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계획취소)] [목차] == 정의 == 전통적인 [[철도]] 레일방식을 따라가지 않고 궤도 위에서 부양한 상태로 고속으로 달릴수 있는 [[고속철도]]의 일종이다. [[자기부상열차]]도 여기서 파생되어 나온 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qUXEFj0t7Ek|호버트레인의 원리와 취소된 이유.]] == 역사 == === 시초 === 1960년대 [[일본]]에서 시속 200km을 항속하는 [[신칸센]]이 개통되었으나, 기존 레일 방식의 철도는 시속 200km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고속에서의 차체 진동을 잡을수 없어서[* [[고속철도]] 기록들을 보면 [[TGV]] 등장 이전까지의 영업운전 속도는 200km/h 정도였다.] 고심을 하다가 나온게 '''바퀴를 없애서 레일과의 마찰을 없애자'''는 아이디어로 나온게 바로 이 호버트레인이다. 영국에서는 트랙 호버트레인(Tracked Hovercraft), 프랑스에서는 [[아에로트랭]]이라는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 [[베이퍼웨어]]로 남다 === 하지만 이 기술은 기존 노선과 전혀 [[호환]]되지 않았고, 공기 부양을 위해 [[가스터빈]]을 사용했기 때문에 [[오일쇼크]]직후 경쟁력에 타격을 입었다. 결정타로 철도기술의 발전으로 프랑스가 [[TGV]]를 개통하면서 결국 이 계획은 엎어졌다. === 유산 === 미국의 [[튜브트레인]], 독일의 [[자기부상열차]] 트랜스래피드가 사실 이 호버트레인의 유산이다. == 국가별 호버트레인 개발 == [[https://mnews.joins.com/article/1284339#home|기사]] * [[영국]] : 트랙 호버트레인(Tracked Hovercraft) * [[프랑스]] : [[아에로트랭]] * [[미국]] : [[튜브트레인]] * [[독일]] : 트랜스래피드 [[분류:고속철도]] [[분류:계획이 무산된 고속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