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헌법)] [include(틀:호주 관련 문서)] ||<-2> '''{{{+2 호주 헌법}}}[br]{{{+2 Constitution of Australia}}}''' || ||<-2> [[파일:호주 국장.svg|width=100%]] || || '''제정''' ||[[1900년]] [[7월 6일]] || || '''시행''' ||[[1901년]] [[1월 1일]] || || '''개정''' ||[[197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 헌법은 [[호주]]의 최고법이다. 의회 제정법(Act of Parliament)의 형태로 제정되어 있으며, 제헌 당시의 정식 제명은 호주 연방의 구성에 관한 법률(An Act to constitute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약칭은 호주 연방 헌법(Commonwealth of Australia Constitution Act 1900)이다. 이 법은 호주를 입헌군주제 하의 연방으로 구성하고, 호주 연방 정부의 삼권 분립과 각 부의 구조 및 권한을 규정하고 있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관계로 [[영국 의회]]는 호주에 적용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었다. 즉 호주 헌법은 본래 영국에서 제정된 법률이었으며, 현재에도 호주 연방 법제처에서는 본 법률을 영국의 법률(Act of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후 [[웨스트민스터 헌장]]이 영국 의회에서 제정되고 [[호주 의회]]에서 웨스트민스터 헌장 비준에 관한 법률 1942를 가결시키면서 호주 의회는 영국의 법률에 상충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 의회는 여전히 호주에 적용할 수 있는 법률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었고, 이 권한은 호주법 1986이 각각 호주 의회와 영국 의회를 통과하고서야 사라졌다. 호주 대법원도 영국과 호주가 완전히 분리된 시점을 호주법 1986이 통과된 시점으로 보고 있다. 한편 호주 헌법은 1900년 제정되어 현재까지 총 8번에 걸쳐 개정되었다. 마지막 개정은 1977년 한꺼번에 3개의 개정안이 통과되었을 때 이루어졌는데, 아래 내용은 그 개정 사항까지 반영한 것을 기준으로 했다. 헌법 제정 이후 개정은 모두 일부개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역대 헌법 개정안은 45개가 있었으며, 이중 8개만 국민투표를 통과하여 개정되었다. == 내용 == === 전문 === ||'''{{{#FFF 호주 연방의 구성에 관한 법률}}}''' || ||{{{-4 WHEREAS the people of [[뉴사우스웨일스|New South Wales]], [[빅토리아주|Victoria]],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outh Australia]], [[퀸즐랜드|Queensland]], and [[태즈메이니아|Tasmania]], humbly relying on the blessing of Almighty God, have agreed to unite in one indissoluble Federal Commonwealth under the [[영국 국왕|Crown]] of [[영국|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nd under the Constitution hereby established:[br]And whereas it is expedient to provide for the admission into the Commonwealth of other Australasian Colonies and possessions of the Queen:[br]Be it therefore enacted by the Queen’s most Excellent Majesty, by and with the advice and consent of the Lords Spiritual and Temporal, and Commons[* 여기서 본법이 [[영국]]의 법률임이 드러난다.], in this present Parliament assembled, and by the authority of the same, as follows:—}}} || ||'''전문'''[br][[뉴사우스웨일스]], [[빅토리아주|빅토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태즈메이니아]]의 인민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축복에 겸허히 의지하여, [[영국|대브리튼 및 아일랜드연합왕국]]의 [[영국 국왕|국왕]]과 다음과 같이 제정되는 헌법 아래, 불가분한 하나의 연방으로 연합하기로 동의하였고:[br]여왕 폐하의 다른 호주 식민지와 속령을 연방으로 편입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함이 시급하므로:[br]여왕 폐하께서는, 본 의회에 집회한 성직귀족과 상원귀족, 그리고 서민들의 권고와 동의, 그리고 그 권한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법률을 제정한다:— || == 본칙 == ===# 제1조 #=== ===# 제2조 #=== ===# 제3조 #=== ===# 제4조 #=== ===# 제5조 #=== ===# 제6조 #=== ===# 제7조 #=== ===# 제8조 #=== === [[호주 헌법/내용|제9조]] === ||'''{{{#FFF 호주 연방의 구성에 관한 법률}}}''' || ||{{{-2 '''9. Constitution'''}}}[br]{{{-4 The Constitution of the Commonwealth shall be as follows:—}}} || ||'''제9조 헌법'''[br]연방 헌법은 다음과 같다: || 하고, 쭉 헌법의 규정이 이어진다. 즉 호주 헌법의 실질적인 내용은 제9조 한 조문 아래 다른 법률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분류:호주]][[분류:외국의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