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집합투자증권]] [목차] {{{+2 Balanced Fund}}} == 개요 == 혼합형 펀드, 또는 밸런스 펀드. 여러 뮤추얼펀드를 한곳에 모아 만든 상위 [[펀드]]이다. 일반적으로 [[주식]]펀드와 [[채권]]펀드를 합쳐서 만든다. 이것만 들으면 별거 아닌거 같지만, 주식과 채권 각각의 고유 특징으로 인해 엄청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상품이기도 하다. [[미국]]의 경우 은퇴자금의 저축/투자장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다수가 주식 펀드들과 채권 펀드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펀드 오브 펀드 (funds of funds)로 운영되고 있으나, 꼭 그렇지 않아도 된다. == 구조 == 보통 펀드마다 [[주식]]과 [[채권]]의 비율이 정해져있다. 예를 들어, [[뱅가드그룹|뱅가드]] 미국 고객들은 다양한 LifeStrategy Fund들을 살 수 있는데, LifeStrategy Moderate Growth Fund는 주식 60%, 채권 40%로 비율이 고정되어있다. 즉, 이 펀드에 돈을 $1,000 넣으면, 자동적으로 $600은 주식에 투자가 되고, $400은 채권에 투자가 된다. 주식/채권 비율은 90/10에서부터 10/90까지 매우 다양한 비율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주식과 채권은 주식(뮤추얼)펀드와 채권 펀드로 채우게 되는데, 인덱스 펀드를 이용한 밸런스 펀드도 많이 존재한다. 주식의 비율이 커질수록 잠재 수익률도 높아지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5년내에 돈을 빼야할 경우 주식 비율을 20~40%이하로 잡는 것을 추천한다. 당장 돈이 필요한데 주식시장이 갑자기 빠지면 손해를 감수하고 팔아야 하기 때문. 반대로 10~15년 이상 [[장기투자]]할 경우 주식을 70% 이상 보유하는 것이 맞다. 장기적으로는 거의 항상 주식이 채권을 이기기 때문. == 장점 == === 수익률 === '''[[개이득|자동적으로 주식을 낮을때 사고 높을 때 팔게된다]].''' 밸런스 펀드는 놀랍게도 펀드에 속해있는 펀드들을 단순히 합한것보다 더 나은 수익률을 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주식과 채권은 일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경제가 침체되면 투자자들은 주식에서 돈을 빼서 안전한 채권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에 넣어두게 된다. 반대로 경제가 빨리 성장하면 주식은 오르게 되어있고, 수익률이 낮은 채권에서 주식으로 몰려간다.] 하지만 밸런스 펀드의 주식/채권 비율은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주식시장]]이 최근 빠르게 과열 돼 팽창했다면, 밸런스 펀드에서 지정한 비율(예를 들면 주식60%/채권40%)보다 주식의 비율이 더 높아질 것이다 (70%/30%). 그러면 밸런스 펀드의 매니저는 지정된 비율을 맞추기 위해 주식을 팔아 채권을 사게 될 것이다. 반대로, 최근 주식시장이 반토막 났다고 하면 주식펀드의 가치도 반토막 날테지만 채권의 가치는 비슷하거나 오히려 올라가 있을것이다 (40%/60%). 이때 펀드매니저는 채권을 팔아 주식을 사게 된다. 굳이 치고빠지는 타이밍을 맞추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주식을 쌀때 사고 비쌀때 팔 수 있게 되는것이다.[* 예를 들어, 주식 펀드는 연간 8%의 수익을 냈고, 채권 펀드는 연간 2% 수익을 냈다면, 50/50펀드의 수익은 그 둘의 평균인 5%가 되어야 할 것 같지만, 쌀때 사고 비쌀때 파는 메케니즘 때문에 그것보다 수익이 높아지게 된다.][* 타이밍을 매번 잘 맞추는 펀드매니저는 정말, 굉장히 드물다. 이에 대한 논문도 수 없이 나왔지만, 결론은 실력보다 운이라는 것. 그렇기에 밸런스 펀드가 더 합당하다.] 게다가, 채권비율을 20~30%로 맞춘다고 하면 수익률은 인덱스 주식 펀드와 비교해서도 차이가 별로 안 나는 편이다. 70%/30% 펀드를 100% 주식 펀드와 비교해도 [[https://personal.vanguard.com/us/insights/saving-investing/model-portfolio-allocations|초장기 수익률은 약 1%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 심지어, [[캐나다]]의 경우, 60/40펀드의 수익률이 100% 주식 펀드의 수익률을 능가하는 10년 기간이 있을 정도이다. 이는 상술한 "쌀때 사고 비쌀때 판다" 메카니즘 때문이다. === 안정성 === 주식 채권 비율이 60%/40%인 LifeStrategy Growth Fund를 예로 들자. 미 주식시장이 35% 추락하는 동안 이 펀드는 약 20% 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물론 주식시장이 올라갈때는 약간 덜 올라가겠지만, 장기적으로 보아서는 수익률을 아주 조금 희생하는 대신 편차를 많이 줄여준다. 심리적으로도, 시장 타이밍을 매번 맞추어야 한다면 주식시장이 출렁일때마다 [[불면증]]에 걸릴 것이다. 하지만 밸런스 펀드는 한번 넣어놓고 잊어버려도 된다. === 편리성 === 위의 전략은 굳이 밸런스 펀드를 사지 않는다고 해도 수동으로 할 수 있는 전략이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헬조선|직장일 하기에 바쁘고]] 한달에 한번씩 잔고를 체크하고 퍼센트를 계산할 여유는 없다. 밸런스 펀드는 이를 해결해 준다. == 단점 == === 수수료 폭탄 === 여러 펀드를 모아 만든 펀드이기 때문에, 밑에 깔려있는 펀드 수수료는 내야 함은 물론이고 합쳐진 혼합형 펀드의 수수료도 내야 한다. 이는 특히 한국 혼합형 펀드들의 단점이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 (특히 미국) 수수료 싼 [[인덱스 펀드]]로만 이뤄진 밸런스 펀드도 많이 있고, [[뱅가드]]나 [[블랙록]]의 iShares의 경우 수수료는 연간 0.1-0.2% 내외이다. === 유연성 부재 === 내가 원하는 펀드 비율의 혼합형 펀드가 없을 경우 수동으로 비율을 맞추어야 한다. 예를들어 [[개발도상국]] 주식 비율을 더 높게 잡고 싶다던지, 아니면 [[국채]] 대신 기업채를 사고 싶다던지. == 은퇴 자금용 == [[파일:Glide_Path_Web_2015_RGB.png|width=480px&align=center]] 혼합형 펀드의 응용으로, 나이에 따라 주식/채권 비율이 바뀌는 펀드 형태이다. 은퇴자금 투자용으로 사용한다.[* 미국에서는 IRA/401k등의 은퇴자금용 투자계좌가 널리 퍼져 있는데, 이 계좌에 넣는 돈은 은퇴할때까지 뺄 수 없는 대신 세금 혜택을 받는다.] 나이가 젊을때는 돈을 빼 쓸때까지 30년 이상의 긴 기간이 남았으므로, 채권보다는 주식에 80~90% 투자가 되어있다가, [[은퇴]]할 나이가 가까워질수록 채권의 비율이 높아지다가 은퇴 7년 후 부터는 주식은 30% 미만으로 고정이 된다. 위의 그래프는 [[뱅가드그룹]]에서 만든 그래프이지만, 다른 회사들의 상품들도 비슷비슷하다.