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yler-Gracie.jpg|width=100%]]}}} || || '''{{{#white 이름}}}''' ||호일러 그레이시[br](Royler Gracie) || || '''{{{#white 국적}}}'''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8]][br][[미국]][* 2015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white 출생지}}}''' ||[[리우데자네이루]], [[리우데자네이루주|리우데자네이루]] [[파일:리우 데 자네이루 주기.png|width=28]] || || '''{{{#white 거주지}}}'''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파일:캘리포니아 주기.svg|width=28]] || || '''{{{#white 생년월일}}}''' ||[[1965년]] [[12월 6일]] ([age(1965-12-06)]세) || || '''{{{#white 그래플링 전적}}}''' ||41전 34승 6패 1무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Royler-Gracie-294| 11전 5승 5패 1무]] || || '''{{{#white 승}}}''' ||4SUB, 1판정 || || '''{{{#white 패}}}''' ||2KO, 1SUB, 2판정 || || '''{{{#white 체격}}}''' ||171cm / 73kg || ||<|10> '''{{{#white 주요 타이틀}}}''' ||1996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70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1997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무제한급 {{{#cd5c5c 동메달}}} ({{{#000000 블랙벨트}}}) || ||1997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70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1998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70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1999 IBJJF 세계 주짓수 선수권 대회 -70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1997 IBJJF 팬 아메리칸 주짓수 선수권 대회 -70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1999 IBJJF 팬 아메리칸 주짓수 선수권 대회 -70kg {{{#aa9872 금메달}}} ({{{#000000 블랙벨트}}}) || ||1999 [[ADCC]] -65kg {{{#aa9872 금메달}}} || ||2000 [[ADCC]] -65kg {{{#aa9872 금메달}}} || ||2001 [[ADCC]] -65kg {{{#aa9872 금메달}}} || || '''{{{#white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oylerGracie?t=4ulRXELMChY2gElaNsMHfQ&s=09, 크기=24)] [[https://m.facebook.com/roylergraciejj|[[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roylergracie?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종합격투기 선수. [[그레이시 가문]] 소속이며 엘리우 그레이시의 다섯째 아들이다.[* 둘째 아들로 알려져있으나 잘못된 정보이다. 호일러는 엘리우의 후처 소생이며 이 후처의 둘째 아들이란 사실이 와전된 것. 실제 엘리우의 차남은 헬슨 그레이시이다.] 90년대 후반 주짓수 경량급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주짓떼로이다. == 전적 == ※ 종합격투기 * 주요 승 : 아이번 리, [[아사히 노보루]], [[사노 나오키]], 미야타 카즈유키, 요시다 코지 * 주요 패 : [[사쿠라바 카즈시]], [[스도 겐키]], [[야마모토 노리후미]], [[토코로 히데오]], 우에다 마사카츠 * 무승부 : 무라하마 타케히로 ※ 그래플링 * 주요 승 : 아우렉산드리 지 프레차스(3), 파울루 브란당, [[비토 히베이로]], 비니시우스 마갈량이스, 레안드루 비에이라, 후안 바예스, 주엉 호키, 메우쇼르 마니부산, 바렛 요시다, 헨리 마타모로스, * 주요 패 : 히카르두 델 라 히바, [[마리오 스페리]], [[에디 브라보]] * 무승부 : [[에디 브라보]] == 커리어 == == 파이팅 스타일 == 그레이시 가문 출신답게 초창기 격투기 무대에서 출중한 주짓수 실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체격이 왜소한 편이라 완력등의 피지컬에서 많은 약세를 보였다. 그 결과 다른 형제인 힉슨이나 호이스에 비해 종합격투기에서 전적이 좋지 않은 편이다. 주짓수에서 그가 가진 위상에 비하면 너무 아쉬운 성적이다. 거기다 타격이나 레슬링 등의 다른 능력치도 다른 형제들에 비해 전무하다 싶이 한 것도 그가 부진했던 원인 중 하나이다. [[사쿠라바 카즈시]]와의 경기에서 이런 약점들을 모두 보여주는데 사쿠라바 또한 피지컬이 좋은편이 아니지만 그런 사쿠라바에게 완력에 밀려 시종일관 구겨졌고 결코 좋다고 할 수 없는 사쿠라바의 타격에 밀려 고전하다가 본인의 주 전장이라 할수 있는 그라운드에 가서도 결국 서브미션에 당해 패배하는 굴욕을 맛 봤다. 만약 그가 타격과 레슬링을 준비한 상태에서 격투기 무대에 뛰어 들었다면 그 또한 다른 형제들처럼 초창기 격투기 무대에서 좋은 커리어를 달성했을지 모른다. == 여담 == 90년대를 대표하는 주짓떼로지만 패배의 이펙트가 상당히 강한데 1987년 무패의 행진을 달리다 히카르두 델 라 히바[* 칼슨 그레이시휘하에서 블랙벨트를 수여받았으며 델 라 히바가드의 개발자이다.]에게 포인트로 인한 판정패를 겪으며 커리어 첫 패를 당했고 2003년 ADCC 준결승전에서 [[에디 브라보]]에게 트라이앵글 초크로 패배하는 이변을 당했다. 종합격투기에서도 [[사쿠라바 카즈시]]와 [[스도 겐키]]에게 패배하는 등 좋지않은 모습만 보였다. 슬하에 4명의 딸이 있다. [[분류: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그레이시 가문]][[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분류:브라질계 미국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1965년 출생]][[분류:리우데자네이루 출신 인물]][[분류:브라질의 주짓수 선수]][[분류:미국의 주짓수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