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카오스(유희왕), top2=카오스 싱크로)] [include(틀:유희왕/OCG/11기 부스터 팩 홀로그래픽 레어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混沌魔竜 カオス・ルーラ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혼돈마룡 카오스 룰러, 일어판명칭=混沌魔龍(こんとんまりゅう) カオス・ルーラー, 영어판명칭=Chaos Ruler\, the Chaotic Magical Dragon,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5장 넘긴다. 그 중에서 빛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남은 카드는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 이외의 빛 / 어둠 속성 몬스터를 1장씩\,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光と闇は表裏一体!! 混沌の支配者よ!! その暴なる力を曝せ!!《混沌魔龍 カオス・ルーラー》シンクロ召喚!!''' >"빛과 어둠은 표리일체!! 혼돈의 지배자여!! 그 난폭한 힘을 터뜨려라!!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 싱크로 소환!!" >---- >[[다크 쿠로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 中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추가된 신규 싱크로 몬스터. 그 팩에서 무려 [[홀로그래픽 레어]]를 차지하면서 등장했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에 성공하면 덱 위에서 카드를 5장 넘겨 그 중 빛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서치하고 나머지를 묘지로 보내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기본 4장, 서치를 하지 않는다면 5장이나 덱을 묘지로 보내기 때문에 덱 압축이나 묘지 쌓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②의 효과는 빛 / 어둠 속성 몬스터를 패 / 묘지에서 1장씩 제외해서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 대신 이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 필드에서 벗어나면 제외된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자체 효과로 묘지에서 소생하는 거의 모든 카드는 이런 식의 제약이 있다.] 그래도 능력치, 3000/2500의 고타점 레벨 8 몬스터가 원하는 타이밍에 묘지에서 특소 가능한 건 꽤나 큰 이점인 데다, [[혼원룡 레비오니아]]를 퍼 왔다면 둘 레벨 8이므로 랭크 8 엑시즈 몬스터로 바꿔먹으면 그런 디메리트도 없어진다. === 성능 === 발매 전에는 강력한 덤핑 효과 + 고타점 + 자체 소생 효과를 갖춘 우수한 싱크로 몬스터로 평가되었다. [[라이트로드]] 같은 덤핑 전용 덱이 아니더라도 일반적인 싱크로 덱에는 [[좀비 캐리어]], [[제트 싱크론]]과 같은 묘지에서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가 다수 들어가기 때문에 효과의 활용도가 매우 높고 다른 소환의 소재로 쓴 다음 다시 부활해서 전투에 가담하거나 또다시 소재가 되는 것도 가능하며 소재 제약이 없어서 꺼내기도 간편하다. 발매 직후 채용률은 그다지 높지 않은 카드였으나, [[카오스 테리토리]]의 발매 이후 다시 연구가 되고있는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에서 채용하게 되었고, [[카오스(유희왕)|카오스]]나 싱크로 전개 관련 덱([[정크도플]],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 등)에 1장 정도는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P.U.N.K.]]가 발매 및 디어 노트가 출시되고 이 카드의 가치가 급상승했다. 펑크 파츠를 투입하면 패 1장+코스트 1장으로 카오스 룰러에 더해 8랭크 엑시즈인 [[뱀파이어(유희왕)#디 언데드 뱀파이어|디 언데드 뱀파이어]]까지 최대 9장 덤핑이 가능하며, 디언뱀을 뽑지 않고 펑크 8레벨 몬스터와 함께 딱 [[원시생명체 니비루|5소환]] 안에 [[No.90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포톤 로드]]가 나온다.[* 게다가 카룰 1-디어 노트 2로 체인을 맞춰 [[하루 우라라(유희왕)|우라라]]를 회피한다!] 덕분에 [[펑크세리온즈]], 그리고 그 이후 60장 [[비스테드]]축 [[카오스 덱]]([[챠키스페]])의 핵심 카드가 되었는데,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는 금제당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전개덱들이 강세인 TCG권에서는 손쉬운 덤핑을 통한 전개의 파워가 너무 높다고 판단했는지 22년 12월 금지카드에 오르게 되었다. 이외에는 싱크로 소환을 컨셉으로 한 [[카오스 싱크로]] 지원 카드들이 나오면서 해당 덱에 쓰인다. [[사이버스톰 액세스]] 이후에는, 급기야 [[어썰트 싱크론]]과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를 이용해 카오스 룰러를 재활용하여 레벨 10 싱크로 몬스터들을 최소 2장[*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 [[플뢰르 드 바로네스]] + 패나 덤핑이 잘 되었을 경우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을 뽑아내는 40장 [[펑크비스테드]]가 티어에 진입했다. [[그로우업 벌브]]의 석방과 [[레볼루션 싱크론]]의 등장으로 싱크로축으로 바뀐 [[티아라멘츠]]에서도 채용하고 있다. 덤핑으로 득을 볼 수 있다면 덱 구조를 카오스 룰러에 맞춰서 통과를 노린다는 점은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떠올리기도. 즉 이 카드의 역할은 드링의 고점 담당[* 5덤핑 중 광암 1장은 들고 올 수 있었고, 소생도 있어서 혼자 싱크로/링크 소재 2인분을 담당할 수 있었다. 물론 어디까지나 기본 전개인 바렐엔드+새비지 루트에서는 필요 없는 고점 담당 카드이므로 다른 덱보단 의존도는 낮은 편이지만, 그래도 엄청 좋은 카드인 셈.], 티아라/펑비/펑세의 자원담당 등등 엄청난 활약을 보인 셈. TCG에서 먼저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을 때도 허구한 날 금지 떡밥에 올랐고, 결국 OCG도 23년 10월 '''금지''' 카드로 지정했다. 소재 제한이 없는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라 [[PSY프레임기어 γ]]+[[PSY프레임 드라이버]]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해서 감마 무제 시절에는 서브 전개 파츠로 사용하기도 했다. === 기타 === [[카오스 가디스-혼돈의 여신-]]에 이어서 2번째로 등장한 [[카오스 싱크로]] 몬스터이며 [[레인보우 네오스]] 이후 13년만에 나온 팩 커버 카드가 아니면서 [[홀로그래픽 레어]]를 먹은 카드다. 이 카드를 시작으로 11기 정규 팩은 전부 커버 카드 이외의 카드가 홀레를 먹기 시작한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다크 쿠로다]]가 [[스트롱 쥬큐]]와의 듀얼에서 사용. [[카오스 그레퍼]]와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 트레이서|바렛 트레이서]]를 소재로 [[싱크로 소환]]되었다. ①의 효과로 [[암흑룡 코라프서펜트]]를 서치하면서 [[네크로 가드너]], [[혼돈의 발키리어]], [[스페이스 드래곤|휘광룡 세이퍼트]], [[바렛 싱크론]]을 묘지로 보낸 후 코라프서펜트와 함께 [[천구의 성각인]]의 링크 소재가 되었다. 이후 ②의 효과로 [[카오스 그레퍼]], [[암흑룡 코라프서펜트]]를 제외해 부활하여 [[스페이스 드래곤#나선룡 바루지|나선룡 바루지]]와 함께 [[시오르페골 딩기르수]]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전과 마찬가지로 쓸데없이 장황한 소환 영창을 외치며 소환했는데, [[유사 아게하]]는 이걸 보고 [[유사 쇼마]]가 소환 영창을 외치게 된 원인이 쿠로다라고 직감했다. 카오스 컨셉질을 위해 눈 한쪽에 컬러렌즈를 끼우기도 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기준 [[PSY프레임기어 γ]]와 [[PSY프레임 드라이버]]를 채용한 [[드래곤메이드]] 덱에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하필이면 아직 드래곤 형태가 등장하지 않은 [[드래곤메이드#드래곤메이드 체임|드래곤메이드 체임]]과 속성이 겹치는 바람에 우스갯소리로 체임의 드래곤 폼 취급을 받거나, 혹은 덤핑 능력이 훨씬 좋아서 [[드래곤메이드 라도리|카오스 라도리]], 또는 줄여서 카도리라고 부르는 밈이 있다. 마스터 듀얼 검정 문제에서 이를 노린 듯 라도리의 변신체를 묻는 문제에서 세탁기괴와 함께 이 몬스터가 보기로 제출됐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0-04-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OTD-JP043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HR)] || ||<(> 2022-12-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UB1-JPS02 | [[시크릿 유틸리티 박스|SECRET UTILITY BOX 特典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Blue)] || ||<(> 2020-07-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OTD-KR043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HR)] || ||<(> 2020-08-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OTD-EN043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21-EN128 | 2021 TIN OF ANCIENT BATTL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