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주의 대외관계)] [include(틀:필리핀의 대외관계)] ||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100%]] || || [[호주|{{{#ffffff '''호주'''}}}]][br]''{{{#fff Australia}}}''[br]''{{{#fff Australya}}}'' || [[필리핀|{{{#fff '''필리핀'''}}}]][br]''{{{#fff Pilipinas}}}''[br]''{{{#fff Philippines}}}''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와 [[필리핀]]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영어권]]국가라는 공통점이 존재하며 여러 교류,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필리핀은 미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호주와 수교했다. 그리고 호주는 필리핀과 수교하기 이전에 일부 [[필리핀인]]들이 호주로 이주한 적이 있었다. 호주에 정착한 필리핀인들은 필리핀계 호주인이 되었다. 호주와 필리핀은 외교관계를 유지했지만, 당시 호주는 [[백호주의]]정책을 실시하면서 아시아계 이민을 제한했다. 이에 양국간에 갈등이 존재했다. [[냉전]]시절에 양국은 [[동남아시아 조약기구]]에 잠시 가입했다. 백호주의 정책이 폐지된 이후에는 호주로 수많은 필리핀인들이 이주했다. === 21세기 ===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하지만 필리핀에서 일어나는 범죄의 피해를 당하는 경우도 있어서 양국간에 갈등이 존재하기도 한다. 2016년 이후, [[로드리고 두테르테]] 정권이 출범하자 미국, 호주, 러시아, 중국 등이 필리핀에 군사지원을 하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632585?sid=104|#]] 2020년 이후, 호주가 미국과 협력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필리핀은 두테르테 정권 시절에 중국과 협력하는 양상을 보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06914?sid=104|#]] 하지만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호주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73683?sid=104|#]] ==== 2000년대 ==== 2003년 7월 14일, 호주와 필리핀 양국이 북핵 해결 다자간포럼을 제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410896?sid=104|#]] 2006년 10월 17일, 호주에서 필리핀인 용접공들이 인력모집회사에 의해 갑질을 당했다는 보도가 일어나자 호주 이민국이 조사에 나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0113926?sid=104|#]] 2007년 8월, 호주와 필리핀 양국 의회가 위안부 결의안을 추진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0243784?sid=104|#]] ==== 2010년대 ==== 2013년 3월 24일, 필리핀의 이슬람 반군에 억류되다 석방된 호주인의 몸값 출처를 두고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163889?sid=104|#]] 2015년 4월 27일, 호주 정부가 필리핀 출신 자폐아를 추방할려고 하자 호주 시민들이 당국에 청원서를 보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387784?sid=104|#]] 4월 28일, 인도네시아 정부의 사형 집행에 대해 호주와 필리핀, 나이지리아, 브라질 등 다른나라들이 비판하고 외교적 긴장감이 높아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390607?sid=104|#]] 6월 11일, 호주인과 결혼한 한 필리핀인 여성이 남편이 사망하면서 비자가 취소된 일이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653017?sid=104|#]] 10월 9일, 호주 정부가 필리핀 난민들을 필리핀에 재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필리핀 측과 논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906394?sid=104|#]] 10월 27일, 필리핀 정부는 호주의 난민 재정착 제안을 거절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702212?sid=104|#]] 2017년 11월 6일, 호주 정부는 마닐라 등 필리핀 전역에 여행경보를 내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661797?sid=104|#]] 2018년 4월 25일, 두테르테 대통령이 호주 출신 수녀가 두테르테 대통령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추방을 결정하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094543?sid=104|#]] 6월 18일, 필리핀 법무부가 호주 출신 수녀 추방에 제동을 걸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156889?sid=104|#]] 7월 2일, 호주와 필리핀 농구경기중에 난투극이 일어나 13명이 퇴장당한 일이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164783?sid=115|#1]][[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44&aid=0000561153|#2]] 7월 20일, 필리핀 이민국이 호주 출신 수녀에 대해 추방명령을 내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222028?sid=104|#]] 11월 1일, 호주 출신 수녀가 호주로 귀국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635643?sid=104|#]] 2019년 7월 1일, 필리핀 중부 해안에서 보트가 침몰해 호주인 3명과 필리핀인 2명이 구조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924472?sid=104|#]] ==== 2020년대 ==== 2021년 4월, 필리핀에서 귀국한 남성이 호주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인 뒤에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470313?sid=104|#]] 5월 17일, 필리핀에서 호주 출신 남성이 필리핀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착취 동영상을 제작한 뒤에 필리핀 당국에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187048?sid=104|#]] 2022년 1월 8일, 호주와 필리핀 양국에서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확진자가 크게 늘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832889?sid=104|#]] 5월 28일, 호주에 거주하던 필리핀인들이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의 호주 방문에 반대하는 시위를 진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86169?sid=104|#]] 11월 9일, 필리핀 법원은 호주 출신 남성에게 징역 129년형을 선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65532?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12218?sid=104|#2]] 2023년 9월.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고 군사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908132600076?section=international/all|#]] == 문화 교류 == [[영어권]]국가에 속해 있기 때문에 문화적인 교류가 활발하다. 다만, 필리핀에서 쓰이는 영어는 [[미국 영어]]에 바탕을 두고 있고, 호주에서 쓰이는 영어는 [[영국 영어]]에 바탕을 뒀기 때문에 차이점도 존재한다. 필리핀과 호주간에 교류, 협력이 활발하기 때문에 [[호주인]] 관광객들이 필리핀으로 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 === 스포츠 === 2017년 7월 2일, [[매니 파퀴아오]]가 호주의 한 무명 권투선수와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82&aid=0000720125|#]] 7월 24일, 호주 농구팀이 필리핀 농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98&aid=0000009705|#]] 2018년 2월 22일, 호주 농구팀이 필리핀 농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65&aid=0000155866|#]] 2021년 4월 22일, 호주 농구 리그에 활약중인 카이 소토가 필리핀 농구팀 출전을 결정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65&aid=0000215159|#]] == 군사 교류 == 호주와 필리핀은 군사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필리핀은 호주의 군사지원을 받고 있고 호주군의 훈련을 받기도 한다. 2015년부터 양국은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를 맺은 이후, 지속적인 양국 방위 관계를 맺고 있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20904093225692e8b8a793f7_1/article.html?md=20220904131713_U|#]] === 2010년대 === 2012년 10월 22일, 호주와 필리핀 양국이 합동 해상훈련을 실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0219865?sid=104|#]] 2015년 2월 2일, 호주는 필리핀에 상륙정 2척을 지원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388872?sid=104|#]] 2017년 6월 22일, 호주는 다에쉬와의 전투를 치르고 있는 필리핀에게 정찰기를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028391?sid=104|#]] 8월 29일, 호주 측은 필리핀에게 군사적 지원을 제안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829010013552|#]] 10월 24일, 필리핀군은 호주군의 시가전 전술을 배우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631241?sid=104|#]] === 2020년대 === 2020년대 이후, [[중국]]의 부상이 커지면서 호주와 필리핀 양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기 시작했다. 2023년 2월 22일, 미국과 필리핀, 호주 3국이 남중국해 합동순찰을 논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70646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73683?sid=104|#2]]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다만, 필리핀인들은 호주로 입국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하다. == 필리핀계 호주인 == 경제적인 이유로 호주로 건너간 필리핀인들이 상당한 편이다. 그리고 호주 내에는 필리핀계 호주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 대사관 == 마닐라시에 주 필리핀 호주 대사관, 캔버라시에 주 호주 필리핀 대사관이 존재한다. 2002년 12월 2일, 호주 정부는 11월에 폐쇄했던 대사관을 다시 연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0001585?sid=104|#]] == 여담 == 2012년 7월 5일, 필리핀과 호주가 경제위기 속에서 놀라운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118700?sid=104|#]] 2013년 11월 18일, 필리핀계 호주인 제이슨 데이 골퍼가 필리핀에서 일어난 태풍에 친척 8명이 사망한 일을 접해 비통에 빠졌다고 호주 언론들이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2/0002492777?sid=004|#]] 2017년 1월 25일, 필리핀의 한 택시기사가 호주인 사업가가 택시에 두고간 귀중품을 돌려준 뒤, 취업할 수 있는 선물을 받아 화제가 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988391?sid=104|#]] 6월 15일, 호주 출신 기자가 마라위 교전 현장에서 총알을 맞았지만, 기적적으로 목숨을 구한 일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341205?sid=104|#]] 2020년 11월 6일, 필리핀 국민이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수준으로 안전하다는 여론 조사가 나오자 두테르테 대통령도 놀랐다는 반응을 보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996855?sid=104|#]]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06914?sid=104|남중국해 세력 대결…호주는 미국에, 필리핀은 중국에?]] - 한겨레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73683?sid=104|호주도 필리핀과 남중국해서 공동순찰 추진]]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118700?sid=104|필리핀-호주 ‘내가 제일 잘나가’]] - 문화일보 == 관련 문서 == * [[호주/외교]] * [[필리핀/외교]] * [[동남아시아 조약기구]] * [[호주/역사]] * [[필리핀/역사]] * [[호주/경제]] * [[필리핀/경제]] * [[호주/문화]] * [[필리핀/문화]] * [[호주군]] / [[필리핀군]] * [[호주인]] / [[필리핀인]] / [[영어]]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분류:호주의 대국관계]][[분류:필리핀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