이나 차저 적중 시 일정 확률로 기절 효과 || 5개 || ||감전화살 || 적이나 차저 적중 시 감전 상태이상 부여 || 3개 || || 클로블래스트 화살 || 적이나 차저 적중 시 타격 지점에서 큰 폭발 발생, 주변 적 기절 효과 || 1개 || || 전류 함정 || 사용 시 자신의 바로 밑에 설치되고 밟은 적 주변 넓은 범위로 감전 효과 || 1개 || ||차저 부스터 || 사용 시 짧은 시간 동안 차저의 이동속도가 크게 증가 || 1개 ||}}} ## {{{#!folding [ 레이싱 내용 ] ||
'''건틀렛 도전 이름'''||'''위치''' ||'''보상'''[* 퀘스트에서 주는 보상은 제외] ||'''해금 조건''' || || 매마른 갈망 || 기지에서 서쪽 방향 || - || -[* 장소 찾아가기] || || 비명의 절벽 || 서쪽 끝 해안선[* 특이점 퀘스트 시 찾아가는 모닥불] || - || 매마른 갈망 완료 || || 백골의 눈물 || 맵에서 북서 끝 방향 || - || 비명의 절벽 완료 || || 고요한 모래 || 맵의 중앙 사막, 차이나 타운 || 카르자의 숙적 || 백골의 눈물 완료 ||}}} ## == 투기장 == [[파일:투기장.jpg]] 상술한 '사냥터'나 본작부터 추가된 인간형 적을 상대로 싸우는 '격투장' 외에도 '투기장'이라는 컨텐츠가 존재한다. 메인 퀘스트 '쿨루트' 이후 기념의 나무숲 뒤쪽으로 투기장 입구가 생기며 그곳에서 투기장 개방을 위한 사이드 퀘스트를 받을 수 있다. 이곳에서 도적 우두머리를 잡았을 때 주는 표식을 거래할 수 있고 투기장 매달을 교환할 수 있다.[* 전설 무기의 절반이 투기장매달을 교환해서 얻는다.] 각 스테이지 별 제한 시간이 다른데 시간 내에 깨지 못하더라도 다음 스테이지를 열 수 있다.[* 매달은 받지 못 한다.] 내려가는 즉시 모든 기계에게 발각되고[* 스토커 제외] 클리어 후에 투기장 전투 중 사용한 아이템은 다시 복구된다. 다음 난이도를 가기 위해선 전 난이도의 마지막 스테이지를 깨야 한다. 각 난이도에서 마지막 스테이지는 고정된 장비, 스킬 트리로 플래이 하고 클리어 시간이 온라인으로 기록된다.[* 용사 난이도에서는 모두 온라인으로 기록된다] '''난이도가 말도 안되기 때문에 본인이 소울류를 즐기는 엄청난 실력자가 아니라면 난이도를 낮춰서 도전 하는 것을 권장한다.''' {{{#!folding [ 전투 내용 ] ||
'''난이도 단계''' || '''스테이지''' || '''출현 기계''' || '''시간''' || '''보상''' || '''해제 조건''' || '''도전 비용(샤드)''' || || 초보자 || 무리 사냥꾼 || 클로스트라이더 x2, 스크래퍼 x3 || 2분 30초 || 매달 x3 || - || 100 || || 초보자 || 기계 사냥꾼 || 롱레그 x1, 레비저 x1 || 3분 30초 || 매달 x5|| 무리 사냥꾼 완료 || 150 || || 초보자 || 전투 격리 || 롤러백 x1, 스파이크스나웃 x3 || 3분 || 매달 x6 || 기계 사냥꾼 완료 || 150 || || 초보자 || 재대결[* 매인퀘 중에 투기장에서 한 번 슬리더팽이랑 싸우기 때문.] || 슬리더팽 x1 || 5분 || 매달 x10 || 전투 격리 완료 || 250 || || 중급자 || 원소와의 싸움 || 산성 클로스트라이더 x1, 파이어 클로스트라이더 x1 || 1분 || 매달 x6 || 재대결 완료 || 100 || || 중급자 || 우리 전투[* 전투장에서 우리모양에 글림혼이 있기 때문.] || 글림혼 x2 || 1분 30초 || 매달 x8 || 원소와의 싸움 완료 || 150 || || 중급자 || 캐니스터 카오스[* 캐니스터 버로워가 많이 나와서 그렇다] || 정화수 캐니스터 버로워 x2, 와이드모 x2, 산성 캐니스터 버로워 x2 || 2분 30초 || 매달 x10 || 우리 전투 완료 || 150 || || 중급자 || 깊은 곳에서 부터 || 와이드모 x2, 타이드리퍼 x1 || 3분 30초 || 매달 x24 || 캐니스터 카오스 완료 || 250 || || 숙련자 || 비관적인 예상[* 글림혼이 등장하여 이름이 Grim prospection 비관적 예상이다] || 글림혼 x1, 레비저 x2 || 2분 30초 || 매달 x9 || 깊은 곳에서 부터 완료 || 100 || || 숙련자 || 불의 고리[* 스코처가 2마리나 나오기 때문.] || 스코처 x2 || 1분 20초 || 매달 x12 || 비관적인 예상 완료 || 150 || || 숙련자 || 고함 소동[* 영문이 Bellow combat 으로 밸로우백이 나와서 그렇다] || 셸스내퍼 x1, 불 밸로우백 x1, 산성 밸로우백 x1 || 2분 || 매달 x15 || 불의 고리 완료 || 150 || || 숙련자 || 트래머터스크 전투 || 트래머터스크 x1, 산성 클로스트라이더 x2 || 5분 || 매달 x16 || 고함 소동 완료 || 250 || || 전문가 || 최상위 드리프터 || 최상위 롤러백 x1, 최상위 스카이드리프터 x3 || 2분 || 매달 x15 || 트래머터스크 전투 완료 || 100 || || 전문가 || 하늘 위에서의 죽음[* 아마도 이카루스를 표현한게 아닐까 싶다.] || 선윙 x3 || 1분 30초 || 매달 x20 || 최상위 드리프터 완료 || 150 || || 전문가 || 폭풍이 부는 날씨[* 영문이 Stormy whether 으로 스톰버드가 등장하여서이다.] || 최상위 스톰버드 x1 || 2분 30초 || 매달 x25 || 하늘 위의에서의 죽음 완료 || 150 || || 전문가 || 두려운 조우 || 최상위 드레드윙 x1, 최상위 스파이크스나웃 x2 || 3분 || 매달 x40 || 폭풍우 날씨 완료 || 250 || || 전설 || 일렁이는 위협[* 아마도 스토커가 은신할 때 일렁이는 모습때문일 것 같다.] || 최상위 스토커 x4 || 1분 30초 || 매달 x32 || 두려운 조우 완료 || 100 || || 전설 || 고대의 오염[* 영문이 Ancient Corrupt 로 커럽터가 등장해서 그렇다.] || 커럽터 x3 || 2분 || 매달 x48 || 반짝이는 위협 완료 || 150 || || 전설 || 얼어붙은 야생[* 프로스트 클로가 처음 등장한 DLC의 이름에서 따온 것 같다.] || 최상위 프로스트클로 x2 || 2분 30초 || 매달 x64 || 고대의 오염 완료 || 150 || || 전설 || 최상위 포식자[* 썬더죠의 모티브가 티라노사우르스이기 때문이다.] || 최상위 썬더죠 x1, 최상위 스코처 x1 || 7분 30초 || 매달 x131 || 얼어붙은 야생 || 250 || || {{{#white 용사}}} || 최상위 워터윙 || 최상위 워터윙 x4 || 4분 30초 || 브림샤인 x2, 정예 무기 기술 코일 x1 || -[* 따로 조건은 없고 DLC를 사야 한다.] || 100 || || {{{#white 용사}}} || 짐승 싸움 || 최상위 클램버죠 x4, 최상위 바일것 x2 || 5분 30초 || 브림샤인 x3, 정예 낮은 체력 코일 x1 || 최상위 워터윙 완료 || 150 || || {{{#white 용사}}} || 야생불 || 최상위 스코처 x2, 최상위 클램버죠 x4 || 2분 30초 || 브림샤인 x4, 정예 회피 코일 x1 || 짐승 싸움 완료 || 150 || || {{{#white 용사}}} || 플라즈마 그리고 불 || 최상위 파이어클로 x1, 슬로터스파인 x1 || 5분 || 브림샤인 x5, 정예 근접 코일 x1 || 야생불 완료 || 250 ||}}} ## 버닝 쇼어즈 DLC가 추가되면서 투기장 난이도 단계도 더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