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문화]][[분류:술 문화]] [[파일:혼술.jpg|width=300]] [목차] == 개요 == '''혼'''자 마시는 '''[[술]]'''의 줄임말이다. 1인사회가 일상사가 된 지금 생활에서 자주 쓰이게 되었다. 2030세대에서 두드러지게 사용하는 단어로 개인의 행복을 중시하는 삶을 살자는 풍조가 강해져서 생기게 되었다. 이들은 단체생활, 조직생활, 취준생활에서 피로감을 느끼고 혼자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생겨난 경향이다. [[혼술남녀]]라는 [[드라마]]가 방영되고 사용빈도가 더욱 늘었다. 조사 기관에 따르면(윗 사진 참조)성인들의 절반 가량이 혼술을 하고 있다고 한다. 대다수가 집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스타그램에 혼술 해시태그만 보아도 수만개가 넘게 나온다. 특히 2020년 들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단체모임이 어려워지자, 집에서 혼자 술을 마시는 경우가 많아진 상태다. 2020년 10월 11일 [[알바몬]]이 [[잡코리아]]와 함께 20대 남녀 2928명을 대상으로 ‘[[나홀로족]] 트렌드’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20대]] 응답자 중 27.1%가 ‘평소 혼술한다’고 답했다. 또한 설문 참여 20대 중 48.0%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와 상관없이 원래 나는 나홀로족이다’고 응답한 반면, 34.6%는 ‘코로나19 이후 어쩔 수 없이 나홀로족이 되었다’고 응답한 것. 이와 달리 ‘코로나19 이전, 이후 변함없이 나홀로족이 아니다’고 답한 응답자는 17.4%에 그쳤다. [[https://news.v.daum.net/v/20201011093535538|#]] == 장점 == 혼술을 하면 자신이 원하는 술을 마실 수 있다. 집에서 술을 마실 경우 부담 없는 가격으로 술을 사올 수 있다. 특히 밖에서 마시는 술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최근 수입맥주점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 다양한 맥주를 마실 수 있어서이기도 하다. 그리고 부담 없이 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과 술을 마신다면 템포도 조절해야하고 대화를 나눠야 하지만 혼자 먹는 술은 그렇지 않고 자기가 원하는 정도로 마실 수 있다. 자기가 원하는 도수 부담감도 적기도 하다. 혼자 술을 마시면서 휴식을 취함으로써 힐링이 된다는 사람들[* 여러 요인으로 '''인간관계에 피로감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대표적으로 이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도 많은데 마음놓고 술을 마시면 스트레스를 풀어주어 긍정적인 심적 안정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단점 == 집에서 혼자 마시는 ‘혼술’은 과음이나 알코올 오남용 또는 의존증 등에 빠지기 쉽다. 하지만 사람들은 혼자서 마시다보니 눈치볼 일 없이 마실 수 있어 자제가 안 되거나 지속적으로 마시게 될 수 있다. 때문에 [[알코올 의존증]]이라 불리는 알코올 사용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즉, '''본인의 주량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으며, 조절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혼술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 술버릇이 나쁜 경우에 한해서 주위에 자제할 사람이 없어서 범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그냥 집에서 마시자. 혼술을 한 사람이 자살충동, 외로움을 더 많이 느낀다는 [[https://www.youtube.com/watch?v=LWB7MMXMhYo|연구결과가 있다.]] 혼술이 습관처럼 굳어진다면 '알코올 사용장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