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란의 대외관계)] [include(틀:호주의 대외관계)] ||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100%]] || || [[호주|{{{#fff '''호주'''}}}]][br]''{{{#fff Australia}}}''[br]''{{{#fff استرالیا}}}'' || [[이란|{{{#ffffff '''이란'''}}}]][br]''{{{#fff ایران}}}''[br]''{{{#fff Iran}}}''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와 [[이란]]의 대외관계.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두 나라들은 1971년에 본격적으로 수교를 맺었다. 그러나 이란에서 [[이란 혁명]]이 나타난 이후 [[반미|반미, 반서방]] 성격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갈등도 있었다. 그러나 호메이니 사후 이란은 서구 국가들과 관계 개선, 교류를 다시 하면서 호주와 다시 여러 상호 교류들이 나타났다. === 21세기 === 하지만 여전히 이란의 인권문제와 핵문제와 관련하여 2008년 10월에는 호주는 이란 제재에 동참하기도 했으며, 2013년 1월에도 제재법을 개선하여 유지했다. 2014년 12월 이란인 만 하론 모나스가 [[시드니]]에서 테러를 시도하다 사살당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16713785|#]] 이 사건을 계기로 호주에서는 이란에서 망명한 난민들을 호주로 직접 수용하는 대신에 [[나우루]]의 난민 수용소에 감금하는 추세이다. 2018년 9월 이란에 있었던 영국계 호주인 교수를 스파이혐의로 체포해 2년간 억류시켰으며, 2020년 11월 말에 풀려났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092001&plink=ORI&cooper=NAVER|#]]. [[2022년 이란 시위]]와 관련해서 호주가 일명 '도덕 경찰'로 불리는 이란의 '지도 순찰대'(가쉬테 에르셔드) 등 2개 단체와 관계자 등 13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https://m.yna.co.kr/view/AKR20221211026300104?section=international/all|#]] == 상호 교류 == 양국간 경제 교류는 미미한 수준이다. 호주는 [[산유국]]에다가 주변에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같은 가까운 산유국도 있는데, 굳이 멀리 중동에서, 그것도 서방에 경제제재를 당하고 있는 이란에서 석유를 수입할 필요는 없다. 호주는 중동 국가들에 할랄 양고기와 버터, 치즈 등 농축산물을 주로 수출하는 상황인데, 식량 자급이 불가능한 걸프 아랍 왕정 국가들과 다르게 이란은 쌀을 제외한 식량 자원은 어느 정도 다 자급이 가능하다. 이란으로 여행을 하는 호주 관광객들이 있으며, 반대로 호주에 난민으로 유입된 이란인들도 많다. 2017년 기준 호주 인구 중 이란 출생자는 69,000여 명으로 조사되었다. 이란인들이 직접 호주로 망명하는 경우보다는 이란인들과 언어적, 문화적으로 유사한 아프가니스탄의 [[하자라인]] 난민들이 호주로 이민 정착하는 경우가 더 많다. == 대사관 == 1967년 [[테헤란]]에는 호주 대사관이 들어섰으며, 1971년에는 [[캔버라]]에 이란 대사관이 들어섰다. == 관련 문서 == * [[호주/외교]] * [[이란/외교]]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각주] [[분류:호주의 대국관계]][[분류:이란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