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주의 대외관계)] [include(틀:홍콩의 관계)] ||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100%]] || || [[호주|{{{#ffffff '''호주'''}}}]][br]''{{{#fff Australia}}}''[br]''{{{#fff 澳大利亞}}}'' || [[홍콩|{{{#ffffff '''홍콩'''}}}]][br]''{{{#fff 香港}}}''[br]''{{{#fff Hong Kong}}}''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과 [[홍콩]]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호주와 홍콩은 [[영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었고 호주와 홍콩은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2019년 [[홍콩 보안법]] 시위가 일어난 뒤, 홍콩인들의 호주 이주가 증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82392?sid=104|#]] 그리고 홍콩이 위기를 겪으면서 호주도 대만, 일본, 한국 등과 함께 홍콩의 지위를 노리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025501?sid=104|#]] 홍콩인의 58%가 홍콩을 떠나 다른나라로 이주하기를 원하다고 응답했으며 호주는 이에 홍콩인에 대한 이민 정책을 확대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898282?sid=104|#]]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 2020년대 ==== 2020년 7월 1일, 호주 정부는 호주가 홍콩인들의 피난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947507?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544007?sid=104|#2]] 7월 9일, 호주와 뉴질랜드 측이 홍콩과의 관계 재설정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735851?sid=104|#]] 7월 10일,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홍콩와 맺은 범죄인 인도 조약을 중단한다고 밝혔다.[[https://www.voakorea.com/a/world_asia_australia-extraditiontreaty-hongkong/6032703.html|#]] 7월 14일, 호주 정부는 보안법 시행 이후에 홍콩인들의 이주를 환영하며 영주권을 희망하는 홍콩인들을 적극 수용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969367?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767375?sid=104|#2]] 7월 28일, 중국 정부는 홍콩이 캐나다, 호주, 영국과 맺은 형사사법 공조조약을 당분간 중단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775749?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488733?sid=104|#2]] 8월 4일, 호주의 한 대학이 홍콩 시위를 지지하자 중국 측의 협박을 받아 지지를 철회하면서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348720?sid=104|#]] 8월 18일, 홍콩 소비자협의회는 일본, 호주산 분유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4820434?sid=104|#]] 10월 16일, 호주 대학들이 홍콩경찰 채용공고를 게재하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948663?sid=102|#]] 10월 27일, 홍콩인들이 홍콩 보안법 시행 이후에 호주, 캐나다 등으로 대거 망명한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743344?sid=104|#]] 12월 9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한국과 호주 양국간의 관계에 중국이 걸림돌이 된다고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070426?sid=104|#]] 2021년초부터 홍콩에서 이민 열풍이 불면서 영국, 호주를 포함한 다른 나라로 이주가 증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82392?sid=104|#]] 1월 10일,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외무장관은 홍콩 당국의 민주화 운동가 등 50여명을 체포한 것에 대해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https://www.voakorea.com/a/world_asia_hong-kong-2/6053642.html|#]] 10월 26일, 루이스 호 홍콩 신임 세관장이 호주산 랍스터 밀수입을 막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0992174?sid=104|#1]][[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5461|#2]] 10월 31일, 호주 정부는 홍콩 보안법 시행 이후에 홍콩인들에 대해 이민 문호를 넓힌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759308?sid=104|#]] 11월 1일, 호주로 탈출한 테드 후이 전 홍콩 입법회 의원이 백지투표로 저항을 호소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762428?sid=104|#]] 11월 14일, 홍콩 측이 호주 국적의 영국 이코노미스트 소속 기자의 비자 갱신을 거부하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790977?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156406?sid=104|#2]] 11월 27일, [[오미크론 변이]]가 호주, 홍콩 등 전세계로 퍼지기 시작하면서 확진자가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129475?sid=104|#]] 2022년 1월 3일, 호주와 홍콩의 공동연구팀이 T세포가 오미크론 변이에 확실한 대응이 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925943?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825142?sid=102|#2]] 2월 9일, 호주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줄어든 반면, 홍콩에서 크게 늘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96/0000054209?sid=103|#]] 3월 10일, 홍콩에서 탈출한 전 야당의원이 호주, 뉴질랜드에서 민주화 운동을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250766?sid=104|#]] 3월 29일, 주 홍콩 영국 총영사관과 주 홍콩 호주 총영사관은 코로나19에 감염된 영국인 아기가 홍콩 당국에 의해 분리된 것에 대해 홍콩 당국을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080328?sid=104|#]] 6월 7일, 주홍콩 호주 영사관은 천안문 시위 추모에 참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29878?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099018?sid=104|#2]] 7월 1일, 페니 웡 호주 외무장관은 홍콩에서 위협받는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해 중국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중국을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83777?sid=104|#]] 2023년 2월 26일, 제로 코로나 정책이 해제되었지만, 홍콩과 호주의 항공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8019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80833?sid=104|#2]] 5월 20일, 케빈 러드 주미 호주 대사는 홍콩의 자유가 위협받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56507?sid=104|#]] 6월 4일, 홍콩의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총영사관 등 외국 대표단들이 천안문 34주년을 기념하는 행렬에 동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82212?sid=102|#]] == 경제 교류 == 호주와 홍콩 간의 경제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홍콩 보안법]] 이전에 호주 기업들이 홍콩에 많이 진출했지만, 홍콩 보안법 이후에는 호주 기업들이 홍콩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늘어났다. 2021년에 호주 기업들이 2019년에 비해 홍콩에 있는 경우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https://www.ajunews.com/view/20220202105050739|#]] 중국이 호주에 대해 랍스터 수입을 금지하는 상황에서 홍콩을 통해 호주산 랍스터 수입이 증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509502?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593539?sid=104|#2]] 2022년 1월 22일, 호주가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물류 대란이 일어나자 홍콩으로 들어오는 호주산 쇠고기의 양이 줄어들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934370?sid=102|#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717143?sid=104|#2]] 4월 7일, 홍콩, 시드니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집값이 하락세를 나타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01166?sid=104|#]] 9월 16일, 일본을 비롯해 대만, 홍콩의 주요 증시가 일제히 떨어졌다.[[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3715|#]] == 문화 교류 == 호주와 홍콩은 영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호주와 홍콩에서 쓰이는 영어는 [[영국식 영어]]를 기초로 하고 있다. 호주와 홍콩은 영국의 영향이 남아있다. == 교통 교류 == 호주와 홍콩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호주 항공사와 홍콩 항공사들이 양국을 잇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캐세이퍼시픽]] 항공사도 호주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89546?sid=101|#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387516?sid=103|#2]] 2020년 7월 9일, 홍콩 보안법 시행 이후, 호주 정부는 호주인들의 홍콩 여행 자제를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4745583?sid=104|#]] 2022년 1월 15일, 홍콩 당국은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돼 호주, 캐나다, 프랑스,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영국, 미국 등 8개국 항공노선 운항중단 조치를 2월 4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920041?sid=104|#]] 5월 9일, 홍콩 선사 OOCL이 중국과 호주를 잇는 서비스를 개설했다고 밝혔다.[[https://www.ksg.co.kr/news/main_newsView.jsp?pNum=134142|#]] == 기타 == 호주와 홍콩은 집값이 매우 높기로 유명하다. 싱가포르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전에는 홍콩이 높았고 호주의 집값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https://www.etoday.co.kr/news/view/2254185|#]] 가짜 김정은으로 알려진 홍콩계 호주인 남성이 호주 총선 유세 현장에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7820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91422?sid=104|#2]]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544007?sid=104|호주·뉴질랜드·캐나다 "홍콩 지켜주겠다" 동참]] - 조선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947507?sid=104|호주 총리 "홍콩 시민의 피난처될 준비 마쳤다"]] - 뉴시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735851?sid=104|호주 "홍콩인들 호주서 새 삶 시작 돕겠다"(종합)]]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767375?sid=104|호주 정부, 홍콩인 1만명에 영주권 신청 기회 제공]] - 서울경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969367?sid=104|호주, 보안법 이후 연일 홍콩 이주민 환영… "인재들 오라"]] - 뉴시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855434?sid=104|추락하는 홍콩 언론자유…자기검열·공포 확산]]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348720?sid=104|“中유학생 필요없니?”협박에…호주 명문대, 홍콩지지 철회]] - 국민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743344?sid=104|홍콩 주민들, 캐나다·호주 등 해외로 망명 늘어]] - 헤럴드경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250766?sid=104|홍콩 탈출한 전 야당의원 "호주·뉴질랜드서 홍콩민주화 운동"]]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83777?sid=104|[홍콩 반환 25주년] 호주도 中 때리기…"홍콩주민 자유 침해 매우 우려"]]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025501?sid=104|'넥스트 홍콩' 노리는 호주·대만·일본·한국…싱가포르는 상대적 '여유']] - 중앙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509502?sid=104|홍콩의 호주산 랍스터 수입이 갑자기 50배 증가한 이유는]]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593539?sid=104|"중국서 홍콩 통해 호주산 바닷가재 밀수 기승" SCMP]] - 뉴시스 == 관련 문서 == * [[호주/외교]] * [[홍콩/대외관계]] * [[홍콩 보안법]] * [[호주/경제]] * [[홍콩/경제]] * [[호주인]] / [[홍콩인]] * [[영어]] / [[광동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분류:호주의 외교]][[분류:홍콩]][[분류:중국의 외교]][[분류:지역·국가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