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보헤미아 공작)] ||<-3> '''보헤미아 전설상의 통치자[br]{{{+1 호스티비트}}}[br]Hostivít'''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ostivit.jpg|width=100%]]}}} || || '''제호''' ||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호스티비트[br](Hostivít)|| || '''출생''' ||||미상|| || '''사망''' ||||미상|| || '''자녀''' ||||[[보르지보이 1세]]?|| || '''형제''' ||||디폴트|| || '''아버지''' ||||[[네클란]]|| [목차] [clearfix] == 개요 == [[보헤미아]]의 전설상의 통치자. == 행적 == 12세기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 학장이자 연대기 작가이며 외교관으로도 활동했던 코스마스(Cosmas, 1045년경 ~ 1125년)가 집필한 <보헤미아 연대기>에 따르면, 보헤미아 7대 공작 [[네클란]]의 아들로, 동생으로 디폴트(Děpolt)가 있었다. 아버지가 사망한 뒤 보헤미아인들의 공작이 되었으며, 동생 디폴트는 코우르짐(Kouřim)의 통치자가 되었다. 코스마스는 역사에 등장하는 최초의 보헤미아 공작 [[보르지보이 1세]]가 그의 아들이라고 기술했고 대다수 학자들도 보르지보이 1세가 보헤미아 출신이라는 점에 동의했지만, 일부 학자들은 [[대 모라비아 왕국|모라비아 공국]]의 공작 [[라스티슬라프]]의 아들이라고 주장한다. 호스티비트(Hostivít)는 "손님을 환영하다"라는 의미이다. 체코의 영화 평론가이자 역사가이며 저널리스트이기도 한 자비시 칼란드라(Záviš Kalandra, 1902 ~ 1950)에 따르면, 호스티비트는 옛 슬라브어 요일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토요일]]에 해당한다고 한다. 체코의 민속학자 블라디미르 카르부시츠키(Vladimír Karbusický, 1925 ~ 2002)에 따르면, 그를 비롯한 보헤미아 역사의 신화적 인물 12명의 이름은 9세기에 보헤미아인이 [[프랑크 왕국]]에 보낸 고대 슬라브어 텍스트의 일부에서 유래했다. 이 텍스트에는 다음의 문구가 담겨 있었다. >"Krok‘ kazi tetha lubossa premisl nezamisl mna ta voj‘n ni zla kr‘z mis neklan gosti vit..." 카르부시츠키에 따르면, 이 문구는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고 한다. >"발걸음을 멈추세요, 테타[* 카르부시츠키는 이 용어는 당시 프랑크족의 지도자 이름이나 보헤미아에 거주하는 슬라브인들이 서쪽 이웃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리고 더 잘 생각하십시오. 나는 당신을 위해 전쟁이나 악행을 의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십자가]]에 절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손님을 환영합니다." [[분류:보헤미아 공작]][[분류:전설 및 신화 속 군주]][[분류:프르셰미슬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